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농정당국 제도개선 ‘미적미적’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7-25 09:57:08      ·조회수 : 2,671     

농정당국 제도개선 ‘미적미적’
감귤 열매 우박 피해 ‘농작물 재해보험 혜택’서 제외
제주일보 7/25 고경업 기자
감귤 재해보험이 제주지역 현실에 맞지 않은데도 농정당국은 제도개선에 미온적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24일 농협 제주지역본부 등에 따르면 2001년에 도입된 농작물 재해보험은 자연재해로 농작물에 피해가 발생할 때 손실의 일정부분을 보상해주는 보험제도로 현재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단감, 감귤 등 6개 품목에 대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보상범위가 태풍, 우박, 동상해로 인한 낙과, 낙엽으로 한정돼 낙과 피해가 거의 없는 제주 감귤 농가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제주지역의 특성상 감귤의 경우 태풍과 강풍, 우박 등에 의한 풍상과가 주로 발생하고 있지만 정작 보상범위에는 포함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지난달 10일 성산읍 일대에 내린 우박으로 감귤원 128㏊에서 30∼80%의 상처과가 발생했지만 해당 농가가 보험에 가입했더라도 현재의 규정상 재해보험 혜택을 전혀 받을 수 없다.

이 때문에 감귤의 경우 재해보험 시행초기인 2002년에는 3374농가(2364㏊)가 보험에 가입했으나 이후 큰 폭으로 감소해 올해의 경우 129농가(68㏊)에 그치는 등 재해보험 가입을 극히 꺼리고 있다. 올해 품목별 대상면적 대비 가입면적은 사과 52%, 배 52%, 단감 25% 등이지만 감귤은 0.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농협제주본부는 보상범위에 풍상과를 포함해주고 대상재해도 호우, 가뭄, 황사 등으로 확대해 줄 것을 해마다 건의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제도개선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농협 관계자는 “감귤의 경우 아무리 강한 태풍이 불어도 꼭지가 매우 단단해 낙과·낙엽 피해가 좀처럼 생기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농림부는 답변서에서 농업인과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품목별, 재해별로 심도있는 연구를 거쳐 연차적으로 대상품목을 확대하겠다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농림부 관계자는 “대상 품목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피해통계 축적, 손해평가 방법의 정립, 전업화 수준, 위험분산 가능성 등 보험성립 요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25 [사설] 감귤 관세철폐 제외 꼭 관철돼야 관리자 2006-08-28 2530
324 "FTA 협상에 민간 의견 적극 반영" 관리자 2006-08-25 2264
323 "감귤 관세철폐 제외 대상 추진" 관리자 2006-08-25 2325
322 도내 친환경농산물 판로·유통체계 미흡 관리자 2006-08-25 2641
321 [기획]흔들리는 감귤농정 <하>선 고품질 후 행정지원 체제 시급 관리자 2006-08-25 2759
320 감귤유통명령제 재도입 의견수렴 나서 관리자 2006-08-25 2306
319 “한·미 FTA 감귤피해액 조정” 관리자 2006-08-25 2810
318 노지감귤 ‘파풍망’ 적정규격 찾았다 관리자 2006-08-25 3699
317 유전공학기술 이용한 신품종 감귤 생산 한다 관리자 2006-08-24 3178
316 감귤유통명령제 공청회 관리자 2006-08-24 2668
315 감귤 신품종을 찾아라 관리자 2006-08-24 2749
314 하우스단감 연합사업 추진 관리자 2006-08-24 3053
313 하우스감귤 3년 연속 호조 관리자 2006-08-24 3484
312 제주산 하우스 감귤 판로난에 연합사업 추진…단가 9천원대 관리자 2006-08-23 2746
311 "비상품 감귤 집중 단속을" 관리자 2006-08-23 2753
310 [흔들리는 감귤농정] <중>부실한 명품 지키기 관리자 2006-08-23 2848
309 감귤 대기정화·관광유인 등 공익가치 2,499억원 관리자 2006-08-23 2881
308 하우스감귤 타이벡 멀칭 끝낸후 관리자 2006-08-23 3123
307 감귤, 민감도 상위권 인정되나 관리자 2006-08-22 3125
306 하우스 감귤 착화량 확보 기술 개발 관리자 2006-08-22 253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