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소포장 출하'완전 정착'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1-25 09:57:38      ·조회수 : 2,852     


<b><font size=5>
소포장 출하 ‘완전 정착’ </font><font size=3 color=blue>
aT‘2006년산 노지감귤 유통실태’…<下>출하 현황은 </font>

2007년 01월 24일 (수) 신정익 기자

<font size=3>
농수산물유통공사(aT)가 지난달 조사한 ‘2006년산 노지감귤 유통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포장 출하가 완전 정착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 노지감귤의 출하처별 비율은 공영도매시장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 가운데 유사도매시장과 직거래 등이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에서 출하감귤의 포장단위는 10㎏가 전체의 90%를 차지, 2005년산에 이어 지속적으로 90%를 유지하면서 소비자들의 구매행태 변화에 맞춰 소포장 단위 출하가 정착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출하단체별 출하상황을 보면 농·감협 등 생산자단체 48%, 상인단체 40%, 영농법인 12% 등으로 나타나 농.감협의 계통처리 비율이 전년 51%에서 소폭 감소한 반면 영농법인의 비중은 3%포인트 증가했다.

또 출하신고소별 물량 비중은 제주항이 36%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서귀포항 34%, 성산항 19%, 한림항 10% 등의 순이었다. 2004년산과 2005년산은 서귀포항을 통한 출하가 가장 많았으나 2006년산의 경우 일부 운송회사 선박이 한림항에서 제주항으로 기항지를 옮긴데다 산남지역 물량을 제주시 지역 운송회사에서 맡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와 함께 출하처별 비율을 보면 전체 상품 출하량의 59%는 공영도매시장에서 처리되고 있으며 유사도매시장 22%, 직거래 15%, 농협공판장 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26%로 가장 많았으며 경기(17%), 부산·대구(8%), 광주(6%), 인천·대전(5%)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결과적으로 수도권의 점유비가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48%를 차지해 감귤소비의 주요 시장으로 확인됐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69 [해설/한·미 FTA 감귤피해액 차이 왜?]중앙시각 ‘왜곡’ 때문 관리자 2006-08-11 3304
268 "정부 FTA 감귤 피해액 산출, 자의성 많다" 관리자 2006-08-11 3764
267 농협 ‘파워브랜드’로 개방파고 넘는다 관리자 2006-08-10 3449
266 감귤랜드 민자유치 감감 관리자 2006-08-10 3271
265 감귤원 작업로 설치 고령농가 호응 관리자 2006-08-10 3136
264 감귤왁스코팅 논란 "이제 그만" 관리자 2006-08-09 3240
263 불신만 재촉하는 道 감귤농정 관리자 2006-08-09 3598
262 ”명확한 입장정리 시급” 관리자 2006-08-09 2780
261 제주산 감귤 호주 진출하나 관리자 2006-08-09 3644
260 하우스감귤 포장중량 1.5~3㎏ 등 다양해졌다. 관리자 2006-08-09 3204
259 [사설] 감귤 피해 규모 산출 어느 쪽이 맞나 관리자 2006-08-08 3339
258 ‘감귤시험장’ 독립기관 신설 관리자 2006-08-08 3755
257 서귀포시, 농산물 물류표준화에 15억원 투자 관리자 2006-08-08 3127
256 감귤 왁스코팅, 해야되나 말아야 되나 관리자 2006-08-08 3340
255 김지사 국정현안 회의서 "감귤 FTA협상 제외 분명히 할터" 관리자 2006-08-08 3123
254 제주산 한라봉+감귤 ‘한라봉 제주감귤’주스 출시 관리자 2006-08-08 4412
253 "고품질 감귤만이 살 길” 관리자 2006-08-07 4126
252 대일수출 물량 해마다 감소 관리자 2006-08-07 3281
251 한ㆍ미 FTA‘ 감귤피해' 1678억-793억 관리자 2006-08-07 3326
250 왁스코팅 감귤 규제 ‘눈치’ 관리자 2006-08-07 458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