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 ‘계획생산·휴경명령’제도 도입 어떨까?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2-14 08:53:15      ·조회수 : 2,172     

감귤 ‘계획생산·휴경명령’제도 도입 어떨까?

구성지 의원, 노지감귤 안정생산 위한 정책제언

제주감귤 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계획생산제’시행 및 ‘농경휴경제’ 도입 등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정책제언이 나왔다.


▲ 구성지 의원(안덕, 한나라당). ⓒ제주의소리
농수축·지식산업위원회 구성지 의원(안덕, 한나라당)은 11일 속개된 제279회 임시회에서 제주도(농축산식품국)로부터 2011년도 주요업무를 보고받는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구 의원은 먼저 제주감귤산업의 중요성과 관련해 제주지역 1차 산업의 비중(18.8%)이 전국 평균(2.7%)에 비해 6~7배나 높고, 제주지역 1차 산업 조수입(2조5793억) 중에서 23.3%(6011억)을 감귤이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제주감귤을 살리기 위한 농가의 간벌, 휴식년제, 적화·적과 등의 감산정책으로 제주의 생명산업으로 우뚝 설 수 있었다고도 했다. 하지만 일부 ‘무임승차’하는 농가들 때문에 효과를 거양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구 의원은 “올해산 노지감귤은 해거리 현상으로 안정생산량 5만8000톤보다 8만9000톤이 많은 6만6900톤까지 생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면서 “제주도가 수립한 현재의 2만2000톤 감산정책 및 8만9000톤 처리대책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구 의원은 특히 “제주도가 올해 감귤 적정생산을 위한 계획을 수립한 이후 한달만에 1/2간벌 1000㏊, 휴식년제 1000㏊를 확대하겠다는 것은 수급예측을 못한 것”이라고 질책했다.

그러면서 구 의원은 ‘감귤 계획생산제 시행’과 농가별 ‘휴경명령제’ 도입을 제안했다.

구 의원은 “감귤생산량을 처음부터 계획해서 농가별 휴경명령제를 시행하고, 무임승차하는 농가에 대해서는 패널티를 강화한다면 감귤 안전생산을 통한 제값 받기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64 젊은 농업인들 감귤재배 관심 많다. 기획정보과 2018-01-29 2406
1763 이제 감귤도 전라북도 시대! 기획정보과 2018-01-24 2518
1762 대중매체 통한 '감귤홍보'강화 기획정보과 2018-01-24 2561
1761 감귤가격 호조에 농협 군납 딜레마 기획정보과 2018-01-24 2981
1760 도 농업기술원, 고품질 감귤 생산 간벌 기술지원 기획정보과 2018-01-24 2331
1759 고품질 감귤 생산.유통 우리가 앞장선다 기획정보과 2018-01-18 2507
1758 제주시감귤1/2간벌 신청접수 기획정보과 2018-01-18 2522
1757 밀식 감귤원 1/2간벌 조기 추진 기획정보과 2018-01-16 2540
1756 제주 햇귤 1월에도 맛본다 기획정보과 2018-01-16 4339
1755 감귤원 정비사업 참여 농가 모집 기획정보과 2018-01-15 2245
1754 감귤 군납 농협 부담감 눈덩이 기획정보과 2018-01-15 2524
1753 [기고]감귤 맞춤형 농업인교육 신청하자 기획정보과 2018-01-15 2180
1752 제주감귤류 가지 철사 '환상조이기'...'광합성 높아 '당도↑' 기획정보과 2018-01-15 2375
1751 올해 명품감귤 브랜드 3년만에 첫 출하 기획정보과 2018-01-10 2892
1750 감귤농민 영농의욕 꺾는 해상운송비 기획정보과 2018-01-10 2493
1749 올해도 감귤가격 고공행진 이어진다. 기획정보과 2018-01-10 2320
1748 경주, 감귤 경주봉,차별화된 품질 인정받아. 기획정보과 2018-01-10 2562
1747 제주감귤 해외시장 확충 '겉돈다' 기획정보과 2018-01-08 2802
1746 감귤원 간벌은 선택이 아닌 필수 아니겠는가 기획정보과 2018-01-08 2219
1745 농진청, 감귤 수확후 나무 양분관리 중요 강조 기획정보과 2018-01-08 237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