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노지감귤휴식년제 사업 '비상'…목표 35%로 저조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3-29 09:29:57      ·조회수 : 1,836     

올해 노지감귤 과잉생산이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적정생산을 위한 감귤휴식년제 사업에 비상이 걸렸다.

25일 제주도 서귀포농업기술센터가 최근 서귀포와 남원읍 지역 10곳에서 올해 열매달릴 가지를 채취, 꽃눈 발아 조사 결과 열매달릴 가지당 평균 발아 꽃 수는 2.38개로 지난해 동기 1.08개보다 1.3개 많았다. 풍작이었던 2009년보다는 0.24개 적었다.

서귀포농기센터는 이번 조사결과 지난해 대부분 감귤원이 흉작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올해 노지감귤원의 꽃피는 량은 생산량이 많았던 2009년도의 65만5000t과 비슷하거나 대체로 많을 것으로 예상했다.

서귀포농기센터는 지난해 해거리 현상으로 올해 열매가 많이 달릴 것으로 예상되는 감귤원은 솎음전정과 절단전정을 병행, 열매가 달릴 수 있는 예비가지를 확보해 줄 것을 당부했다.

문제는 노지감귤 풍작에 대비, 적정생산을 위한 감귤원 2분의 1 간벌과 함께 추진되는 감귤휴식년제 농가 신청이 매우 저조하다는 점이다.

감귤원 간벌 2분의 1 사업은 제주시 지역 356㏊, 서귀포시 지역 744㏊ 총 1100㏊다. 도는 간벌 추진 농가에 대해 당초 50% 보조금 지원에서 100%로 전환, ㏊당 10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제주농협제주지역본부에 따르면 24일 현재 도내 감귤원 간벌 실적은 제주시 247.1㏊, 서귀포시 지역 499.6㏊ 등 총 746.7㏊로 67.9%의 달성률을 보이고 있다.

농협 감귤팀 이용민 팀장은 “오는 4월말까지 간벌 2분의 1 계획 면적 달성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간벌과 달리 감귤휴식년제는 신청이 매우 저조하다.

지난해 첫 실시한 감귤 꽃을 따는 감귤휴식년제는 이어 올해 제주시 지역 340㏊, 서귀포시 지역 660㏊등 총 1000㏊를 목표로 하고 있다.

신청은 24일 현재 제주시 336농가·185.8㏊, 서귀포시 지역 328농가·162.9㏊인 총 348.7㏊(34.9%)에 그치고 있다.

이 팀장은 “감귤휴식년제 사업은 봄 전정이 끝나는 시기에 맞춰 꽃눈이 열리는 것이 확인되는 시기인 4월 중순에서 5월이 돼야 농가 스스로 신청 여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며 “아직 신청이 저조했다고 해서 끝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더 기다려봐야 안다”고 강조했다.

이 팀장은 이어 “지난해 겨울 동해를 입은 감귤원도 있고 감귤원 마다 해거리 현상이 다르기 때문에 감귤휴식년제 신청 사업은 3월말에서 7월까지 자동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도는 오는 3월말까지 감귤휴식년제 사업을 신청하는 농가에 대해 ㏊당 120만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3 해올렛, 대한민국 지역브랜드 ‘대상’ 기획정보과 2009-12-19 1764
92 ‘제주 온주감귤 재배 100년’ 2011년 기념행사 풍성 기획정보과 2009-12-19 1576
91 제주감귤농협 브랜드 "불로초" 은상 수상 (제민일보) 기획정보과 2009-12-11 1969
90 고품질 감귤브랜드 "불로초" 진가 공인(제주일보) 기획정보과 2009-12-11 1999
89 감귤껍질 가축사료 활용"일석이조" (제주일보) 기획정보과 2009-12-11 1814
88 전체회의결과 기획정보과 2009-12-08 1854
87 온주밀감 도입 100주년 기념축제(12/05) 기획정보과 2009-12-06 2120
86 감귤고품질,차별화된 가공품개발 힘써야-감귤요리법(12/04) 기획정보과 2009-12-06 2474
85 감귤,넙치 명품브랜드화 추진(12/03) 기획정보과 2009-12-06 1581
84 감귤껍질 에센셜오일 기획정보과 2009-11-30 4537
83 올해 노지감귤 64만톤 전망...당산비 최고 기획정보과 2009-11-27 2271
82 올해산 노지감귤 최근 3년 중 가장 품질 뛰어나 기획정보과 2009-11-27 1847
81 감귤 출하량 조절 적극 동참을 기획정보과 2009-11-24 1827
80 감귤 출하조절 실패, '8000원선' 붕괴 위협 기획정보과 2009-11-24 1833
79 [기고] 효돈동 으뜸감귤의 풍성한 결실을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09-11-23 1781
78 감귤·백년초 먹인 제주 명품넙치 인기몰이 기획정보과 2009-11-23 1919
77 제주 감귤껍질로 천연파마제 개발 기획정보과 2009-11-23 1804
76 "노지감귤 처리방안 상호 협력키로" 기획정보과 2009-11-23 1641
75 비상품감귤 유통차단 '구멍' 기획정보과 2009-11-20 1894
74 제주감귤 처리, 저희도 도울께요" 기획정보과 2009-11-20 175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