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미래도 없고…대안도 없고…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12 10:21:38      ·조회수 : 2,156     

미래도 없고…대안도 없고…
통계청‘2005년`농가통계’
제주일보 5/12 신정익 기자
제주지역 감귤재배 농가와 공무원· 농·감협 직원 등 전문가들 모두 감귤산업의 전망에 대해 비관적인 생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처럼 감귤의 미래에 대해 부정적인 전망에도 불구하고 감귤 외에는 마땅한 대체작목이 없다고 밝혀 농정당국 등의 역할이 대폭 강화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감귤유통조절추진위원회와 제주감귤협의회(회장 강희철·서귀포농협 조합장)가 제주대 연구팀에 의뢰해 도내 농가 822명과 지자체 공무원 및 농·감협 관계자 202명 등으로 대상으로 감귤유통명령제를 비롯해 감귤산업 현안에 대해 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감귤산업 및 가격 전망은=이번 조사에서 감귤산업 전망에 대해 농가 응답자 가운데 90.4 %가 ‘전망이 어둡다’고 답한 반면 ‘전망이 희망적’이라고 내다본 농가는 9.4%에 그쳤다.

공무원과 농·감협 직원 등 전문가 그룹 역시 감귤산업이 희망적이라는 응답은 22.3%에 그친 반면 ‘전망이 어둡다’는 응답은 77.7%로 나타나 감귤산업의 미래에 대해 비관적인 전망이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함께 농가들은 향후 감귤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응답이 83.2%에 달해 ‘가격 상승을 예상’하는 농가 1.5%에 비해 크게 높아 감귤산업 전망에서 보인 비관적 인식이 가격전망에도 그대로 투영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전문가들 역시 가격전망에 대해 ‘하락할 것’이라는 예상이 71.8%로 나타난 반면 ‘상승할 것’으로 내다 본 응답은 5.9%에 그쳤다.

▲감귤생산 과제와 적정 생산량은=농가들은 노지감귤이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과제로 ‘품질향상’(29.4%)을 들었다. 이어 ‘적정생산’(23.8%), ‘출하조절’(12.6%) 등을 꼽았다. 전문가그룹 역시 ‘품질향상’(38.9%)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적정생산’(24.6%), ‘출하조절’(8.5%) 등이 뒤를 이었다.

이와 함께 적정생산량은 농가의 경우 응답자의 42.3%가 46만∼50만t이라고 밝혔으며 51만~55만t은 18%, 41만∼45만t은 17.8% 등의 순으로 나타나 전체농가의 86.6%는 적정생산량을 55만t이하로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적정생산량으로 46만 5000t으로 추정했다.

앞으로 가장 경쟁력 있는 작목으로 농가의 28.9%는 노지감귤을 선택한 것을 비롯해 한라봉(15.6%), 하우스감귤(12.7% ), 비가림(12.3%) 등을 들어 10명 중 7명은 감귤류가 가장 경쟁력이 있다고 답해 비관적인 전망에도 불구하고 감귤 만한 작목이 없는 현실을 그대로 드러냈다.

전문가 그룹도 노지감귤(17.7%)을 비롯해 한라봉(15.9 %), 하우스감귤(10.0%), 비가림(7.7%) 등을 경쟁력 있는 작목으로 꼽아 농가들과 비슷한 생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농가 가구당 소득 4406만원‘최고’

지난해 농가 소득 중 축산농가 소득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05년 농가통계에 따르면 축산농가의 가구당 소득은 전년대비 3.1% 증가한 4406만 1000원으로 영농형태 중 최고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축산농가의 소득은 논벼농가의 가구당 평균소득 2264만 8000원의 2배에 이르는 수준이다.

축산농가 다음으로 특작, 화훼농가 순으로 소득이 높았다.

이처럼 축산농가의 소득이 증가한 것은 축산업이 우루과이라운드 협상 이후 상대적으로 빠르게 규모화된데다 지난해 축산물 가격이 예년에 비해 높았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축산농가의 소득 중 농업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72.2%로 다른 영농농가보다 월등히 높았다.

축산농가와 함께 농가소득이 비교적 높은 특작, 화훼농가의 경우 농업소득 비중이 각각 71.3%, 73.9%로 축산농가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대상 농가의 평균 농업총수입 2649만 6000원 가운데 축산수입이 638만 6000원으로 24.1%의 비중을 차지, 2004년 18.9%보다 5.2%포인트 증가했다.

축산농가의 농가경제잉여금은 1462만 2000원으로 논벼농가 140만 1000원에 비해 10배 이상 많았다. 또 2005년 자산은 전년대비 6.4% 증가했으며 부채는 전년대비 9.5% 감소해 부채비율이 13.28%에서 2005년 10.04%로 감소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165 대전에서 서울에서...양파농가 "수입 땜에 못 살겠다" 총무기획부 2025-07-24 53
2164 '구좌 당근'인기에 재배면적 매년 급증...수급불균형 우려 총무기획부 2025-07-23 66
2163 [생산비 절감 농업] 농산물 품질 유지와 운송비 절감에 효과 총무기획부 2025-07-20 92
2162 제주 하우스감귤 출하 단일화···농가소득 높였다 총무기획부 2025-07-16 131
2161 한여름에도 새콤달콤 제주 감귤···'하하'축제서 맛보세요 총무기획부 2025-07-08 159
2160 [카드뉴스]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카카오톡 채널친구 추가 안내 총무기획부 2025-07-07 149
2159 깐마늘 소비 부진, 양파 가격 하락에 소비촉진 행사 열려 총무기획부 2025-07-02 269
2158 '고당도' 제주하우스감귤, 내달 출하한다...2만 6600t 규모 총무기획부 2025-06-30 316
2157 25년산 육지부당근 재배현황 및 유통실태 시장조사 참여 총무기획부 2025-06-27 342
2156 마늘·양파 생산 농가, 최대 주산지 영남서 품목농협 출범 총무기획부 2025-06-25 314
2155 김완근 제주시장, 경남 창녕농협 방문해 농산물 직거래 활성화 간담회 총무기획부 2025-06-24 359
2154 제주도, '공감톡톡 제주농정 브리프' 창간호 발간 총무기획부 2025-06-17 361
2153 감귤 '상품' 기준 잘 바꿨다...행안부 '적극행정' 우수 사례로 총무기획부 2025-06-16 341
2152 제주 구제역 청정지역 인증 선포식..."축산물의 국제적 신뢰 의미" 총무기획부 2025-06-11 373
2151 제주농협, 10일 마늘·양파 직거래장터 연다 총무기획부 2025-06-10 467
2150 "뽑지도 않은 양파값까지 후려쳐" 뿔난 농심 총무기획부 2025-05-30 396
2149 제주 당근, 최근 10년간 노동시간 28% 감소 총무기획부 2025-05-28 411
2148 제주 '대정암반수 마늘 직거래장터'개장...6월3일까지 운영 총무기획부 2025-05-26 480
2147 한림농협, 우리지역 농산물 경쟁력 강화 위한 유통간담회 개최 총무기획부 2025-05-20 363
2146 제주 농수축산물, 현대홈쇼핑 통해 전국으로 판매 확대 총무기획부 2025-05-20 37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