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국농어민신문]올 추석 주요 농산물값 전망 <과일>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9-10 15:47:45      ·조회수 : 4,616     

올 추석 주요 농산물값 전망 (상)과일


작황 호조…생산량 10~20% 증가, 습해로 대과 부족 ‘가격차’ 클 듯


추석 명절을 불과 2주 남겨두고 농산물 유통 시장도 이번 주를 기해 본격적인 추석맞이에 돌입했다. 올 추석은 지난해보다 열흘 가량 일찍 찾아왔지만 과일 주산지의 작황 호조로 생산량은 증가할 것으로 예고되고 있다. 명절 특수를 앞두고 모처럼 활기를 띠고 있는 농산물 시장의 수급 동향과 가격 전망을 주요 과일 및 채소 분야로 나눠 2회에 걸쳐 점검해본다.

사과 ‘5㎏ 10~13과’ 기준 평균 2만원대
배 ‘7.5㎏ 10과’ 2만~2만5000원 거래
단감 서촌조생 15㎏ 80과 4만~5만원선



▲사과

선물용으로 판매되는 사과의 경우 대형 유통업체들의 배송 시한을 감안해 10일부터 19일까지 소비가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18일 전후로 5kg들이 소포장 사과의 판매가 가장 활발히 이뤄지고, 이후부터는 15kg들이 사과가 출하 주종을 이룰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8월 한 달에 걸친 우기와 9월 들어서까지 내린 잦은 비로 사과의 당도는 다소 떨어지지만 제수용 홍로 품종의 공급량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장수 일대의 재배면적 증가와 경북과 충북 등 사과 주산지의 작황 호조로 전반적인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10~15% 늘 것이라는 전망이다.


가격은 유통전문가 사이에서 5kg 10~13과 기준으로 평균 2만원 내외, 특품은 최고 2만7000원~3만원선에서 거래될 것으로 거론되고 있다.



▲배

원황은 출하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었고 이달 초부터 화산과 신고 품종이 도매시장으로 들어오기 시작했지만 수확 시 우천으로 인한 당도 확보에 어려움이 따르면서 본격적인 신고 배 출하는 다소 지연된 13일 이후에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작황 호조로 생산량은 46~48만톤, 전년대비 20% 내외 증가가 예고되고 있다.


특히 배는 명절 이후에는 소비 부진 가능성이 있어 15일을 전후해 단대목을 노린 산지의 출하 홍수가 우려되는 상황. 7.5kg 포장은 추석 일주일 전까지, 연휴 5일 전부터는 15kg 포장으로 돌려 출하해야 한다.


또한 올해 배는 생산량 증가에 비해 습해로 일부 비대 장애가 초래되면서 대과 비중이 다소 줄어들었으나 제수용 상품임을 고려해 출하 초반 대과 위주로 유통을 주도하는 한편 선물 용 배는 망보다는 팬켑 포장을, 꼭지 주위가 움푹 튀어나온 일명 숫배 선별을 철저히 해야 시세를 조금이라도 올려 받을 수 있다는 유통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올해 배는 7.5kg 10과 내외 상품을 기준으로 2만~2만5000원 사이에서 거래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단감

지난해까지만 해도 추석 대목에 서촌&#44212;絹?상서&#44206;舫?등 다양한 단감 품종이 출하됐으나 올해는 단감의 생육 지연으로 출하품종이 서촌조생으로 집중될 전망이다. 단감도 착과율이 좋아 지난해에 비해 생산량이 10~15% 이상 늘어나 25만톤 내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이다.



일부 산지에서는 탄저병과 낙엽병 발생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며 또 대과 보다는 중하품 비중이 많을 것으로 예고되고 있다. 서촌조생은 제수용에 국한된 품종이라 추석을 앞두고 물량 쏠림 현상과 등위별 가격편차가 심하게 벌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지난해 15kg 80과를 기준으로 거래가격은 5만원~7만원을 형성했는데 올해는 이와 비슷하거나 다소 떨어진 4만~5만원이 예상되며 단대목인 20일 경에는 특품은 7만원까지 일명 잔다마는 2만원 내로 품위별 가격이 극명히 엇갈릴 전망이다. 시세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산지에서 하품 출하를 과감히 포기하고 90과 이내로 선별 출하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기타 과일

추석 소비용 과일은 포도와 복숭아가 주를 이루기 때문에 이들 품목의 매기도 덩달아 활기를 띌 것으로 보인다. 최근 들어 선물용으로 포도와 복숭아를 선호하는 경향도 있어 배송 판매량도 20~30% 증가가 예상된다. 복숭아는 주로 4.5kg 14과 내외 상품이 선물용으로 가장 선호도가 높으며 올 추석은 물량이 넉넉하고 상품 회전율이 좋아 호기를 노려볼 만 하겠다. 가격은 2만원~2만5000원선이 예상되고 있다. 이 밖에도 하우스 감귤과 망고, 멜론 등이 백화점과 유통업체의 공급 과일 선물세트로 각광받을 전망이며 이중 국산 애플망고는 물량이 저조해 고가 상품으로 공급이 예상된다.





- 출처 : 한국농어민 신문('07.9.10) -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27 감귤 TRQ적용 FTA협상 난제 부상 관리자 2006-08-28 2531
326 감귤, FTA 넘기 ‘산넘어 산’ 관리자 2006-08-28 3007
325 [사설] 감귤 관세철폐 제외 꼭 관철돼야 관리자 2006-08-28 2581
324 "FTA 협상에 민간 의견 적극 반영" 관리자 2006-08-25 2337
323 "감귤 관세철폐 제외 대상 추진" 관리자 2006-08-25 2416
322 도내 친환경농산물 판로·유통체계 미흡 관리자 2006-08-25 2712
321 [기획]흔들리는 감귤농정 <하>선 고품질 후 행정지원 체제 시급 관리자 2006-08-25 2825
320 감귤유통명령제 재도입 의견수렴 나서 관리자 2006-08-25 2399
319 “한·미 FTA 감귤피해액 조정” 관리자 2006-08-25 2888
318 노지감귤 ‘파풍망’ 적정규격 찾았다 관리자 2006-08-25 3778
317 유전공학기술 이용한 신품종 감귤 생산 한다 관리자 2006-08-24 3213
316 감귤유통명령제 공청회 관리자 2006-08-24 2759
315 감귤 신품종을 찾아라 관리자 2006-08-24 2784
314 하우스단감 연합사업 추진 관리자 2006-08-24 3132
313 하우스감귤 3년 연속 호조 관리자 2006-08-24 3541
312 제주산 하우스 감귤 판로난에 연합사업 추진…단가 9천원대 관리자 2006-08-23 2777
311 "비상품 감귤 집중 단속을" 관리자 2006-08-23 2842
310 [흔들리는 감귤농정] <중>부실한 명품 지키기 관리자 2006-08-23 2924
309 감귤 대기정화·관광유인 등 공익가치 2,499억원 관리자 2006-08-23 2969
308 하우스감귤 타이벡 멀칭 끝낸후 관리자 2006-08-23 319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