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개화상황 조사결과, 생산예상량 48만~51만9000톤 전망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8-05-30 17:17:03      ·조회수 : 2,643     

올해 노지감귤 많이 열려야 52만톤!
감귤개화상황 조사결과, 생산예상량 48만~51만9000톤 전망
작년 71% 수준…착과율 향상 위한 새순솎기·방제 철저 당부



올해산 노지감귤은 많이 열려야 52만톤을 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감귤관측조사위원회(위원장 강지용)와 제주도 농업기술원이 합동으로 올해 감귤생산예상량 관측조사 결과, 48만5000~51만9000톤 정도 생산될 것으로 관측됐다.

지난해 1차 관측조사 발표 때는 최소 56만8000톤에서 최대 60만6000톤으로 발표됐다.

이번 조사는 꽃이 핀 정도를 통해 이뤘다. 조사대상 감귤원에 2그루를 선정해 동서남북 4방향 가지의 꽃수와 묵은 잎 수를 세어 화엽비를 조사했다.

조사결과, 화엽비는 0.58개(적정 0.7개)로 집계됐는데, 이는 전년도 0.81개, 평년 0.80개보다 각각 71.6%, 72.5% 수준에 머물렀다.

이처럼 꽃이 적은 요인은 지난해 풍작과 늦은 수확에 따른 나무의 힘(수세)이 약해진데다 올 들어 1~2월 추운 날씨가 많아 조기낙엽과 꽃눈이 감소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앞으로 2차례에 걸친 생리적 낙과와 장마철 기상여건 등에 따라 생산량은 변동이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감귤 착과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6월 상순까지 새순 솎기, 농약 살포, 병해충 방제 등을 중점적으로 실천해야 할 것으로 감귤당국은 당부했다.

이와 관련 강지용 감귤관측조사위원장은 “올해 개화 상황은 과수원과 나무별로 꽃핀 양이 극히 적거나 남아 뚜렷한 양극화 현상이 나타난 것이 큰 특징”이라며 “착과율 향상을 위한 농가에서의 새순 솎기와 병해충 방제 등의 자구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농업기술원은 오는 8월 하순에 감귤 착과율을 조사한 후 제2차 감귤생산예산량을 발표할 예정이다.<제주의소리>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47 1조원이나 차이나는 감귤산업 피해액 관리자 2006-08-07 2851
246 감귤,FTA 농산물 '민감도 10위'이내 관리자 2006-08-07 3049
245 김재윤 의원, 감귤포함 과수산업발전 특별법 입법추진 관리자 2006-08-07 2622
244 한·미FTA 체결로 수입오렌지 관세 철폐, 감귤생산액 연 790억 감소 관리자 2006-08-07 2890
243 [사설] ‘감귤 코팅 금지 조례’ 유보 안된다 관리자 2006-08-07 2757
242 올해산 하우스감귤 값 '쾌조' 관리자 2006-08-04 2619
241 제주시농협 부록감귤작목반 친환경 액비제조기술 교육 관리자 2006-08-04 2883
240 한라친환경감귤작목반’ 이달의 작목반 선정 관리자 2006-08-04 3031
239 "감귤산업 민간품목으로 지정돼야" 관리자 2006-08-04 2458
238 감귤농가 "재해보험, 있으나마나" 관리자 2006-08-04 2951
237 “한라봉을 마시자”…농협, 180㎖등 출시 관리자 2006-08-04 2900
236 고품질 감귤생산교육…농가 80%가 ‘만족’ 응답 관리자 2006-08-04 3356
235 비감귤유통명령제 '입장대림' 실상 … 관리자 2006-08-03 2484
234 감귤먹은 닭고기로 햄 가공개발 '상품화' 추진 관리자 2006-08-03 3224
233 감귤유통조절명령 재도입 결정 관리자 2006-08-03 2783
232 감귤하우스 지원 농가요구 못 미쳐 관리자 2006-08-03 2535
231 농협 농산물 공판 상반기 3798억원 관리자 2006-08-02 3351
230 "감귤 40년 역사의 새 기록 될 것" 관리자 2006-08-01 2605
229 감귤육종연구소 설립 관심…이달 초 판가름 관리자 2006-08-01 3688
228 ”한미 FTA서`감귤 보호해야” 관리자 2006-08-01 253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