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류 향방 여전히 ‘불투명’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7-01-22 10:01:31      ·조회수 : 2,301     

<p></p>
<font size="5"><b>감귤류 향방 여전히 ‘불투명’ </b></font>

<font size="4" color="blue">한미FTA 6차협상 진전 없이 끝나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20 김재범 기자

한미 FTA(자유무역협정)와 관련 제주 생명산업인 감귤류의 향방은 최종 협상 단계

에서 양국 실무팀보다는 고위급 회담 등을 통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미 FTA 6차 협상 마지막날인 19일 농업분과 관계자는 “오렌지 등 감귤류를 비롯

해 농산물 민감품목에 대해서는 양국간 입장차이만 확인하며 진전을 보지 못했다”

며 “실무적으로 해결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는 2월 12일부터 미국에서 이어질 7차 협상에서 다시 논의될 예정이지

만 미국은 제한없는 관세철폐를 끊임없이 요구하는 반면 한국은 민감품목 개방 제

외 및 피해 최소화로 맞서고 있어 협상 타결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이다.

실제 농산물 민감품목 처리는 7차 또는 8차 협상이든 최종단계에서야 매듭지어지고

고위급 등을 통한 극적인 타개책의 하나로 풀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런데 정부는 공식적으로 올 상반기내 협상 타결에 노력하는 한편 쌀의 양허(개

방) 제외 관철을 추진하는 등 민간품목에 대한 양허전략으로 피해 최소화 및 협상

공감대 형성 대응전략을 수립해놓고 있다.

이 때문에 과연 감귤이 제주도가 요구하는대로 개방 대상에서 계속 제외될수 있을

지, 쌀과 동등한 수준으로 협상이 이뤄질지 여부는 아직까지도 불투명한 실정이다.

미국측 웬디 커틀러 수석대표나 앤드류 스테판 농업분과 대표도 제주도의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라는 거듭된 건의에 민감성을 고려한다면서도 명쾌한 확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한편 양국은 농산물 민감품목을 대상으로 특별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도입

과 TRQ(저율관세할당) 운용방식 등에 대해 협의를 벌이고 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29 감귤육종연구소 설립 관심…이달 초 판가름 관리자 2006-08-01 4405
228 ”한미 FTA서`감귤 보호해야” 관리자 2006-08-01 2931
227 유통명령제 재도입 본격화 관리자 2006-08-01 3244
226 제주감귤 경쟁력 강화 ‘박차’ 관리자 2006-08-01 2854
225 난립 선과장 통·폐합 나선다 관리자 2006-08-01 4059
224 제주상의, 지역특산품 명품화 지원 관리자 2006-08-01 3383
223 핵심산업 육성·균형개발 주문 관리자 2006-07-31 3053
222 [기고]토양 피복재배로 맛있는 감귤을 관리자 2006-07-31 3299
221 [기고]감귤류, 한미FTA 협상품목서 반드시 제외돼야 관리자 2006-07-31 4156
220 청정‘제주의 맛’으로 성공신화 도전 관리자 2006-07-31 3364
219 감귤 예상량 주먹구구 산정 관리자 2006-07-31 3488
218 거점산지유통센터 제주 2개소 선정 관리자 2006-07-31 3491
217 감귤농협-난지연구소 감귤기술협력 체결 관리자 2006-07-31 3532
216 썬키스트 ‘오렌지’ 농산물홍보 美서 첫 도입 관리자 2006-07-31 4207
215 ‘블로초’ 역시 최고 감귤 브랜드 관리자 2006-07-25 3939
214 농정당국 제도개선 ‘미적미적’ 관리자 2006-07-25 3201
213 장마철 농작물 방제 ‘비상’ 관리자 2006-07-25 3279
212 땅속공기 농법에 이용 관리자 2006-07-25 3610
211 감귤 공동선별 공동계산제 활성화 관리자 2006-07-24 3165
210 고품질감귤 생산 농업인교육 성황리에 마무리 관리자 2006-07-24 320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