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 ‘삼나무 꽃가루’ 아토피 유발 주의보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10 10:02:35      ·조회수 : 2,328     

제주지역에서 아토피 피부염과 알레르기 비염 등 환경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하려면 삼나무 꽃가루 등이 많이 발생할 때 ‘삼나무 꽃가루 경보’를 발령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제주대 의학전문대학원 부설 환경보건센터(센터장 홍성철)는 9일 제주지역 환경성 질환의 원인이 집먼지 진드기류, 삼나무 꽃가루 및 공기 중에 있는 알터나리아(Alternaria) 곰팡이 순으로 조사돼, 이들 물질이 제주지역 아토피 질환을 유발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2008년부터 제주지역 아토피 질환의 원인 규명과 대책 마련을 위한 연구를 진행중인 제주대 환경보건센터는 이날 제주도청 기자실에서 중간결과를 발표했다.

제주대 환경보건센터는 이날 발표에서 지난 4월 초 인천, 울산 지역의 환경보건센터와 공동으로 지역별로 1974~2539명씩 조사한 결과 제주지역 초·중·고교생 가운데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학생은 27.8%로 나타났고, 인천은 30.9%, 울산은 23.2%였다고 밝혔다.

특히 제주지역의 알레르기 원인물질 가운데 삼나무 꽃가루는 감귤지배 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알터나리아 곰팡이는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퍼져있는 양상을 보였다. 또 삼나무 꽃가루는 2월 말부터 4월 초까지 날리고, 3월 초께 최고치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보건센터는 이런 연구 결과를 토대로 황사경보를 발령하는 것처럼 삼나무 꽃가루 등이 많이 발생하는 기간에는 제주기상청과 연계해 삼나무 꽃가루 경보를 발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이와 함께 제주대병원이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환경성 질환자 발생을 점검한 결과 알레르기비염 진료 건수가 9만1327건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천식은 8만4784건,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8만4066건, 아토피 피부염은 3만4373건의 순으로 분석됐다. 환경보건센터는 삼나무 꽃가루 등 주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을 중심으로 시기별, 지역별 분포를 관찰할 계획이다.

홍성철 센터장은 “환경성 질환은 원인 규명이 어렵고 완치방법이 없는 만큼, 예방대책 및 치료방향을 설정하려면 최소 5~10년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54 [열린마당] 고품질 감귤을 요구하는 소비자 기획정보과 2018-09-20 2389
1853 추석대목 노려 감귤 강제착색 등 '고개' 기획정보과 2018-09-20 2168
1852 감귤 지키기 위해선 '나'가 아니라 '우리'라는 인식 필요 기획정보과 2018-09-20 2086
1851 제주감귤산업 위협 오렌지 수입 급증 기획정보과 2018-09-13 2290
1850 도전! 노지 극조생감귤 부패과 Zero 기획정보과 2018-09-13 2013
1849 [시론담론]감귤 조수익1조원 달성을 위한 관건은 기획정보과 2018-09-13 1966
1848 제주국제감귤박람회,감귤의 미래 가치 찾는다 기획정보과 2018-09-13 2120
1847 [알림]2018년 9대도매시장 "추석"휴장안내 기획정보과 2018-09-10 1999
1846 [열린마당]극조생 감귤 부패과'0'에 노력합시다 기획정보과 2018-09-06 2079
1845 이상기후 올해산 제주 노지감귤 비상품 줄이기 시급 기획정보과 2018-09-06 2320
1844 서귀포감귤박물관, 다양한 체험으로 관람객 '북적' 기획정보과 2018-09-06 2229
1843 감귤 재배지 확산.과수 과다 생산 대비해야.. 기획정보과 2018-09-06 2408
1842 [공고]2018년도 업무보조원 채용 공고 기획정보과 2018-09-04 2299
1841 과일시장 내외적 생존경쟁 심화 감귤산업 소비시장 선점해야 기획정보과 2018-08-27 2268
1840 덜 여문 열매들의 반란,'풋사과,풋귤, 풋콩'의 재 발견 기획정보과 2018-08-27 2209
1839 인구 및 1인당 감귤 소비량 감소 전망 생산량 늘려 수익 증대 한계 기획정보과 2018-08-27 2157
1838 감귤품질검사원 신고하세요.. 제주시 31일까지 기획정보과 2018-08-21 2364
1837 제주산 감귤 미숙과로 바이오소재 특허 획득 기획정보과 2018-08-21 1903
1836 올해산 감귤품질검사원교육대상자 신고하세요..서귀포시 기획정보과 2018-08-21 1957
1835 빨라진 노지감귤 밭떼기거래.. 가격 형성 기대감 기획정보과 2018-08-21 218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