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출하연합회 전체회의서 가공용 규격 결정

· 작성자 : 김용진      ·작성일 : 2019-09-19 13:04:30      ·조회수 : 3,404     

출하연합회 전체회의서 가공용 규격 결정

18일 도청 회의실에서 감귤출하연합회 전체회의가 열리고 있다.
2019년산 노지감귤 생산량이 전년보다 6만t 가량 늘어난 52만8000t 내외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난해까지 10브릭스 이상이면 상품 출하가 가능했던 2L초과 대과가 가공용 규격으로 결정됐다.

사실상 상품 출하 기준이 불가 2년 만에 당도에서 규격으로 다시 돌아오게 된 셈이어서 농가 입장에서는 혼란이 우려되고 있다. 다만 2S(49~53㎜) 미만 소과(46~48㎜)는 종전대로 10브릭스 이상이면 상품 출하가 가능하다.

제주특별자치도는 18일 도청 회의실에서 도내 지역농협 조합장, 가공업체 등 감귤출하연합회 회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감귤출하연합회 전체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전체회의 주요 안건은 ▲감귤 생산 예측량 증가에 따른 가공용 감귤 규격 결정 ▲수매단가가 결정이다.

지난 2017년 ‘제주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시행 규칙’ 개정으로 노지감귤은 당도 10브릭스 이상일 경우 크기기준을 적용받지 않고 상품으로 출하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이날 회의에서 2L(67~70㎜) 초과 규격과 극소과(45㎜ 이하)를 포함한 중결점과를 올해 가공용 규격으로 결정됐다. 올해 생산예상량을 감안하면 약 9만t 정도로 전망되고 있다.

감귤 조례 시행 규칙상 출하연합회가 가공용 규격 및 수매단가를 비롯해 유통 및 출하조절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을 정하고 있지만 농가 입장에서는 혼란도 예상된다. 생산량 증가에 예상에 따라 2년 만에 대과 출하를 못하게 됐기 때문이다.

농정당국은 생산예상량에 따라 탄력적 운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며, 일부 지역농협 조합장들은 조례를 개정해 앞으로는 대과 출하를 못하도록 명문화하자는 의견도 제기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날 회의에서 가공용 수매단가는 kg당 180원(가공업체 120원, 도 60원)으로 동결됐다. 2016년산까지는 160원(가공업체 110원, 도 50원)이었고, 2017년부터 20원 인상됐다.

한편 최근 5년간 노지감귤 생산량과 가공용 수매는 2014년 57만3400t(가공용 15만8291t), 2015년 51만9200t(8만4477t), 2016년 46만6800t(5만5925t), 2017년 44만200t(7만1929t), 2018년 46만7600t(6만2542t)이다.

출처 : 제주新보(http://www.jejunews.com)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4 올해 농작물재해보험사업 가입신청 22일부터 기획정보과 2010-02-22 2457
143 감귤부산물 인공피부 소재 개발 기획정보과 2010-02-22 2129
142 북한으로 가는 제주감귤 출발 기획정보과 2010-02-22 1937
141 [제주]감귤로 의료용 인공피부 만든다 기획정보과 2010-02-22 1860
140 사랑과 평화의 감귤 12년째 북한간다 기획정보과 2010-02-22 1784
139 애물단지 감귤박 친환경 자원으로 기획정보과 2010-02-22 1820
138 도, 고품질 감귤 위한 '방풍망시설지원' 기획정보과 2010-02-22 1935
137 제주 감귤 올해도 북한 간다 기획정보과 2010-02-22 1884
136 감귤껍질 자원화...숯.사료로 재탄생 기획정보과 2010-02-22 1857
135 친환경 감귤 미생물 배양시설 지원 기획정보과 2010-02-12 1971
134 감귤하우스 자동개폐기시설 지원 기획정보과 2010-02-12 2170
133 감귤하우스 지원사업에 401억 투자 기획정보과 2010-02-12 2038
132 감귤역사 한눈에 본다 기획정보과 2010-02-12 2023
131 설(구정)연휴경매일정 기획정보과 2010-02-08 2276
130 감귤명품브랜드 '햇살바람' 집중 육성 기획정보과 2010-02-05 1982
129 "'햇살바람' 대표 브랜드로 집중 육성" 기획정보과 2010-02-05 1790
128 생감귤 함유 아이스크림 '아람수과' 첫 선 조순영 2010-02-05 2024
127 제주감귤 한약재 활용 가능성 충분 기획정보과 2010-02-05 1875
126 감귤 아이스크림 '아람수과' 탄생 기획정보과 2010-02-05 1993
125 제주시, 감귤원 2분의 1 간벌 ‘본격 시동’ 기획정보과 2010-02-05 194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