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미FTA 체결로 수입오렌지 관세 철폐, 감귤생산액 연 790억 감소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07 09:59:41      ·조회수 : 2,826     

한·미FTA 체결로 수입오렌지 관세 철폐, 감귤생산액 연 790억 감소
"지역집중도 높아 민감품목 지정 안되면 가장 큰 타격"
제민일보 8/4 이태경 기자
한·미 FTA 체결로 수입오렌지에 대한 관세가 철폐될 경우 제주감귤의 생산액이 향후 10년간 매년 평균 790억원 가량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제주감귤이 다른 과일이나 밭작물보다 ‘지역집중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민감품목 등으로 선정되지 않을 경우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4일 오후 농림부에서 열린 ‘한·미 FTA 농업계 대토론회’에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최세균 연구위원은 “수입오렌지 관세가 철폐되면 감귤은 가격이 평균 10% 하락하고 생산액은 평균 790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최 위원은 관세를 일시에 철폐할 경우 10년간 평균 생산액 감소는 790억원이며, 관세를 5년 또는 10년에 걸쳐 폐지할 경우 각각 연간 550억원, 370억원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국내의 과일류와 일반 밭작물을 대상으로 ‘시·군별 재배면적에서 각 품목 재배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지역집중도)’을 조사한 결과 제주감귤의 지역집중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 위원은 “지역집중도가 높으면 시장개방으로 그만큼 피해가 클 수 있고, 특히 전업농이 큰 타격을 받게 된다”면서 “감귤은 민감품목 선정에 있어 특별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 감귤특별대책위가 제주대에 의뢰해 지난 6월 공개한 용역 중간결과에 따르면 FTA 발효 10년동안 관세가 완전 철폐될 경우 감귤산업 피해액은 1조9977억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서울=이태경 기자>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25 [사설] 감귤 관세철폐 제외 꼭 관철돼야 관리자 2006-08-28 2531
324 "FTA 협상에 민간 의견 적극 반영" 관리자 2006-08-25 2264
323 "감귤 관세철폐 제외 대상 추진" 관리자 2006-08-25 2325
322 도내 친환경농산물 판로·유통체계 미흡 관리자 2006-08-25 2641
321 [기획]흔들리는 감귤농정 <하>선 고품질 후 행정지원 체제 시급 관리자 2006-08-25 2759
320 감귤유통명령제 재도입 의견수렴 나서 관리자 2006-08-25 2306
319 “한·미 FTA 감귤피해액 조정” 관리자 2006-08-25 2810
318 노지감귤 ‘파풍망’ 적정규격 찾았다 관리자 2006-08-25 3699
317 유전공학기술 이용한 신품종 감귤 생산 한다 관리자 2006-08-24 3179
316 감귤유통명령제 공청회 관리자 2006-08-24 2668
315 감귤 신품종을 찾아라 관리자 2006-08-24 2749
314 하우스단감 연합사업 추진 관리자 2006-08-24 3053
313 하우스감귤 3년 연속 호조 관리자 2006-08-24 3484
312 제주산 하우스 감귤 판로난에 연합사업 추진…단가 9천원대 관리자 2006-08-23 2746
311 "비상품 감귤 집중 단속을" 관리자 2006-08-23 2753
310 [흔들리는 감귤농정] <중>부실한 명품 지키기 관리자 2006-08-23 2848
309 감귤 대기정화·관광유인 등 공익가치 2,499억원 관리자 2006-08-23 2881
308 하우스감귤 타이벡 멀칭 끝낸후 관리자 2006-08-23 3123
307 감귤, 민감도 상위권 인정되나 관리자 2006-08-22 3125
306 하우스 감귤 착화량 확보 기술 개발 관리자 2006-08-22 253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