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 전통감귤 개발 및 육성의 당위성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22 10:14:10      ·조회수 : 2,102     

제주 전통감귤 개발 및 육성의 당위성

양세완 21세기영농조합 법인대표

제주감귤이 아무런 변화 과정도 없이 대중화가 가능했던 것은 첫째 독점 생산이고, 둘째 쇄국적인 시장이고, 셋째는 감귤 소비를 지지해준 중산층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태생적인 것들이 부메랑이 돼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 막대한 행·재정적 투자에도 불구하고 제주감귤이 FTA 앞에 무기력 할 수밖에 없는 것이 이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이것은 제주 감귤산업의 병을 제대로 진단하지 못하고 처방했기 때문이다.

한 때 진상품이였던 제주 감귤이 이번 추석에 상대과일과 품질 대비 과소평가돼 싼 값에 팔리게 된 것은 브랜드 개념 부족 등으로 타고난 가치(품질)와 품격(문화)을 무시하고 남의 것만 모방하다 개성(고유 맛)을 잃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개성이란 시각, 촉각, 후각, 미각(고유 맛) 영양이 풍부한 오감의 전통감귤을 뜻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감귤과는 비교 할 수 없는 세계감귤의 톱 브랜드이고 제주감귤의 유일한 경쟁력이다. 제주에는 오감의 감귤을 재배 할 수 있는 조건(기후·물질· 환경)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오감의 감귤을 황금알로써 노지감귤 상품기준 50만t으로 마케팅(유통)만 뒷받침 해준다면 생산자수취가격기준 1조원을 훨씬 능가하는 규모의 감귤산업도 가능하다는 것을 2004년산 감귤에서 개인적으로 경험한바 있기 때문에 자신 있게 말 할 수 있다.

최근 속성 과일들이 소비자 기호(입맛)변화로 영양(웰빙)과일로 주력하는 것을 제주감귤 사회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서귀포 칠십리 감귤 정책이 실패하고 감귤 박물관이 적자 운영되고 있는 것도 1차산업 방식으로 재단되고 개량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오감의 전통감귤은 누구나 아무데서나 만들 수 없는 희소상품이기 때문에 제주의 보물이고 황금알을 낳는 최첨단 감귤산업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2 제주산 감귤 아이스크림 괌 수출길 오른다 기획정보과 2010-03-15 2284
151 2010년도 노지감귤 부농프로젝트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0-03-15 2001
150 감귤향 등 다양한 맛과 향의 차 선보여 기획정보과 2010-03-15 1919
149 '제주마씸' 서울 전문매장 확충 기획정보과 2010-03-02 2086
148 감귤먹은 '행복한 광어' 기획정보과 2010-03-02 1936
147 서귀포시, 소규모 저온저장고 시설 지원 기획정보과 2010-03-02 1869
146 감귤하우스 비상발전기 70대 지원 기획정보과 2010-03-02 1836
145 제주산 감귤 막걸리 개발 기획정보과 2010-03-02 1816
144 올해 농작물재해보험사업 가입신청 22일부터 기획정보과 2010-02-22 1899
143 감귤부산물 인공피부 소재 개발 기획정보과 2010-02-22 1867
142 북한으로 가는 제주감귤 출발 기획정보과 2010-02-22 1716
141 [제주]감귤로 의료용 인공피부 만든다 기획정보과 2010-02-22 1613
140 사랑과 평화의 감귤 12년째 북한간다 기획정보과 2010-02-22 1563
139 애물단지 감귤박 친환경 자원으로 기획정보과 2010-02-22 1621
138 도, 고품질 감귤 위한 '방풍망시설지원' 기획정보과 2010-02-22 1759
137 제주 감귤 올해도 북한 간다 기획정보과 2010-02-22 1563
136 감귤껍질 자원화...숯.사료로 재탄생 기획정보과 2010-02-22 1655
135 친환경 감귤 미생물 배양시설 지원 기획정보과 2010-02-12 1629
134 감귤하우스 자동개폐기시설 지원 기획정보과 2010-02-12 1908
133 감귤하우스 지원사업에 401억 투자 기획정보과 2010-02-12 165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