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류 향방 여전히 ‘불투명’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7-01-22 10:01:31      ·조회수 : 2,308     

<p></p>
<font size="5"><b>감귤류 향방 여전히 ‘불투명’ </b></font>

<font size="4" color="blue">한미FTA 6차협상 진전 없이 끝나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20 김재범 기자

한미 FTA(자유무역협정)와 관련 제주 생명산업인 감귤류의 향방은 최종 협상 단계

에서 양국 실무팀보다는 고위급 회담 등을 통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미 FTA 6차 협상 마지막날인 19일 농업분과 관계자는 “오렌지 등 감귤류를 비롯

해 농산물 민감품목에 대해서는 양국간 입장차이만 확인하며 진전을 보지 못했다”

며 “실무적으로 해결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는 2월 12일부터 미국에서 이어질 7차 협상에서 다시 논의될 예정이지

만 미국은 제한없는 관세철폐를 끊임없이 요구하는 반면 한국은 민감품목 개방 제

외 및 피해 최소화로 맞서고 있어 협상 타결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이다.

실제 농산물 민감품목 처리는 7차 또는 8차 협상이든 최종단계에서야 매듭지어지고

고위급 등을 통한 극적인 타개책의 하나로 풀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런데 정부는 공식적으로 올 상반기내 협상 타결에 노력하는 한편 쌀의 양허(개

방) 제외 관철을 추진하는 등 민간품목에 대한 양허전략으로 피해 최소화 및 협상

공감대 형성 대응전략을 수립해놓고 있다.

이 때문에 과연 감귤이 제주도가 요구하는대로 개방 대상에서 계속 제외될수 있을

지, 쌀과 동등한 수준으로 협상이 이뤄질지 여부는 아직까지도 불투명한 실정이다.

미국측 웬디 커틀러 수석대표나 앤드류 스테판 농업분과 대표도 제주도의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라는 거듭된 건의에 민감성을 고려한다면서도 명쾌한 확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한편 양국은 농산물 민감품목을 대상으로 특별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도입

과 TRQ(저율관세할당) 운용방식 등에 대해 협의를 벌이고 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69 "한미 FTA 협상 중단, 국민투표 실시를" 관리자 2006-09-06 2672
368 유통명령제 요청서 검토의견 농림부 제출 관리자 2006-09-06 3563
367 도, 도의회 '감귤현안' 모르쇠? 관리자 2006-09-05 3509
366 이달부터 2개월동안 감귤 1만 4000톤 솎기 관리자 2006-09-05 2907
365 지난해 감귤 생산액 8108억 관리자 2006-09-05 2865
364 한·미FTA 3차협상, 감귤 사수 ‘분수령’ 관리자 2006-09-05 3214
363 (제주)도.시.군 통합 추경예산안 4.2% 증가 관리자 2006-09-04 3074
362 한미FTA '先대책, 後협상' 한목소리 관리자 2006-09-04 3668
361 왁스코팅 찬·반 논쟁 뜨겁다 관리자 2006-09-04 3552
360 [데스크 칼럼] 감귤유통명령 왜 해야 하나 관리자 2006-09-04 3348
359 "비상품 발생 비율 높을 것 추정" 관리자 2006-09-04 3788
358 "8번과 규격 상향 수용불가" 관리자 2006-09-04 4369
357 왁스코팅 규제완화 주목 관리자 2006-09-04 3373
356 한·미FTA 3차협상, 감귤 사수 ‘분수령’ 관리자 2006-09-04 3573
355 감귤·도새기·광어’ 지리적표시 가능 관리자 2006-09-04 3896
354 감귤유통명령제 재도입 시동 관리자 2006-09-04 2935
353 “시장자율에 맡기는 게 바람직” 관리자 2006-09-04 6385
352 [kbs보도자료]감귤 총수입 2년연속 6천억 돌파 관리자 2006-09-01 3168
351 정부 경영회생사업...제주지역 홀대 관리자 2006-09-01 4028
350 도내 1차산업 조수입 크게 늘어 관리자 2006-09-01 302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