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착색단속 행정력 낭비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09 16:03:29      ·조회수 : 3,209     

<p></p>
<font size="5"><b>감귤 착색단속 행정력 낭비 </b></font>
<p></p>
<font size="4">행위자 없으면 적발해도 페기처분 못해 </font>
<font size="3">제민일보 10/5 조문욱 기자

추석을 앞두고 노지감귤 강제 착색행위가 서서히 고개를 드는 가운데 이같은

위법행위에 대한 적절한 제재방안이 마련돼 있지 않고 있어 행정력 낭비만

초래하고 있다.

제주시는 지난 3일 노형동 화랑마을 소재 감귤원에서 극조생 노지감귤 5000여

㎏을 비닐로 씌워 에틸렌가스를 주입, 강제 착색하는 현장을 적발했다.

제주시에 따르면 이 감귤은 감귤원 소유자 A씨는 상인에게 400여 만원을 받고

포전 거래한 것으로 현재 A씨는 상인의 인적사항과 연락처를 기록해 두지 않아

상인이 누군지 모른다고 하고 있다는 것.

강제 착색 행위자를 찾지 못한 제주시는 마을책임자를 입회시켜 착색행위 확인을

받고 현장을 보존하고 현재 직원을 상주시키고 있는 상태이다.

제주시 관계자는 “제주도감귤유통 조례상 불법행위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불법

행위를 적발해도 이를 직권 처리할 수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즉 사유재산권이라

는 걸림돌 때문에 불법행위물이지만 폐기처분 등 행정처리를 하지 못해 지켜보고

만 있는 셈이다.

이 때문에 노형동의 사례처럼 불법행위 현장이 적발됐지만 행위자가 나타나지

않아 행위자가 나타날 때까지 직원을 대기시켜야 하는 행정력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지난 9월 29일 올해 첫 미숙감귤 수확현장을 적발, 폐기처분한 것과 대조를

보이고 있다.

한편 4일에도 제주시에 덜 익은 감귤을 수확 한다는 제보가 들어와 현장 확인

결과 당도가 출하 규정(8브릭스) 이상으로 나오자 착색이 될 때까지 수확 연기를

당부하고 돌아왔으며 현재까지 도내에서 3건의 비상품감귤 유통행위가 적발됐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69 "한미 FTA 협상 중단, 국민투표 실시를" 관리자 2006-09-06 2622
368 유통명령제 요청서 검토의견 농림부 제출 관리자 2006-09-06 3510
367 도, 도의회 '감귤현안' 모르쇠? 관리자 2006-09-05 3457
366 이달부터 2개월동안 감귤 1만 4000톤 솎기 관리자 2006-09-05 2876
365 지난해 감귤 생산액 8108억 관리자 2006-09-05 2824
364 한·미FTA 3차협상, 감귤 사수 ‘분수령’ 관리자 2006-09-05 3150
363 (제주)도.시.군 통합 추경예산안 4.2% 증가 관리자 2006-09-04 3031
362 한미FTA '先대책, 後협상' 한목소리 관리자 2006-09-04 3626
361 왁스코팅 찬·반 논쟁 뜨겁다 관리자 2006-09-04 3502
360 [데스크 칼럼] 감귤유통명령 왜 해야 하나 관리자 2006-09-04 3296
359 "비상품 발생 비율 높을 것 추정" 관리자 2006-09-04 3734
358 "8번과 규격 상향 수용불가" 관리자 2006-09-04 4328
357 왁스코팅 규제완화 주목 관리자 2006-09-04 3317
356 한·미FTA 3차협상, 감귤 사수 ‘분수령’ 관리자 2006-09-04 3523
355 감귤·도새기·광어’ 지리적표시 가능 관리자 2006-09-04 3846
354 감귤유통명령제 재도입 시동 관리자 2006-09-04 2899
353 “시장자율에 맡기는 게 바람직” 관리자 2006-09-04 6339
352 [kbs보도자료]감귤 총수입 2년연속 6천억 돌파 관리자 2006-09-01 3129
351 정부 경영회생사업...제주지역 홀대 관리자 2006-09-01 3989
350 도내 1차산업 조수입 크게 늘어 관리자 2006-09-01 298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