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ㆍ미 FTA 감귤협상품목 제외 노력 '무용지물'(?)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7-19 09:57:15      ·조회수 : 2,386     

한ㆍ미 FTA 감귤협상품목 제외 노력 '무용지물'(?)
제주타임즈 7/19 김용덕 기자
한미FTA 협상시 감귤품목 협상제외를 추진하고 있는 자치도와 달리 정작 농림부는 ‘민감품목 포함’ 등으로 일관하고 있어 자치도와 FTA감귤대책위원회의 각종 대응방안이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자치도는 감귤산업의 경우 타시도의 쌀과 같은 생명산업으로 이번 한미FTA에서 다뤄줄 것을 농림부와 관계부처에 수차례 건의했지만 돌아오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또한 한미FTA감귤대책위원회가 14일 2차 서울 협상이 끝난 직후 대책위를 비롯 감귤전문가, 도, 행정시 공무원, 생산자 단체, 감귤경쟁력강화혁신단 등의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대응전략 마련을 위한 워크숍을 가졌다. 감귤대책위는 이 보다 앞서 지난 8일 감귤협상품목제외 도민 10만명 서명서를 청와대 및 농림부 등에 제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 진전된 사안은 하나도 없다. 현재 진행되는 논의나 전에 보여주었던 모든 대책들이 원론에서 맴돌고 있다는 지적이다. 즉 “감귤은 제주의 지주산업인 만큼 쌀과 같이 동등한 지위를 얻어 협상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도록 모든 지혜와 역량을 모아나가자”는 것이 전부다.

감귤대책위는 워크숍을 통해 한미FTA저지 제주도농축수산비상대책위원회는 협상저지, 제주도감귤대책위원회는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등 직능단체별로 투쟁에 나서는 한편 사이버 투쟁 전면실시, 감귤농가들의 강력한 의식변화 등 특단의 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그러나 과연 이 같은 특단의 대책이 현재 농림부와 미국협상단을 움직일 수 있을 것인지는 미지수다.
고두배 친환경농축산국장은 18일 기자 정례브리핑 자리에서 “2차 협상결과 한국측이 제기한 관세철폐 5단계인 3년, 5년, 10년, 15년, 기타로 합의됐다”면서 “감귤의 경우 기타 사항에 포함시켜야만 15년 경과후 별도의 유예기간을 보장받을 수 있다”고 말해 사실상 민감품폭으로 협상이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만약 감귤류가 10년 관세철폐품목으로 협상이 이뤄질 경우 10년후 관세가 철폐, 값싼 수입산 감귤류 수입으로 제주감귤산업 기반이 송두리째 흔들릴 수 있다.
한미FTA 감귤류 협상제외를 주장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25 난립 선과장 통·폐합 나선다 관리자 2006-08-01 3543
224 제주상의, 지역특산품 명품화 지원 관리자 2006-08-01 2717
223 핵심산업 육성·균형개발 주문 관리자 2006-07-31 2484
222 [기고]토양 피복재배로 맛있는 감귤을 관리자 2006-07-31 2566
221 [기고]감귤류, 한미FTA 협상품목서 반드시 제외돼야 관리자 2006-07-31 3316
220 청정‘제주의 맛’으로 성공신화 도전 관리자 2006-07-31 2774
219 감귤 예상량 주먹구구 산정 관리자 2006-07-31 2897
218 거점산지유통센터 제주 2개소 선정 관리자 2006-07-31 2930
217 감귤농협-난지연구소 감귤기술협력 체결 관리자 2006-07-31 3100
216 썬키스트 ‘오렌지’ 농산물홍보 美서 첫 도입 관리자 2006-07-31 3636
215 ‘블로초’ 역시 최고 감귤 브랜드 관리자 2006-07-25 3437
214 농정당국 제도개선 ‘미적미적’ 관리자 2006-07-25 2658
213 장마철 농작물 방제 ‘비상’ 관리자 2006-07-25 2717
212 땅속공기 농법에 이용 관리자 2006-07-25 3033
211 감귤 공동선별 공동계산제 활성화 관리자 2006-07-24 2696
210 고품질감귤 생산 농업인교육 성황리에 마무리 관리자 2006-07-24 2701
209 도의회`쟁점 관리자 2006-07-24 2744
208 한미 FTA 감귤 초미 관심사로… 관리자 2006-07-24 2834
207 “감귤 조수입 1조원 시대 열자” 관리자 2006-07-24 2617
206 성산읍 일대 대규모 우박 피해 '어쩌나' 고민 관리자 2006-07-24 299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