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착색단속 행정력 낭비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09 16:03:29      ·조회수 : 3,211     

<p></p>
<font size="5"><b>감귤 착색단속 행정력 낭비 </b></font>
<p></p>
<font size="4">행위자 없으면 적발해도 페기처분 못해 </font>
<font size="3">제민일보 10/5 조문욱 기자

추석을 앞두고 노지감귤 강제 착색행위가 서서히 고개를 드는 가운데 이같은

위법행위에 대한 적절한 제재방안이 마련돼 있지 않고 있어 행정력 낭비만

초래하고 있다.

제주시는 지난 3일 노형동 화랑마을 소재 감귤원에서 극조생 노지감귤 5000여

㎏을 비닐로 씌워 에틸렌가스를 주입, 강제 착색하는 현장을 적발했다.

제주시에 따르면 이 감귤은 감귤원 소유자 A씨는 상인에게 400여 만원을 받고

포전 거래한 것으로 현재 A씨는 상인의 인적사항과 연락처를 기록해 두지 않아

상인이 누군지 모른다고 하고 있다는 것.

강제 착색 행위자를 찾지 못한 제주시는 마을책임자를 입회시켜 착색행위 확인을

받고 현장을 보존하고 현재 직원을 상주시키고 있는 상태이다.

제주시 관계자는 “제주도감귤유통 조례상 불법행위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불법

행위를 적발해도 이를 직권 처리할 수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즉 사유재산권이라

는 걸림돌 때문에 불법행위물이지만 폐기처분 등 행정처리를 하지 못해 지켜보고

만 있는 셈이다.

이 때문에 노형동의 사례처럼 불법행위 현장이 적발됐지만 행위자가 나타나지

않아 행위자가 나타날 때까지 직원을 대기시켜야 하는 행정력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지난 9월 29일 올해 첫 미숙감귤 수확현장을 적발, 폐기처분한 것과 대조를

보이고 있다.

한편 4일에도 제주시에 덜 익은 감귤을 수확 한다는 제보가 들어와 현장 확인

결과 당도가 출하 규정(8브릭스) 이상으로 나오자 착색이 될 때까지 수확 연기를

당부하고 돌아왔으며 현재까지 도내에서 3건의 비상품감귤 유통행위가 적발됐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49 서귀포시 저급품감귤 유통행위 강력 단속 관리자 2006-09-01 2771
348 고품질 감귤 생산 '불량감귤 퇴출시켜야' 관리자 2006-09-01 3654
347 불량감귤 열매솎기 뒷북대응 관리자 2006-09-01 3912
346 토양피복재배사업 도 지원 기대 이하 관리자 2006-09-01 3649
345 불량감귤 열매솎기 다짐결의대회 개최 관리자 2006-09-01 3480
344 "고품질 감귤생산 토양피복재배사업으로 승부" 관리자 2006-08-31 3130
343 [제주시론] 감귤왁스코팅 어떻게 할 것인가 관리자 2006-08-31 6133
342 농림부 직접보조사업 축소 재고돼야 관리자 2006-08-31 3314
341 올해 불량감귤 열매솎기 목표량 ‘4만톤’ 관리자 2006-08-31 3414
340 감귤 총수입 2년 연속 6000억 돌파 (제민일보) 관리자 2006-08-31 3052
339 감귤 조수입 2년 연속 6000억원 돌파(제주일보) 관리자 2006-08-31 3650
338 <나의의견>요즘 제주 감귤은 관리자 2006-08-30 3729
337 1번과 생산 불가피 주장 관리자 2006-08-30 3253
336 농림보조사업 축소 안된다 관리자 2006-08-30 3824
335 "감귤 제 값 받기 3년에 도전한다" 관리자 2006-08-30 3078
334 [보도]2005년산 감귤총수입 6006억원 2년연속 6천억 돌파 기획정보과 2006-08-29 3350
333 감귤선과 때 왁스 규제 완화해주오 관리자 2006-08-29 3196
332 ‘유통명령 재도입’농가 92.4% 찬성 관리자 2006-08-29 2820
331 감귤 마을 서울에 생긴다 관리자 2006-08-29 2922
330 감귤농가 “올해산 감귤 유통명령제 도입을” 관리자 2006-08-29 314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