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 재해보험 '속 빈 강정'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4-03 12:55:26      ·조회수 : 2,630     

감귤에 대한 농작물재해보험이 실시된지 10년째를 맞고 있지만 가입 실적은 1%대로 극히 저조,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내실화 방안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2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이동필, 이하 농경연)에 따르면 농작물재해보험은 태풍과 보험 등 자연재해로 인한 농가 손실을 보전해주는 정부 지원 정책보험으로, 2001년 사과와 배를 시작으로 2002년 감귤과 포도 등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다.

농작물재해보험은 시행 11년만에 35개 품목으로 확대된데다 지난해까지 9만3800여 농가에서 보험금 5202억원을 지원받는 성과를 올리며 농업 경영 안정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사과와 감귤 등 품목별 보험 가입률 격차가 갈수록 심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양적 확대보다는 내실화를 도모하는 보완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실제 도내 대표 작목인 감귤인 경우 지난해 보험 대상 면적 1만7734ha 가운데 1.22%에 불과한 216ha만 가입한 것으로 나타나 과수 부문에서 가입률이 가장 낮았으며 무려 86.8%의 가입률을 보인 사과와 큰 대조를 이뤘다.

농경연도 “보험 실시 10년째인 감귤인 경우 가입률이 1.22%에 불과하는 등 전체 25개 품목 가운데 10개 품목의 가입률이 10% 미만으로 농가 참여가 매우 저조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처럼 감귤의 농작물재해보험 가입이 저조한 것은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어 실질적인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으로, 도내 농업계에서는 지역적 기후 및 품목별 특성 등을 반영해 보상 재해 범위를 확대하는 실효성 있는 보완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해 왔다.

농경연도 이에대해 “감귤 등 농작물재해보험 가입률이 저조한 품목에 대해서는 원인 분석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정책 수단을 검토하는 등 내실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농경연은 특히 “품목별 특성 뿐만 아니라 지역별 기상 여건 특성을 반영되는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보장 범위를 확대하고 보다 많은 농업인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해 앞으로 제도 보완이 이뤄질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문의 농경연 02-3299-4348.
< 제주일보 김태형기자 >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12 미국산 오렌지 급증, 제주감귤 산업 '위협' 기획정보과 2018-04-06 2293
1811 노지감귤 생육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획정보과 2018-04-06 2421
1810 명품감귤 한라봉 명성 되찿는다. 기획정보과 2018-04-06 2387
1809 올해산 노지감귤 첫출하시기 농가자율 기획정보과 2018-03-26 2314
1808 제주 올해산 극조생감귤 첫출하 '농가 자율' 기획정보과 2018-03-26 2283
1807 감귤 첫 출하시기 4년만에... 기획정보과 2018-03-26 2237
1806 한미FTA 계절관세 철폐, 제주감귤 '직격탄' 기획정보과 2018-03-26 2301
1805 제주감귤 '불로초'3년 연속 대한민국 명품브랜드 대상 기획정보과 2018-03-26 2075
1804 제주 노지감귤 좋았는데 만감류는.. 기획정보과 2018-03-26 2205
1803 [제민포커스]충북.경기까지 확산 시장변화 주목 기획정보과 2018-03-12 2520
1802 [제민포커스]소비패턴 변화 대응전략 시급 기획정보과 2018-03-12 2273
1801 수박,참외가 벌써... 제철 사라진 과일 시장 기획정보과 2018-03-09 2178
1800 감귤 당산비 1% 오르면 가격도 0.8% 상승 기획정보과 2018-03-09 2288
1799 감귤 유기재배 매뉴얼 증보판 1000부 발간,보급 기획정보과 2018-03-09 2434
1798 서귀포지역 농협들'고품질 감귤 생산' 기획정보과 2018-03-09 2297
1797 올부터 미 오렌지 계절관세 철폐...제주감귤 '비상' 기획정보과 2018-03-09 2019
1796 '감귤바이오겔', 혈관치료 의료용 소재로 '합격점' 기획정보과 2018-03-09 2077
1795 제주 감귤원 축구장 2681개 면적 줄었다. 기획정보과 2018-02-20 2418
1794 한경농협 과수유통센터 준공 기획정보과 2018-02-20 2378
1793 제주농가 농업소득 5000만원의 꿈 기획정보과 2018-02-20 216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