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오후 제주대학교 국제교류회관에서 열린 '제주감귤 3만t 유럽 수출 전략 워크숍'에서 감귤수출연구사업단 유영봉 교수는 "영국시장만으로도 2만t가량의 수요가 존재하며, 여기서 성공하면 유럽, 북미, 북유럽, 러시아 시장까지 확보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영국 시장 개척에 대해 "2008년부터 이뤄진 시장조사와 시험수송, 풀시즌 시험판매 등은 순조롭게 진행됐다"며 "올해 대형 과일수입업체인 페사(FESA)와 3천t급 수출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등 대량수출체계를 수립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유럽연합에서 시행 중인 우수농산물관리제도(Global GAP) 인증을 받는 등 제주 감귤 역사상 최초로 국제적인 수출 기준을 확립했지만 아직도 갈 길이 멀다"며 "수출 관행을 개선해 수확 후 관리, 선적 및 수송 등 전 과정에서 까다로운 수입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국제표준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를 위해 부패율을 낮추기 위한 생산자조직 관리, 수출전용선과장 등 시설 기반 확충, 희망 농가를 중심으로 한 수출 일괄조직 구축, 협상 능력을 갖춘 전문인력 육성 등을 향후 과제로 제시했다.
감귤수출연구사업단 현해남 단장은 "Global GAP 인증, 궤양병 무발생, 부패율 5% 이하라는 조건에 수출전용 대형산지유통센터(APC)가 갖춰진다면, 국내보다 높고 안정된 가격에 유럽에 3만t을 수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제주대 감귤수출연구사업단은 연구 초기부터 영국의 검역 조건, 영국 현지업체와의 협력 컨설팅, 유럽 수출용 상자 제작 등 영국 시장 맞춤형 수출전략을 개발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