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출하연합회 전체회의서 가공용 규격 결정

· 작성자 : 김용진      ·작성일 : 2019-09-19 13:04:30      ·조회수 : 3,103     

출하연합회 전체회의서 가공용 규격 결정

18일 도청 회의실에서 감귤출하연합회 전체회의가 열리고 있다.
2019년산 노지감귤 생산량이 전년보다 6만t 가량 늘어난 52만8000t 내외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난해까지 10브릭스 이상이면 상품 출하가 가능했던 2L초과 대과가 가공용 규격으로 결정됐다.

사실상 상품 출하 기준이 불가 2년 만에 당도에서 규격으로 다시 돌아오게 된 셈이어서 농가 입장에서는 혼란이 우려되고 있다. 다만 2S(49~53㎜) 미만 소과(46~48㎜)는 종전대로 10브릭스 이상이면 상품 출하가 가능하다.

제주특별자치도는 18일 도청 회의실에서 도내 지역농협 조합장, 가공업체 등 감귤출하연합회 회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감귤출하연합회 전체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전체회의 주요 안건은 ▲감귤 생산 예측량 증가에 따른 가공용 감귤 규격 결정 ▲수매단가가 결정이다.

지난 2017년 ‘제주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시행 규칙’ 개정으로 노지감귤은 당도 10브릭스 이상일 경우 크기기준을 적용받지 않고 상품으로 출하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이날 회의에서 2L(67~70㎜) 초과 규격과 극소과(45㎜ 이하)를 포함한 중결점과를 올해 가공용 규격으로 결정됐다. 올해 생산예상량을 감안하면 약 9만t 정도로 전망되고 있다.

감귤 조례 시행 규칙상 출하연합회가 가공용 규격 및 수매단가를 비롯해 유통 및 출하조절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을 정하고 있지만 농가 입장에서는 혼란도 예상된다. 생산량 증가에 예상에 따라 2년 만에 대과 출하를 못하게 됐기 때문이다.

농정당국은 생산예상량에 따라 탄력적 운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며, 일부 지역농협 조합장들은 조례를 개정해 앞으로는 대과 출하를 못하도록 명문화하자는 의견도 제기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날 회의에서 가공용 수매단가는 kg당 180원(가공업체 120원, 도 60원)으로 동결됐다. 2016년산까지는 160원(가공업체 110원, 도 50원)이었고, 2017년부터 20원 인상됐다.

한편 최근 5년간 노지감귤 생산량과 가공용 수매는 2014년 57만3400t(가공용 15만8291t), 2015년 51만9200t(8만4477t), 2016년 46만6800t(5만5925t), 2017년 44만200t(7만1929t), 2018년 46만7600t(6만2542t)이다.

출처 : 제주新보(http://www.jejunews.com)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52 감귤 지키기 위해선 '나'가 아니라 '우리'라는 인식 필요 기획정보과 2018-09-20 2018
1851 제주감귤산업 위협 오렌지 수입 급증 기획정보과 2018-09-13 2182
1850 도전! 노지 극조생감귤 부패과 Zero 기획정보과 2018-09-13 1965
1849 [시론담론]감귤 조수익1조원 달성을 위한 관건은 기획정보과 2018-09-13 1957
1848 제주국제감귤박람회,감귤의 미래 가치 찾는다 기획정보과 2018-09-13 2047
1847 [알림]2018년 9대도매시장 "추석"휴장안내 기획정보과 2018-09-10 1989
1846 [열린마당]극조생 감귤 부패과'0'에 노력합시다 기획정보과 2018-09-06 2072
1845 이상기후 올해산 제주 노지감귤 비상품 줄이기 시급 기획정보과 2018-09-06 2312
1844 서귀포감귤박물관, 다양한 체험으로 관람객 '북적' 기획정보과 2018-09-06 2146
1843 감귤 재배지 확산.과수 과다 생산 대비해야.. 기획정보과 2018-09-06 2326
1842 [공고]2018년도 업무보조원 채용 공고 기획정보과 2018-09-04 2212
1841 과일시장 내외적 생존경쟁 심화 감귤산업 소비시장 선점해야 기획정보과 2018-08-27 2205
1840 덜 여문 열매들의 반란,'풋사과,풋귤, 풋콩'의 재 발견 기획정보과 2018-08-27 2145
1839 인구 및 1인당 감귤 소비량 감소 전망 생산량 늘려 수익 증대 한계 기획정보과 2018-08-27 2096
1838 감귤품질검사원 신고하세요.. 제주시 31일까지 기획정보과 2018-08-21 2287
1837 제주산 감귤 미숙과로 바이오소재 특허 획득 기획정보과 2018-08-21 1897
1836 올해산 감귤품질검사원교육대상자 신고하세요..서귀포시 기획정보과 2018-08-21 1946
1835 빨라진 노지감귤 밭떼기거래.. 가격 형성 기대감 기획정보과 2018-08-21 2141
1834 제주풋귤, 피부관리에 도움, 연구결과 눈길 기획정보과 2018-08-09 2261
1833 농업인 월급제 내년 시범 도임,, 농가부채 해소 여부 관심 기획정보과 2018-08-09 224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