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10년후 감귤 로열티 353억원 지급해야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0-27 17:23:26      ·조회수 : 2,235     

감귤 신품종을 국내산으로 대체하기 어려운 실정

[메디컬투데이 고희정 기자] 2012년부터 '품종보호제도'의 시행에 따라 10년 뒤에 감귤 로열티 353억원을 지급해야 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 소속 정해걸 의원(한나라당)은 2012년부터 '품종보호제도'가 전면 시행돼 10년 뒤에는 감귤 로열티 353억원 지급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국제식물신품종보호동맹(UPOV)협약에 의해 2012년 시행 예정인 '품종보호제도'에 따른 것이며 일본이 감귤 묘목에 대해 품종보호를 요청하면 로열티를 지급해야 한다.

2020년이 되면 수령 40년이상 노후된 감귤의 재배 면적이 전체(2만2천ha 유지시)의 42.7%인 9409ha에 달하게 되어 353억원의 로열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로열티 부담을 벗어나려면 자체 고유품종을 개발해야 하지만 농진청, 제주도농업기술원 등이 현재까지 개발한 품종은 10여종에 지나지 않고 현재 개발 초기단계여서 감귤 신품종을 국내산으로 대체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밝혔다.

또 농진청의 ‘FTA 대응 경쟁력 향상을 위한 연구개발사업’을 보면, 2008년부터 16개 품목(사과, 배, 단감, 복숭아, 포도 등 주요과수 포함)에 대해 약 320억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하고 있으나, 감귤은 제외됐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4 올해 농작물재해보험사업 가입신청 22일부터 기획정보과 2010-02-22 2486
143 감귤부산물 인공피부 소재 개발 기획정보과 2010-02-22 2135
142 북한으로 가는 제주감귤 출발 기획정보과 2010-02-22 1955
141 [제주]감귤로 의료용 인공피부 만든다 기획정보과 2010-02-22 1878
140 사랑과 평화의 감귤 12년째 북한간다 기획정보과 2010-02-22 1790
139 애물단지 감귤박 친환경 자원으로 기획정보과 2010-02-22 1826
138 도, 고품질 감귤 위한 '방풍망시설지원' 기획정보과 2010-02-22 1953
137 제주 감귤 올해도 북한 간다 기획정보과 2010-02-22 1890
136 감귤껍질 자원화...숯.사료로 재탄생 기획정보과 2010-02-22 1869
135 친환경 감귤 미생물 배양시설 지원 기획정보과 2010-02-12 1992
134 감귤하우스 자동개폐기시설 지원 기획정보과 2010-02-12 2191
133 감귤하우스 지원사업에 401억 투자 기획정보과 2010-02-12 2055
132 감귤역사 한눈에 본다 기획정보과 2010-02-12 2040
131 설(구정)연휴경매일정 기획정보과 2010-02-08 2295
130 감귤명품브랜드 '햇살바람' 집중 육성 기획정보과 2010-02-05 2000
129 "'햇살바람' 대표 브랜드로 집중 육성" 기획정보과 2010-02-05 1808
128 생감귤 함유 아이스크림 '아람수과' 첫 선 조순영 2010-02-05 2041
127 제주감귤 한약재 활용 가능성 충분 기획정보과 2010-02-05 1895
126 감귤 아이스크림 '아람수과' 탄생 기획정보과 2010-02-05 1999
125 제주시, 감귤원 2분의 1 간벌 ‘본격 시동’ 기획정보과 2010-02-05 196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