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한중FTA 본협상 코앞...제주 1차 산업'비상'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5-13 08:52:09      ·조회수 : 2,199     

한중FTA 본협상 코앞...제주 1차 산업'비상'

협상 기간 1년 이내 전망...피해액 1조 추정
연구용역 내달에야 나와 대응 기간 축소 우려
민감품목 선정 등 제주도 차원 중앙절충 시급 지적

한·중 FTA(자유무역협정) 본협상이 다음 달부터 열릴 것으로 예상돼 제주지역 1차 산업 대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12일 농협제주지역본부(본부장 김상오)와 제주특별자치도 등에 따르면 한·중 양측 정부는 지난 4월 11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 통상장관회담을 개최했다.



이어 이달 말 또는 다음 달 초에 서울에서 FTA 본협상에 앞서 농산물 등 민감한 분야의 처리방향을 논의하는 정부간 2차 사전협의를 열고 본협상 개시 일정을 결정한다.



2차 사전협의의 구체적인 일정은 오는 24일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한·중·일 통상장관회담에서 확정될 예정이며 본협상 개시 일정은 다음 달이 될 것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속도로 내고 있는 한·중 FTA 본협상 기간이 1년을 넘지 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어서 제주도 차원의 대응 전략이 시급한 현안 과제로 급부상하고 있는 것.



실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원장 채욱)이 제주도 의뢰로 산출한 한·중 FTA에 따른 1차 산업 피해액(연간 9200억~9400억원)이 1조원에 육박하는 등 한·미 FTA보다 더욱 막대한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됐다.



여기에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오세익) 조사 결과 2009년 말 현재 중국의 감귤산업은 96만t을 수출(세계 전체의 42.6%)하는 등 온주감귤 최대 수출국으로 자리를 잡은 데다 중국산 당근과 마늘, 양파 등의 국내 수입 증가도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상황이 이런 데도 현재 제주농협이 감귤을 비롯한 도내 1차 산업 피해와 이에 대책 마련을 위해 농촌경제연구원에 의뢰해 실시되고 있는 연구용역이 다음 달에야 최종 보고서가 나올 예정이다.



이 때문에 한·중 FTA에 대비한 종합적인 대응 기간이 더욱 축소될 우려를 낳고 있어 제주도 차원의 협상 품목 제외 또는 민감품목 선정 등의 대응전략 수립과 함께 대정부 절충 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강덕주 제주농협 경제사업부본부장은 “다음 달 중으로 한·중 FTA에 대한 도내 1차 산업의 대응책을 제시해 줄 연구용역 결과가 나올 예정”이라며 “연구용역 결과에 따라 품목별, 작목별 실천 대책을 수립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의 제주농협 720-1340.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64 제주 감귤 껍질 '비만ㆍ혈중지질 개선 효과'입증 기획정보과 2018-10-04 2582
1863 농기원, 달팽이 감귤 피해 방제기술 개발 기획정보과 2018-10-04 2941
1862 제주시, FTA기금 감귤생산시설 현대화사업 접수 기획정보과 2018-10-02 2350
1861 [열린마당] 제주국제감귤박람회, 이렇게 달라집니다 기획정보과 2018-10-02 2541
1860 제주감귤 품질경연대회 출품 농가 모집 기획정보과 2018-10-02 2335
1859 "감귤 따러 제주도로 오세요" 감귤 국민수확단 19일까지 공개모집 기획정보과 2018-10-02 2458
1858 고품질 감귤생산 현대화 사업지원개선'주목' 기획정보과 2018-10-02 2252
1857 제주도, 극조생 가공용감귤 시장격리 시작 기획정보과 2018-10-02 2344
1856 감귤출하, 올해는 생각을 바꿔보자 기획정보과 2018-10-02 2482
1855 비상품감귤 유통출하 모니터링요원 채용 공고 기획정보과 2018-09-28 2653
1854 [열린마당] 고품질 감귤을 요구하는 소비자 기획정보과 2018-09-20 2713
1853 추석대목 노려 감귤 강제착색 등 '고개' 기획정보과 2018-09-20 2506
1852 감귤 지키기 위해선 '나'가 아니라 '우리'라는 인식 필요 기획정보과 2018-09-20 2374
1851 제주감귤산업 위협 오렌지 수입 급증 기획정보과 2018-09-13 2537
1850 도전! 노지 극조생감귤 부패과 Zero 기획정보과 2018-09-13 2301
1849 [시론담론]감귤 조수익1조원 달성을 위한 관건은 기획정보과 2018-09-13 2240
1848 제주국제감귤박람회,감귤의 미래 가치 찾는다 기획정보과 2018-09-13 2437
1847 [알림]2018년 9대도매시장 "추석"휴장안내 기획정보과 2018-09-10 2269
1846 [열린마당]극조생 감귤 부패과'0'에 노력합시다 기획정보과 2018-09-06 2354
1845 이상기후 올해산 제주 노지감귤 비상품 줄이기 시급 기획정보과 2018-09-06 257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