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편집국25時]'農政' 감귤이 전부는 아니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1-30 10:46:46      ·조회수 : 2,316     

<b><font size=5>

[편집국25時]'農政' 감귤이 전부는 아니다
</font>
한라일보 2007. 01.27. <font size=3>

 연초가 되면 도 전역에 걸쳐 되풀이 되는 행사가 있다. 바로 간벌이다. 행정력이 집중되고 도내 각급 기관사회단체들이 참여한다. 대대적으로 진행되는 만큼 말들도 많다. 그 중 새기어 들을 필요가 있는게 "이제는 농가에 맡겨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말이 나온데는 행정인력과 예산이 집중투입되기 때문이다. 더불어 왜 감귤에만 그렇게 지원이 집중되느냐는 다른 농작물 농가의 반감도 한 몫하고 있다.

 최근 무우나 양배추의 경우 가격파동으로 산지폐기가 한창이다. 산지폐기에 따른 일정액의 보상비가 지원되고 있다. 하지만 해당 농민의 아픔을 덜어줄 만한 수준은 못된다.

 간벌은 이듬해 감귤값 호조세를 이끌어내는 요인이 된다. 가격폭락을 막기위한 사전대비책인 것이다. 반면 산지폐기는 사후처방책이다. 매년 계속된 간벌과 열매솎기 효과는 잘 드러나고 있다. 감귤값이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감귤농가 입장에서는 형언할 수 없는 기쁨일게다.

 사람이 가장 비참해질 때는 "왜 나만~"이라는 심리적 상태일 때다. 요즘 감귤이 아닌 다른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민들의 심리가 딱 이렇다.

 한·미 FTA협상서 감귤을 제외키 위해 올인하는 도정의 모습이 때론 이들 농민들에게 비수로 꽂힌다. 한쪽에 치우친 올인정책은 역효과를 불러 일으킬 우려가 있는 것이다. 감귤 뿐만 아니라 모든 농작물에 대해 '신명나는 농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배려하는 것은 農政의 기본이다.

 얼마전 산지폐기와 관련해 취재를 하던중 인터뷰에 응한 농민의 목소리가 뇌리에 남는다. 내년에도 같은 농사를 지을거냐는 기자의 물음에 그는 단호하게 말했다. "그러면 땅을 놀릴까요. 농민들에게 땅을 놀린다는 것은 죄악입니다."
</font>
김성훈 사회부차장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29 제주감귤농협, 인터넷 경매 추진 관리자 2006-08-29 4058
328 회복 기조 속 국내·외 불확실성 변수 관리자 2006-08-28 3212
327 감귤 TRQ적용 FTA협상 난제 부상 관리자 2006-08-28 2861
326 감귤, FTA 넘기 ‘산넘어 산’ 관리자 2006-08-28 3328
325 [사설] 감귤 관세철폐 제외 꼭 관철돼야 관리자 2006-08-28 2929
324 "FTA 협상에 민간 의견 적극 반영" 관리자 2006-08-25 2688
323 "감귤 관세철폐 제외 대상 추진" 관리자 2006-08-25 2797
322 도내 친환경농산물 판로·유통체계 미흡 관리자 2006-08-25 3059
321 [기획]흔들리는 감귤농정 <하>선 고품질 후 행정지원 체제 시급 관리자 2006-08-25 3184
320 감귤유통명령제 재도입 의견수렴 나서 관리자 2006-08-25 2726
319 “한·미 FTA 감귤피해액 조정” 관리자 2006-08-25 3388
318 노지감귤 ‘파풍망’ 적정규격 찾았다 관리자 2006-08-25 4113
317 유전공학기술 이용한 신품종 감귤 생산 한다 관리자 2006-08-24 3593
316 감귤유통명령제 공청회 관리자 2006-08-24 3154
315 감귤 신품종을 찾아라 관리자 2006-08-24 3128
314 하우스단감 연합사업 추진 관리자 2006-08-24 3472
313 하우스감귤 3년 연속 호조 관리자 2006-08-24 4123
312 제주산 하우스 감귤 판로난에 연합사업 추진…단가 9천원대 관리자 2006-08-23 3115
311 "비상품 감귤 집중 단속을" 관리자 2006-08-23 3225
310 [흔들리는 감귤농정] <중>부실한 명품 지키기 관리자 2006-08-23 328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