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근래 감귤원에는...........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29 10:16:25      ·조회수 : 2,729     

근래 감귤원에는...........

한라일보 5/27 <김석중/제주시농업기술센터 감귤기술 담당>
금년도 기상은 알다가도 모르겠다. 늦서리로 인하여 일부지역 감귤나무가 추위 피해를 입는가 하면 봄이 일찍 찾아들어 감귤 새순이 예년에 비해 며칠 일찍 발아를 하여 좋은 징조를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4월 하순부터 봄다운 날씨가 계속 이어지지 못하여 감귤꽃이 피다가 움츠리고 식물도 계절에 민감한 반응으로 꽃이 늦게 피어 전년대비 여러 날 늦게 개화됨을 농가들이 피부로 느낄 정도이다.

 식물은 자연의 순리에 의해 새순이 나고 꽃이 피고 열매를 맺고 그리고 성숙기에 접어들어서는 고개를 숙이고 익음현상을 보이게 된다. 헌데 근래에 보면 감귤꽃이 개화되었지만 예년처럼 많은 양의 꽃은 아닌가 싶다. 지역간의 차이는 물론 지난해 착과량 또한 농장주가 과수원을 어떻게 관리 했느냐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인다. 온주밀감은 한 해 열매가 많이 열리면 한 해는 적게 열리는 해거리를 하는게 본래의 생리다. 그러나 해거리를 줄이는 방법인 전정을 비롯하여 비배관리, 적과 등으로 다소 조정될 수는 있으나 그렇게 큰 차이를 가져오지는 않는다.

 근래 전화상담 양상을 보면 천차만별이다. 5월까지 단 한번도 농약 살포를 하지 않은 농가가 있는가 하면 벌써 2∼3회 살포한 농가도 있다. 분명한 것은 병은 반드시 예방 위주의 방제이고 충은 발생 정도가 심하기 전에 방제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는 것이다. 요사이 지역적으로나 농장 간에 다소 감귤꽃 개화 정도가 차이 있는데 기본적으로 방제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다만 어떠한 약종을 제시하기보다는 왜 방제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강조하고자 한다.

 어느 농장이건 꽃잎이 만개 후 꽃잎 색깔이 변하고 낙화될 무렵 습도가 높거나 비가 주룩주룩 내리게 되면 꽃에 곰팡이병이 발생하게 되므로 잿빛곰팡이병약을 날씨가 좋은 날을 택하여 살포하되 새순 끝에 진딧물이 달라붙고 있으므로 진딧물약을 혼용하여 살포해야 한다. 곰팡이병이 방제가 안 되면 과실에 버즘처럼 된 딱지가 붙어 수확할 때까지 흔적이 남게 됨을 잊지 말아야 한다. 꽃잎이 거의 다 떨어진 시기에 정상적인 기상이라면 기본적으로 흑점병약을 살포하여 사전 방제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흑점병약은 살포시 살충제와 혼용 하여 살포코자 할 때에는 반드시 농약혼용 가부표를 참고해야 한다.

 한 가지 금물이라면 단 한번에 다종의 농약(3종 이상)을 혼용하여 살포함은 매우 위험스러운 일이라는 것이다. 어떤 병해충을 중점적으로 방제해야 할 것인가를 반드시 사전에 과수원을 예찰하여 정해야 한다. 농약도 오·남용이 되지 않도록 해 생산비를 줄이는 것도 농가경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농업기술센터나 농업기술원에 전화하여 전문지도사와 상담하는 것도 매우 바람직한 방법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45 김재윤 의원, 감귤포함 과수산업발전 특별법 입법추진 관리자 2006-08-07 2572
244 한·미FTA 체결로 수입오렌지 관세 철폐, 감귤생산액 연 790억 감소 관리자 2006-08-07 2813
243 [사설] ‘감귤 코팅 금지 조례’ 유보 안된다 관리자 2006-08-07 2645
242 올해산 하우스감귤 값 '쾌조' 관리자 2006-08-04 2491
241 제주시농협 부록감귤작목반 친환경 액비제조기술 교육 관리자 2006-08-04 2779
240 한라친환경감귤작목반’ 이달의 작목반 선정 관리자 2006-08-04 2898
239 "감귤산업 민간품목으로 지정돼야" 관리자 2006-08-04 2363
238 감귤농가 "재해보험, 있으나마나" 관리자 2006-08-04 2839
237 “한라봉을 마시자”…농협, 180㎖등 출시 관리자 2006-08-04 2893
236 고품질 감귤생산교육…농가 80%가 ‘만족’ 응답 관리자 2006-08-04 3260
235 비감귤유통명령제 '입장대림' 실상 … 관리자 2006-08-03 2378
234 감귤먹은 닭고기로 햄 가공개발 '상품화' 추진 관리자 2006-08-03 3139
233 감귤유통조절명령 재도입 결정 관리자 2006-08-03 2737
232 감귤하우스 지원 농가요구 못 미쳐 관리자 2006-08-03 2457
231 농협 농산물 공판 상반기 3798억원 관리자 2006-08-02 3249
230 "감귤 40년 역사의 새 기록 될 것" 관리자 2006-08-01 2551
229 감귤육종연구소 설립 관심…이달 초 판가름 관리자 2006-08-01 3578
228 ”한미 FTA서`감귤 보호해야” 관리자 2006-08-01 2458
227 유통명령제 재도입 본격화 관리자 2006-08-01 2792
226 제주감귤 경쟁력 강화 ‘박차’ 관리자 2006-08-01 228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