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나의의견>한미FTA 이후 제주감귤의 미래는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19 09:51:52      ·조회수 : 3,126     

<나의의견>한미FTA 이후 제주감귤의 미래는
제주일보 9/19
진성효 드림랜드경제연구소장

폭염이 자취를 감추면서 가을의 선선함에 살맛나는 세상에서 사는 기분이다.

지난 6일부터 9일까지 미국 시애틀에서 제3차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협상이 끝났다.

분야별 어떤 상품에 대해 몇 년에 걸쳐 시장을 개방할 것인지, 구체적 개방시기와 방법 그리고 대상등 개방수위를 놓고 양국간 적지 않은 갈등과 진통을 겪고 있다. 이번 협상에서 감귤과 관련하여 정부측은 쌀시장은 절대 개방 불가라는 확고한 입장을 보이면서도 협상전에 사전 교환한 양허안(개방안)에서 한국 농업분야에서 최저 20% 개방 마지노선에다 감귤에 대하여는 극비로 붙여지고 있어 미래가 어둡기만 하다.

과거 ‘금귤’ 내지는 ‘대학나무’였던 제주의 생명산업, 왜 벼랑으로 떨어질까?

주산지인 미국 캘리포니아 농민들은 한미 FTA 협상에 대비하여 오래 전부터 맛과 시기등 경쟁력에서 탁월한 양질의 모로코산 감귤을 수입, 재배해오면서 오렌지에 이어 감귤을 개방 민간 품목으로 지정해 줄 것을 미국 협상단에 적극 포함시켜 빈틈없는 대응전략을 준비해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우리 현실은 어떠한가?

제주 농민들은 감귤을 협상 제외품목 내지는 민간품목으로 지정해 달라고 정부측에 요청한 바 있으나, 국익에 밀려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지난 5월 도백선거에서도 모 후보가 한미FTA 협상에서 제주감귤을 정부측 내지는 상대국에 설득하여 협상품목에서 제외하면 된다는 공약(空約) 수준이, 한미FTA 실무협상에 임하는 우리 현주소다.

이번 미국측이 노리는 감귤은 모로코산 ‘멀카프종’으로 맛이나 모양등이 제주감귤(탄저린계 온주밀감)과 아주 흡사하며 출회시기도 제주 감귤이 휴경기인 6~10월에 맞춰 저가공세가 하게되면 국내시장이 잠식을 불을 보듯 뻔하다.

지난 오렌지 개방으로 감귤면적이 30% 이상 줄어든 바 있어, 급매물 출회 및 지가 폭락도 우려된다.

한미FTA이후 감귤산업의 구조조정과 차세대 대안사업도 불가피하다. 어느 협상이건 상대가 있고, 어느 하나 중요하지 않는 것이 없다. 결국 이번 한미FTA에서 우리 요구안이 최대한 관철될 수 있도록 유연한 대응전략이 요구된다. 국가와 지자체도 미국의 장기 FTA 플랜와 달리 오늘의 위기상황을 자초한 책임에 대해 깊이 반성하고 벼랑에 선 감귤농업의 활로 모색에 빈틈이 없어야 한다.

한·칠레 FTA 협상당시 피해보상액에 산정에 있어 논란이 많았다.

결국, 농민들의 저항이 커지자 정부와 국회는 2010년까지 1조 2000억을 지원 약속을 했다. 이번 한미FTA 협상결과 감귤 피해액 산출에 있어서도 정부와 제주도간 뚜렷한 시각차와 감귤의 협상대상 제외요구도 반영될지 의문이다. 한국농업경제연구원에서 최소 1433억원~최대 1959억원을 추정하고 있는 반면, 용역팀 제주대 고성보 교수는 감귤 연관산업 가치까지 연간 1조 626억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미FTA 대응한 감귤특별대책위(대책위)는 제주의 생명산업임이란 전제하에서 피해액이 무려 2조이상을 추정하고 있다.

직접적인 피해 보상외에도 위기에 선 감귤 차세대 대안산업 지원도 병행되어야 한다.

폐원에 따른 입지가 양호한 지역은 과거 펜션이후에 대체상품의 개발을 허용하고, 개발여지가 없는 곳은 토지은행을 통한 토지매수로 대단위 농원조성등 실질적이고 다양한 제도적 장치을 마련해야 한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25 [사설] 감귤 관세철폐 제외 꼭 관철돼야 관리자 2006-08-28 2560
324 "FTA 협상에 민간 의견 적극 반영" 관리자 2006-08-25 2302
323 "감귤 관세철폐 제외 대상 추진" 관리자 2006-08-25 2352
322 도내 친환경농산물 판로·유통체계 미흡 관리자 2006-08-25 2675
321 [기획]흔들리는 감귤농정 <하>선 고품질 후 행정지원 체제 시급 관리자 2006-08-25 2792
320 감귤유통명령제 재도입 의견수렴 나서 관리자 2006-08-25 2344
319 “한·미 FTA 감귤피해액 조정” 관리자 2006-08-25 2847
318 노지감귤 ‘파풍망’ 적정규격 찾았다 관리자 2006-08-25 3736
317 유전공학기술 이용한 신품종 감귤 생산 한다 관리자 2006-08-24 3211
316 감귤유통명령제 공청회 관리자 2006-08-24 2711
315 감귤 신품종을 찾아라 관리자 2006-08-24 2779
314 하우스단감 연합사업 추진 관리자 2006-08-24 3094
313 하우스감귤 3년 연속 호조 관리자 2006-08-24 3515
312 제주산 하우스 감귤 판로난에 연합사업 추진…단가 9천원대 관리자 2006-08-23 2775
311 "비상품 감귤 집중 단속을" 관리자 2006-08-23 2780
310 [흔들리는 감귤농정] <중>부실한 명품 지키기 관리자 2006-08-23 2875
309 감귤 대기정화·관광유인 등 공익가치 2,499억원 관리자 2006-08-23 2916
308 하우스감귤 타이벡 멀칭 끝낸후 관리자 2006-08-23 3165
307 감귤, 민감도 상위권 인정되나 관리자 2006-08-22 3166
306 하우스 감귤 착화량 확보 기술 개발 관리자 2006-08-22 258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