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하우스감귤 ‘오렌지 악재’ 우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14 10:23:03      ·조회수 : 2,789     

하우스감귤 ‘오렌지 악재’ 우려
한라일보 6/14 고대용 기자
6월 수입량 작년보다 늘어 가격에 악영향 전망

 지난해산 노지감귤에 이어 하우스 감귤가격도 높은 시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외국산 오렌지 수입이 늘어날 전망이어서 악재로 작용할 우려를 낳고 있다.

 제주농협본부와 농업관측정보센터에 따르면 올해산 하우스감귤 생산예상량은 2만3천7백51톤으로 지난해 2만3천7백51톤보다 2천4백10톤 줄어들었다. 11일까지 출하량은 1천2백14톤으로 5.7%의 처리율을 보이고 있다.

 5월 하우스감귤 도매가격(상품 5kg)은 작년보다 2% 낮았지만 평년보다는 17% 높은 2만7천3백원을 기록했다. 5월 중순부터 가격이 높아져 6월 상순에는 작년보다 11%, 평년보다 24% 높은 2만9천2백원을 유지했다.

 5월 중순에서 6월 상순까지 하우스감귤 가격이 높게 형성된 것은 하우스감귤 공급량이 줄어든데다 참외·수박 등의 대체과일 공급량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6∼7월에 출하될 하우스감귤 품질조사 결과 당도는 봄철 일조량 부족으로 작년보다 0.1브릭스 하락한 11.1브릭스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외관은 병해충 발생이 적어 작년보다 ‘좋음 36%’ , ‘비슷 62%’ , ‘나쁨 2%’로 나타나 양호한 것으로 조사됐다.

 6월 하우스감귤 가격은 공급량이 1% 증가하지만 대체과일 공급량이 감소하여 작년과 비슷한 2만7천∼2만8천원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오렌지 수입량이 늘어날 전망이어서 악재로 작용할 우려를 낳고 있다. 6월 오렌지 수입량은 작년보다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수입량 감소로 인한 국내가격 상승 영향으로 수입의향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특히 남아공산과 칠레산 오렌지 수입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칠레산은 지난 5월30일자로 한국수출이 허용된데다 다른 국가보다 방역규제가 적은 편이어서 하우스감귤 가격형성에 악영향을 줄 전망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85 감귤선과장 품질검사원 추천해야 관리자 2006-08-17 2966
284 [사설] 왁스코팅 논란, 해결책 간단하다 관리자 2006-08-16 3095
283 감귤 개방 대응 ‘초비상’ 관리자 2006-08-16 4227
282 한·미,FTA 농산물 양허안 교환…감귤은? 관리자 2006-08-16 3078
281 감귤하우스 생산량 증가 기술 개발 관리자 2006-08-16 3835
280 감귤유통조절명령제 다시 도입, 농가 동의여부 조사 관리자 2006-08-16 2636
279 20년내 감귤 주산지 바뀐다 관리자 2006-08-16 3225
278 감귤 왁스코팅 금지,도-농협 갈등 관리자 2006-08-14 2618
277 감귤 거점 산지유통센터 시동 건다 관리자 2006-08-14 2852
276 [열린마당]감귤 왁스 사용했다고 청정 이미지 훼손되나? 관리자 2006-08-14 3777
275 올해산 노지감귤 48∼51만톤 관리자 2006-08-14 3427
274 농경연 FTA 감귤 피해분석 “과소평가” 농가 반발 관리자 2006-08-14 2962
273 제주감귤농협, 감귤지도대학 신설 등 지도사업 확대 관리자 2006-08-14 3170
272 “하우스감귤값 상승세 계속” 관리자 2006-08-11 2895
271 한미 FTA 놓고 중앙·지방 시각차 ‘여전’ 관리자 2006-08-11 2858
270 감귤유통명령제 재도입 행보‘가속’ 관리자 2006-08-11 3227
269 [해설/한·미 FTA 감귤피해액 차이 왜?]중앙시각 ‘왜곡’ 때문 관리자 2006-08-11 2815
268 "정부 FTA 감귤 피해액 산출, 자의성 많다" 관리자 2006-08-11 3157
267 농협 ‘파워브랜드’로 개방파고 넘는다 관리자 2006-08-10 2920
266 감귤랜드 민자유치 감감 관리자 2006-08-10 250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