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150일 일하는 감귤엔 ‘펑펑’, 역시 정치작목!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2-06 08:49:35      ·조회수 : 2,213     

150일 일하는 감귤엔 ‘펑펑’, 역시 정치작목!

[예산심사] 농수축·지식산업위, 형평성 잃은 ‘감귤-밭작물’ 예산지원 ‘질타’

감귤산업 육성에는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붓는 반면 노동강도가 센 밭작물에 대한 예산지원액은 감귤에 비해 턱없이 못 미쳐 ‘감귤=정치작목’ 관행이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제주도의회 농수축·지식산업위원회(위원장 대행 하민철)는 2일 제276회 제2차 정례회를 속개해 제주도 농업기술원과 축산진흥원 소관 2011년도 예산안 심사를 진행했다.

구성지 의원(한나라당, 안덕)은 1차 산업 중에서도 감귤 분야 편중지원을 문제 삼았다.

구 의원은 “감귤 농사는 1년에 150일 정도 일을 하지만 밭농사는 대·소사 참석 등으로 60일 정도를 빼고 300일 정도 밤낮 없이 일을 한다. 그런데도 감귤 분야에는 막대한 예산이 지원되는 반면 밭작물에 대해서는 적은 액수의 지원밖에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구 의원은 또 감귤품종 개발과 관련해서도 “조선시대 이전부터 재배되고 있지만, 지금까지 품종 개발이 안 되고 있다”면서 농업기술원의 분발을 촉구했다.

김도웅 의원(민주당, 표선)도 “농업기술원 예산 중 감귤에 12%, 밭작물에 35%가 투입된다고 하지만 밭작물 농가에서는 피부로 느끼지 못하고 있다”면서 “제대로 된 지원사업이냐”고 따져 물었다.

트렌트가 되고 있는 ‘친환경’ 농업이 예산지원에서는 홀대를 받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하민철 의원(한나라당, 연동 을)은 “농기원 연구개발 예산내역을 보면 원예연구팀 2억 정도, 농산물원종장 16억 정도가 증액된 반면 친환경연구팀은 오히려 8200만원이 줄었다”면서 “농업이 친환경 쪽으로 가고 있는데, 예산편성은 거꾸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 의원은 또 “4개 기술센터 연구비도 제주기술센터에 집중되고 있다”면서 부서별 안배를 주문했다.

방문추 의원(민주당, 비례대표)은 “탐라섬오가피처럼 과잉 생산되어 판로가 막힌 농산물에 대해서는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는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며 “농가소득과 연계되는 연구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동우 의원(민주노동당, 구좌·우도)은 “맥주보리 단가가 비싸서 업체에서는 외국산 맥주보리를 선호하고 있어 만약 백주보리가 수매 안될 경우 농업기술원에서는 대책이 있느냐”며 씨드밸리 조성사업의 성공가능성에 고개를 갸웃거렸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64 제주 감귤 껍질 '비만ㆍ혈중지질 개선 효과'입증 기획정보과 2018-10-04 2564
1863 농기원, 달팽이 감귤 피해 방제기술 개발 기획정보과 2018-10-04 2923
1862 제주시, FTA기금 감귤생산시설 현대화사업 접수 기획정보과 2018-10-02 2329
1861 [열린마당] 제주국제감귤박람회, 이렇게 달라집니다 기획정보과 2018-10-02 2522
1860 제주감귤 품질경연대회 출품 농가 모집 기획정보과 2018-10-02 2315
1859 "감귤 따러 제주도로 오세요" 감귤 국민수확단 19일까지 공개모집 기획정보과 2018-10-02 2438
1858 고품질 감귤생산 현대화 사업지원개선'주목' 기획정보과 2018-10-02 2234
1857 제주도, 극조생 가공용감귤 시장격리 시작 기획정보과 2018-10-02 2322
1856 감귤출하, 올해는 생각을 바꿔보자 기획정보과 2018-10-02 2462
1855 비상품감귤 유통출하 모니터링요원 채용 공고 기획정보과 2018-09-28 2632
1854 [열린마당] 고품질 감귤을 요구하는 소비자 기획정보과 2018-09-20 2694
1853 추석대목 노려 감귤 강제착색 등 '고개' 기획정보과 2018-09-20 2496
1852 감귤 지키기 위해선 '나'가 아니라 '우리'라는 인식 필요 기획정보과 2018-09-20 2354
1851 제주감귤산업 위협 오렌지 수입 급증 기획정보과 2018-09-13 2521
1850 도전! 노지 극조생감귤 부패과 Zero 기획정보과 2018-09-13 2288
1849 [시론담론]감귤 조수익1조원 달성을 위한 관건은 기획정보과 2018-09-13 2216
1848 제주국제감귤박람회,감귤의 미래 가치 찾는다 기획정보과 2018-09-13 2419
1847 [알림]2018년 9대도매시장 "추석"휴장안내 기획정보과 2018-09-10 2248
1846 [열린마당]극조생 감귤 부패과'0'에 노력합시다 기획정보과 2018-09-06 2329
1845 이상기후 올해산 제주 노지감귤 비상품 줄이기 시급 기획정보과 2018-09-06 255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