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 전통감귤 개발 및 육성의 당위성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22 10:14:10      ·조회수 : 2,111     

제주 전통감귤 개발 및 육성의 당위성

양세완 21세기영농조합 법인대표

제주감귤이 아무런 변화 과정도 없이 대중화가 가능했던 것은 첫째 독점 생산이고, 둘째 쇄국적인 시장이고, 셋째는 감귤 소비를 지지해준 중산층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태생적인 것들이 부메랑이 돼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 막대한 행·재정적 투자에도 불구하고 제주감귤이 FTA 앞에 무기력 할 수밖에 없는 것이 이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이것은 제주 감귤산업의 병을 제대로 진단하지 못하고 처방했기 때문이다.

한 때 진상품이였던 제주 감귤이 이번 추석에 상대과일과 품질 대비 과소평가돼 싼 값에 팔리게 된 것은 브랜드 개념 부족 등으로 타고난 가치(품질)와 품격(문화)을 무시하고 남의 것만 모방하다 개성(고유 맛)을 잃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개성이란 시각, 촉각, 후각, 미각(고유 맛) 영양이 풍부한 오감의 전통감귤을 뜻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감귤과는 비교 할 수 없는 세계감귤의 톱 브랜드이고 제주감귤의 유일한 경쟁력이다. 제주에는 오감의 감귤을 재배 할 수 있는 조건(기후·물질· 환경)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오감의 감귤을 황금알로써 노지감귤 상품기준 50만t으로 마케팅(유통)만 뒷받침 해준다면 생산자수취가격기준 1조원을 훨씬 능가하는 규모의 감귤산업도 가능하다는 것을 2004년산 감귤에서 개인적으로 경험한바 있기 때문에 자신 있게 말 할 수 있다.

최근 속성 과일들이 소비자 기호(입맛)변화로 영양(웰빙)과일로 주력하는 것을 제주감귤 사회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서귀포 칠십리 감귤 정책이 실패하고 감귤 박물관이 적자 운영되고 있는 것도 1차산업 방식으로 재단되고 개량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오감의 전통감귤은 누구나 아무데서나 만들 수 없는 희소상품이기 때문에 제주의 보물이고 황금알을 낳는 최첨단 감귤산업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2 남원읍, 비상품 감귤 유통 단속에 '총력' 기획정보과 2009-11-19 1898
71 파프리카, 버섯, 감귤 수출 활성화된다 기획정보과 2009-11-18 2677
70 '감귤' 소비자 선호도 '사과'에 밀린다 기획정보과 2009-11-17 1860
69 노지감귤 '하례조생' 소비자 입맛 사로잡아 기획정보과 2009-11-17 1748
68 청정 제주 감귤, 피부를 만나다 기획정보과 2009-11-16 1979
67 대도시 감귤유통현장을 가다 기획정보과 2009-11-16 4253
66 고품질 조생감귤 본격 출하 기획정보과 2009-11-12 1916
65 서울 청계광장서 제주 감귤 한마당 기획정보과 2009-11-12 2126
64 감귤시험장 김용호씨'마르퀴스 후즈 후' 등재 기획정보과 2009-11-11 1854
63 제주 감귤, 과거 100년과 미래 100년 기획정보과 2009-11-11 1973
62 "제주감귤 세계적 상품화 이뤄낼 것" 기획정보과 2009-11-11 2465
61 감귤 품질 좋지만 생산량 많다 기획정보과 2009-11-11 1837
60 제주 비상품감귤 유통 여전...단속 비상 기획정보과 2009-11-06 1730
59 올해산 노지감귤 10월 평균가 최저 기획정보과 2009-11-03 2049
58 지구온난화 '제주=감귤' 공식 깨지고 있다 기획정보과 2009-11-03 2010
57 감귤유통명령 발령 효과 배가시켜야 기획정보과 2009-10-29 1876
56 '1등감귤' 제값받기 총력전 기획정보과 2009-10-23 1875
55 감귤 제값받기에 ‘올인’ 기획정보과 2009-10-23 1925
54 돈 버는 감귤을 만들자 기획정보과 2009-10-21 1934
53 소비자는 불량 감귤에 속지 않는다 기획정보과 2009-10-21 285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