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유통명령제 개선 시급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15 10:24:00      ·조회수 : 2,789     

감귤유통명령제 개선 시급
한라일보 5/15 고대용 기자
크기외에 품질도 상품기준에 포함해야

자치경찰 단속투입 위반자 처벌 강화를

 전국 단위의 감귤유통조절명령제 도입이 제주지역의 경제를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는 계기를 마련해 준 가운데 효율성과 실효성을 더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감귤유통명령제 시행시 총 87개반 3백55명의 단속요원이 투입돼 도내 2백18건, 도외 1백82건 등 모두 4백건을 적발했다. 유형별 적발내역은 비상품감귤 유통 3백27건, 강제착색 26건, 품질관리 미이행 34건, 기타가 13건이다. 주체별로는 상인단체 3백9건, 농·감협 47건, 법인 및 개인이 44건이다.

 이 처럼 감귤유통명령제가 비상품감귤 유통차단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나 보다 더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농·감협, 농민, 산지유통인 등 각 유통주체의 적극적인 참여하에 크기뿐만 아니라 품질에 의한 상품기준도 도입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유통명령제 위반자에 대한 강력한 처벌조항 삽입, 왁스코팅 금지, 전국 소비지로의 확대 및 도매시장의 추가 확대(도매시장+유사도매시장+운송업체+해운업체+택배업체 포함) 등 2005년산에 비해 더 강력한 규제를 취할 수 있는 형태로 제도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문이다.

 특히 위반자에 대한 강력한 단속과 함께 지금보다 훨씬 강화된 과태료(현행 5백만원에서 1천만원으로 상향조정)를 부과하여 비상품감귤의 유통 인센티브를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유통명령제를 준수한 농가·상인을 적극 보호해야 한다.

 게다가 효율적이고 강력한 단속을 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민간 단속요원보다는오는 7월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에 맞춰 창설되는 자치경찰을 단속에 투입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검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FTA기금 과수지원사업을 통해 최소 연간 2만톤 규모의 품질선과가 가능한 비파괴광센서 장착과 이력추적관리가 가능한 거점산지유통센터 구축도 추진돼야 한다는 여론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49 서귀포시 저급품감귤 유통행위 강력 단속 관리자 2006-09-01 2735
348 고품질 감귤 생산 '불량감귤 퇴출시켜야' 관리자 2006-09-01 3612
347 불량감귤 열매솎기 뒷북대응 관리자 2006-09-01 3875
346 토양피복재배사업 도 지원 기대 이하 관리자 2006-09-01 3591
345 불량감귤 열매솎기 다짐결의대회 개최 관리자 2006-09-01 3423
344 "고품질 감귤생산 토양피복재배사업으로 승부" 관리자 2006-08-31 3076
343 [제주시론] 감귤왁스코팅 어떻게 할 것인가 관리자 2006-08-31 6097
342 농림부 직접보조사업 축소 재고돼야 관리자 2006-08-31 3277
341 올해 불량감귤 열매솎기 목표량 ‘4만톤’ 관리자 2006-08-31 3367
340 감귤 총수입 2년 연속 6000억 돌파 (제민일보) 관리자 2006-08-31 3005
339 감귤 조수입 2년 연속 6000억원 돌파(제주일보) 관리자 2006-08-31 3606
338 <나의의견>요즘 제주 감귤은 관리자 2006-08-30 3675
337 1번과 생산 불가피 주장 관리자 2006-08-30 3203
336 농림보조사업 축소 안된다 관리자 2006-08-30 3763
335 "감귤 제 값 받기 3년에 도전한다" 관리자 2006-08-30 3028
334 [보도]2005년산 감귤총수입 6006억원 2년연속 6천억 돌파 기획정보과 2006-08-29 3310
333 감귤선과 때 왁스 규제 완화해주오 관리자 2006-08-29 3153
332 ‘유통명령 재도입’농가 92.4% 찬성 관리자 2006-08-29 2781
331 감귤 마을 서울에 생긴다 관리자 2006-08-29 2891
330 감귤농가 “올해산 감귤 유통명령제 도입을” 관리자 2006-08-29 311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