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유통구조개선 ‘소리만 요란’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14 10:04:40      ·조회수 : 2,637     

감귤 유통구조개선 ‘소리만 요란’
선과장 통폐합·등록제 등 정책 일관성 잃어
제주일보 9/14 김태형 기자
낡은 시설과 소규모 운영 등으로 효율성이 떨어지는 감귤 선과장을 통·폐합, 지역별 대형 거점선과장 시설을 갖추는 산지 유통구조 개선 정책이 삐걱거리고 있다.

특히 산지 유통구조 개선은 감귤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선결과제인데도 정책 방향에 일관성을 잃으면서 제주도의 감귤정책이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는 지적이다.

제주도는 13일 감귤 유통시스템 혁신 차원에서 선과장 대형화를 유도하기 위해 지난 7월부터 선과장 등록제를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선과장 등록제는 무허가 선과장과 기준 미달 선과장 등을 정비해 산지 유통체계의 규모화·대형화를 유도, 물류비 절감과 출하조절 등의 기대효과를 얻기위해 도입됐다.

실제 제주도가 최근 선과장 현황을 파악한 결과 도내 665개 선과장 중 30%를 웃도는 240개 선과장이 무허가 건축물로 분류됐다.

또 관련 연구용역 결과 대부분의 감귤 선과장이 드럼식 선과기를 사용, 감귤 선과의 효율성이 떨어지는데다 절반 정도가 낡은 시설과 소규모 운영 등으로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진단됐다.

하지만 제주도는 최근 ‘제주도 감귤 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을 마련하면서 선과장 등록기준과 품질검사원 대상자 신고에 대한 경과조치 규정을 달아 2010년 6월말까지 유예 조치했다.

결과적으로 2010년까지 현행 선과장 운영을 허용해준 셈으로, 선과장 통·폐합을 통한 산지 유통구조 개선은 물론 산지거점유통센터(APC)에도 적지 않은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그런데도 제주도는 최근 ‘감귤산업 육성 로드맵‘을 마련하면서 유통구조 혁신을 위해 2010년까지 선과장을 500개소로 줄이겠다고 밝히고 있어 ‘구호만 요란’한 것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도의회 안동우 농수축지식산업위원장은 “선과장 등록기준에 관한 경과조치는 법과 현실이 다르게 적용되는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며 “명확한 입장 정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대해 제주도 관계자는 “미등록 선과장 운영을 막을 경우 유통처리에 혼란을 주는데다 행정소송 시비에 휘말릴 우려도 제기돼 유예 조치하게 됐다”고 해명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25 난립 선과장 통·폐합 나선다 관리자 2006-08-01 3578
224 제주상의, 지역특산품 명품화 지원 관리자 2006-08-01 2750
223 핵심산업 육성·균형개발 주문 관리자 2006-07-31 2526
222 [기고]토양 피복재배로 맛있는 감귤을 관리자 2006-07-31 2611
221 [기고]감귤류, 한미FTA 협상품목서 반드시 제외돼야 관리자 2006-07-31 3361
220 청정‘제주의 맛’으로 성공신화 도전 관리자 2006-07-31 2817
219 감귤 예상량 주먹구구 산정 관리자 2006-07-31 2945
218 거점산지유통센터 제주 2개소 선정 관리자 2006-07-31 2977
217 감귤농협-난지연구소 감귤기술협력 체결 관리자 2006-07-31 3134
216 썬키스트 ‘오렌지’ 농산물홍보 美서 첫 도입 관리자 2006-07-31 3681
215 ‘블로초’ 역시 최고 감귤 브랜드 관리자 2006-07-25 3482
214 농정당국 제도개선 ‘미적미적’ 관리자 2006-07-25 2707
213 장마철 농작물 방제 ‘비상’ 관리자 2006-07-25 2760
212 땅속공기 농법에 이용 관리자 2006-07-25 3078
211 감귤 공동선별 공동계산제 활성화 관리자 2006-07-24 2746
210 고품질감귤 생산 농업인교육 성황리에 마무리 관리자 2006-07-24 2760
209 도의회`쟁점 관리자 2006-07-24 2790
208 한미 FTA 감귤 초미 관심사로… 관리자 2006-07-24 2880
207 “감귤 조수입 1조원 시대 열자” 관리자 2006-07-24 2660
206 성산읍 일대 대규모 우박 피해 '어쩌나' 고민 관리자 2006-07-24 303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