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미 FTA4차 회의 제주 개최 확정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15 09:52:32      ·조회수 : 2,922     

한미 FTA4차 회의 제주 개최 확정
김종훈 수석대표, 14일 김태환 지사에게 '협조' 요청
'도 반대 입장 전달'…도민여론 무마용 의혹 분분
제주의소리 9/14 이재홍 기자
한미FTA 4차 본협상 제주개최가 확정됐다. 협상장소는 컨벤션센터에서 신라호텔과 하얏트호텔로 바뀌었다.
정부는 14일 오전 진동수 재정경제부 제2차관 주재로 한미FTA대책정례회의를 열고 한미FTA 4차 본협상을 오는 10월23일부터 27일까지 5일 동안 제주에서 개최키로 결정했다.
협상장소는 당초 검토됐던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신라호텔과 하얏트호텔로 변경됐다.
정부는 이날 4차 본협상 제주개최 방침을 결정한 후 김종훈 우리측 수석대표가 김태환 지사에게 직접 이 같은 뜻을 전달했으며, 김 지사도 이를 수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종훈 수석대표는 "한미FTA에 4차 본협상이 매우 중요하다"며 "제주에서 4차 본협상이 순조롭게 개최될 수 있도록 협조해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제주도는 이날 오후 1시쯤 4차 본협상이 제주에서 개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뜻을 외교통상부와 농림부에 전달했다고 밝혀 '사전 확인'여부에 대한 논란이 일 전망이다. .
정부가 4차 본협상 제주개최를 확정한 것은 이날 오전으로 제주도가 '불가' 입장을 외교통상부와 농림부에 전달하기 이전이다. 이에 따라 당국이 4차 본협상 제주개최를 이미 알고 있었던 게 아니냐는 추측의 분분하다.
제주의 생명산업이 감귤이 협상대상에 포함돼 감귤재배농가는 물론 도민사회가 FTA협상에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고, 4차 본협상 제주개최에 대한 반대여론이 있는 상황에서 제주도가 여론을 무마하기 위해 '반대입장'을 제주개최가 확정됐다는 사실을 통보받은 후 전달한 게 아니냐는 이야기다.
또 정부가 이미 실사까지 마쳤던 제주컨벤션센터 대신 신라호텔과 하얏트호텔로 협상장소를 바꾼 것도 제주컨벤션센터에서 협상이 열리는 것을 부담스러워 하는 제주도와 컨벤션센터의 입장을 정부가 어느 정도 받아들인 게 아니냐는 여론이 일고 있다.
전후 사정이 어쨌든 정부가 4차 본협상을 제주에서 개최키로 함에따라 반대대책위의 반발은 물론 도민사회에 긴장감이 감돌게 됐다.
정부는 제주도를 4차 본협상 후보지로 최적지라는 판단을 하고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정부는 제주도가 섬으로 육지부와 차단돼 반대시위대의 대규모 결집이 어려운데다 중문관광단지인 경우 외곽에서 통제할 경우 협상장 접근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지형적 특성 때문에 제주를 결정했다.
정부는 치안확보를 위해 육지부에서 경찰 5000~6000명을 제주에 내려보낼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65 감귤원 작업로 설치 고령농가 호응 관리자 2006-08-10 2629
264 감귤왁스코팅 논란 "이제 그만" 관리자 2006-08-09 2723
263 불신만 재촉하는 道 감귤농정 관리자 2006-08-09 2991
262 ”명확한 입장정리 시급” 관리자 2006-08-09 2295
261 제주산 감귤 호주 진출하나 관리자 2006-08-09 3117
260 하우스감귤 포장중량 1.5~3㎏ 등 다양해졌다. 관리자 2006-08-09 2691
259 [사설] 감귤 피해 규모 산출 어느 쪽이 맞나 관리자 2006-08-08 2877
258 ‘감귤시험장’ 독립기관 신설 관리자 2006-08-08 3216
257 서귀포시, 농산물 물류표준화에 15억원 투자 관리자 2006-08-08 2653
256 감귤 왁스코팅, 해야되나 말아야 되나 관리자 2006-08-08 2824
255 김지사 국정현안 회의서 "감귤 FTA협상 제외 분명히 할터" 관리자 2006-08-08 2749
254 제주산 한라봉+감귤 ‘한라봉 제주감귤’주스 출시 관리자 2006-08-08 3949
253 "고품질 감귤만이 살 길” 관리자 2006-08-07 3203
252 대일수출 물량 해마다 감소 관리자 2006-08-07 2784
251 한ㆍ미 FTA‘ 감귤피해' 1678억-793억 관리자 2006-08-07 2826
250 왁스코팅 감귤 규제 ‘눈치’ 관리자 2006-08-07 3890
249 감귤 일단은 개방서 ‘예외’ 관리자 2006-08-07 2845
248 감귤농업인 교육 호응 관리자 2006-08-07 2340
247 1조원이나 차이나는 감귤산업 피해액 관리자 2006-08-07 2781
246 감귤,FTA 농산물 '민감도 10위'이내 관리자 2006-08-07 301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