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유통명령제 개선 시급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15 10:24:00      ·조회수 : 2,782     

감귤유통명령제 개선 시급
한라일보 5/15 고대용 기자
크기외에 품질도 상품기준에 포함해야

자치경찰 단속투입 위반자 처벌 강화를

 전국 단위의 감귤유통조절명령제 도입이 제주지역의 경제를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는 계기를 마련해 준 가운데 효율성과 실효성을 더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감귤유통명령제 시행시 총 87개반 3백55명의 단속요원이 투입돼 도내 2백18건, 도외 1백82건 등 모두 4백건을 적발했다. 유형별 적발내역은 비상품감귤 유통 3백27건, 강제착색 26건, 품질관리 미이행 34건, 기타가 13건이다. 주체별로는 상인단체 3백9건, 농·감협 47건, 법인 및 개인이 44건이다.

 이 처럼 감귤유통명령제가 비상품감귤 유통차단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나 보다 더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농·감협, 농민, 산지유통인 등 각 유통주체의 적극적인 참여하에 크기뿐만 아니라 품질에 의한 상품기준도 도입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유통명령제 위반자에 대한 강력한 처벌조항 삽입, 왁스코팅 금지, 전국 소비지로의 확대 및 도매시장의 추가 확대(도매시장+유사도매시장+운송업체+해운업체+택배업체 포함) 등 2005년산에 비해 더 강력한 규제를 취할 수 있는 형태로 제도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문이다.

 특히 위반자에 대한 강력한 단속과 함께 지금보다 훨씬 강화된 과태료(현행 5백만원에서 1천만원으로 상향조정)를 부과하여 비상품감귤의 유통 인센티브를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유통명령제를 준수한 농가·상인을 적극 보호해야 한다.

 게다가 효율적이고 강력한 단속을 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민간 단속요원보다는오는 7월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에 맞춰 창설되는 자치경찰을 단속에 투입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검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FTA기금 과수지원사업을 통해 최소 연간 2만톤 규모의 품질선과가 가능한 비파괴광센서 장착과 이력추적관리가 가능한 거점산지유통센터 구축도 추진돼야 한다는 여론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69 [해설/한·미 FTA 감귤피해액 차이 왜?]중앙시각 ‘왜곡’ 때문 관리자 2006-08-11 3221
268 "정부 FTA 감귤 피해액 산출, 자의성 많다" 관리자 2006-08-11 3705
267 농협 ‘파워브랜드’로 개방파고 넘는다 관리자 2006-08-10 3385
266 감귤랜드 민자유치 감감 관리자 2006-08-10 3201
265 감귤원 작업로 설치 고령농가 호응 관리자 2006-08-10 3084
264 감귤왁스코팅 논란 "이제 그만" 관리자 2006-08-09 3168
263 불신만 재촉하는 道 감귤농정 관리자 2006-08-09 3542
262 ”명확한 입장정리 시급” 관리자 2006-08-09 2712
261 제주산 감귤 호주 진출하나 관리자 2006-08-09 3576
260 하우스감귤 포장중량 1.5~3㎏ 등 다양해졌다. 관리자 2006-08-09 3135
259 [사설] 감귤 피해 규모 산출 어느 쪽이 맞나 관리자 2006-08-08 3269
258 ‘감귤시험장’ 독립기관 신설 관리자 2006-08-08 3690
257 서귀포시, 농산물 물류표준화에 15억원 투자 관리자 2006-08-08 3051
256 감귤 왁스코팅, 해야되나 말아야 되나 관리자 2006-08-08 3273
255 김지사 국정현안 회의서 "감귤 FTA협상 제외 분명히 할터" 관리자 2006-08-08 3051
254 제주산 한라봉+감귤 ‘한라봉 제주감귤’주스 출시 관리자 2006-08-08 4331
253 "고품질 감귤만이 살 길” 관리자 2006-08-07 4056
252 대일수출 물량 해마다 감소 관리자 2006-08-07 3217
251 한ㆍ미 FTA‘ 감귤피해' 1678억-793억 관리자 2006-08-07 3262
250 왁스코팅 감귤 규제 ‘눈치’ 관리자 2006-08-07 451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