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잦은 비날씨 감귤원관리 비상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19 10:10:53      ·조회수 : 2,846     

잦은 비날씨 감귤원관리 비상
한라일보 5월 19일 오태현 기자
일조량 적고 강수량은 크게 늘어…개화기 감귤꽃 생리낙과 우려도

 최근 산남지역에 흐리고 비날씨가 이어지면서 감귤원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3월중 이상 기온으로 날씨가 따뜻해 새순 발아가 빨랐으나 4월 이후 흐리고 많은 양의 비날씨가 잦아 지면서 병해충 발생이 크게 우려돼 농가들이 울상 짓고 있다.

 서귀포시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올 봄철 기상이 3월은 전년이나 평년보다 0.9도∼2.1도 높았으나 4∼5월은 전년이나 평년보다 0.1∼2도 낮았으며, 일조 시간의 경우 3월 9.5시간∼44.1시간 많았지만 4∼5월은 30.1시간∼48시간이나 부족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수량은 3월이 전·평년보다 71.5∼1백40.4㎜ 적었지만 4∼5월은 전·평년보다 무려 1백12.2∼1백90.3㎜나 많은 것으로 기록됐다.

 이처럼 궂은 날씨와 일조량 부족으로 잿빛 곰팡이병과 더뎅이병 등 곰팡이성 병발생이 우려되는 가운데 일부 감귤원에서 병징이 나타나고 있다.

 또 새순 발아는 빨랐지만 꽃망울이 맺히고 꽃피는 시기가 늦어지면서 애넓적밑빠진 벌레 및 꽃 혹파리와 같이 꽃을 해치는 방화해충 발생이 많아지고 있다.

 농업기술센터는 이와함께 1차 생리낙과기(만개후 30일 이내)인 5월 하순 온도가 높아지면 생리낙과가 크게 우려된다고 밝혔다.

 농업기술센터는 곰팡이류 병은 저온 다습하면 극성을 부림으로 날씨 변화를 보면서 맑은 날을 이용, 병해충 방제를 당부하는 한편 꽃이 적은 나무는 생리낙과를 줄이기 위해 4종 복비 등을 엽면살포하여 양분 경합을 줄이고 새순 녹화를 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69 [해설/한·미 FTA 감귤피해액 차이 왜?]중앙시각 ‘왜곡’ 때문 관리자 2006-08-11 3234
268 "정부 FTA 감귤 피해액 산출, 자의성 많다" 관리자 2006-08-11 3717
267 농협 ‘파워브랜드’로 개방파고 넘는다 관리자 2006-08-10 3391
266 감귤랜드 민자유치 감감 관리자 2006-08-10 3213
265 감귤원 작업로 설치 고령농가 호응 관리자 2006-08-10 3088
264 감귤왁스코팅 논란 "이제 그만" 관리자 2006-08-09 3177
263 불신만 재촉하는 道 감귤농정 관리자 2006-08-09 3549
262 ”명확한 입장정리 시급” 관리자 2006-08-09 2725
261 제주산 감귤 호주 진출하나 관리자 2006-08-09 3585
260 하우스감귤 포장중량 1.5~3㎏ 등 다양해졌다. 관리자 2006-08-09 3144
259 [사설] 감귤 피해 규모 산출 어느 쪽이 맞나 관리자 2006-08-08 3278
258 ‘감귤시험장’ 독립기관 신설 관리자 2006-08-08 3701
257 서귀포시, 농산물 물류표준화에 15억원 투자 관리자 2006-08-08 3064
256 감귤 왁스코팅, 해야되나 말아야 되나 관리자 2006-08-08 3280
255 김지사 국정현안 회의서 "감귤 FTA협상 제외 분명히 할터" 관리자 2006-08-08 3063
254 제주산 한라봉+감귤 ‘한라봉 제주감귤’주스 출시 관리자 2006-08-08 4344
253 "고품질 감귤만이 살 길” 관리자 2006-08-07 4069
252 대일수출 물량 해마다 감소 관리자 2006-08-07 3223
251 한ㆍ미 FTA‘ 감귤피해' 1678억-793억 관리자 2006-08-07 3273
250 왁스코팅 감귤 규제 ‘눈치’ 관리자 2006-08-07 452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