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 수출 대내외 여건 '취약'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0-04 08:46:18      ·조회수 : 1,905     

감귤 수출 대내외 여건 '취약'

농경연 분석 결과 품질 경쟁력.안정적 물량.보관기술 등 과제



데스크승인 2010.10.03 김태형 | kimth@jejunews.com



제주 감귤의 대내.외 수출 여건이 취약, 품질 경쟁력 및 안정적인 물량 확보는 물론 부패 방지 장기 보관기술 개발 등이 수출 활성화를 위한 선결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감귤 수출실적은 290만 달러로, 국내 전체 과실류 수출(1억7256만 달러)의 1.7%에 불과했다.

감귤 수출실적은 2004년 561만 달러에서 2005년 339만 달러, 2006년 318만 달러, 2007년 290만 달러, 2008년 189만 달러 등으로 위축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력 수출시장인 캐나다에서 중국산 대비 가격경쟁력 열세로 수출이 감소한데다, 2008년인 경우 국내 가격 상승으로 신흥시장인 러시아에 대한 수출이 큰 폭으로 줄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농촌경제연구원은 감귤의 수출 제약요인으로 “저가 중국산 감귤의 품질 향상 등으로 수출 경쟁력이 저하된데다, 해거리 현상에 따른 국내 생산량 변동으로 연간 수출가격 진폭이 커 안정적인 수출에 어려움이 있다”고 분석했다.

또 감귤의 수출 증대를 위해서는 “예냉 등 저장기술 부족으로 수출품 부패 발생 및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감귤연구소 등 연구기관과 연계해 부패 방지 장기 보관기술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로 볼 때 제주산 감귤의 공격적인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감귤의 품질 경쟁력 향상과 함께 안정적인 수출 물량 확보, 부패 방지 최소화 등의 기반 체계가 우선적으로 갖춰져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농경연은 이와 함께 “감귤의 수출단지 조직화, 계열화를 통해 기업적 규모의 생산 및 수출을 유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태형 기자>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4 올해 농작물재해보험사업 가입신청 22일부터 기획정보과 2010-02-22 2467
143 감귤부산물 인공피부 소재 개발 기획정보과 2010-02-22 2130
142 북한으로 가는 제주감귤 출발 기획정보과 2010-02-22 1940
141 [제주]감귤로 의료용 인공피부 만든다 기획정보과 2010-02-22 1867
140 사랑과 평화의 감귤 12년째 북한간다 기획정보과 2010-02-22 1785
139 애물단지 감귤박 친환경 자원으로 기획정보과 2010-02-22 1821
138 도, 고품질 감귤 위한 '방풍망시설지원' 기획정보과 2010-02-22 1941
137 제주 감귤 올해도 북한 간다 기획정보과 2010-02-22 1884
136 감귤껍질 자원화...숯.사료로 재탄생 기획정보과 2010-02-22 1857
135 친환경 감귤 미생물 배양시설 지원 기획정보과 2010-02-12 1977
134 감귤하우스 자동개폐기시설 지원 기획정보과 2010-02-12 2177
133 감귤하우스 지원사업에 401억 투자 기획정보과 2010-02-12 2044
132 감귤역사 한눈에 본다 기획정보과 2010-02-12 2029
131 설(구정)연휴경매일정 기획정보과 2010-02-08 2283
130 감귤명품브랜드 '햇살바람' 집중 육성 기획정보과 2010-02-05 1988
129 "'햇살바람' 대표 브랜드로 집중 육성" 기획정보과 2010-02-05 1797
128 생감귤 함유 아이스크림 '아람수과' 첫 선 조순영 2010-02-05 2030
127 제주감귤 한약재 활용 가능성 충분 기획정보과 2010-02-05 1882
126 감귤 아이스크림 '아람수과' 탄생 기획정보과 2010-02-05 1994
125 제주시, 감귤원 2분의 1 간벌 ‘본격 시동’ 기획정보과 2010-02-05 194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