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 전통감귤 개발 및 육성의 당위성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22 10:14:10      ·조회수 : 2,141     

제주 전통감귤 개발 및 육성의 당위성

양세완 21세기영농조합 법인대표

제주감귤이 아무런 변화 과정도 없이 대중화가 가능했던 것은 첫째 독점 생산이고, 둘째 쇄국적인 시장이고, 셋째는 감귤 소비를 지지해준 중산층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태생적인 것들이 부메랑이 돼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 막대한 행·재정적 투자에도 불구하고 제주감귤이 FTA 앞에 무기력 할 수밖에 없는 것이 이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이것은 제주 감귤산업의 병을 제대로 진단하지 못하고 처방했기 때문이다.

한 때 진상품이였던 제주 감귤이 이번 추석에 상대과일과 품질 대비 과소평가돼 싼 값에 팔리게 된 것은 브랜드 개념 부족 등으로 타고난 가치(품질)와 품격(문화)을 무시하고 남의 것만 모방하다 개성(고유 맛)을 잃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개성이란 시각, 촉각, 후각, 미각(고유 맛) 영양이 풍부한 오감의 전통감귤을 뜻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감귤과는 비교 할 수 없는 세계감귤의 톱 브랜드이고 제주감귤의 유일한 경쟁력이다. 제주에는 오감의 감귤을 재배 할 수 있는 조건(기후·물질· 환경)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오감의 감귤을 황금알로써 노지감귤 상품기준 50만t으로 마케팅(유통)만 뒷받침 해준다면 생산자수취가격기준 1조원을 훨씬 능가하는 규모의 감귤산업도 가능하다는 것을 2004년산 감귤에서 개인적으로 경험한바 있기 때문에 자신 있게 말 할 수 있다.

최근 속성 과일들이 소비자 기호(입맛)변화로 영양(웰빙)과일로 주력하는 것을 제주감귤 사회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서귀포 칠십리 감귤 정책이 실패하고 감귤 박물관이 적자 운영되고 있는 것도 1차산업 방식으로 재단되고 개량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오감의 전통감귤은 누구나 아무데서나 만들 수 없는 희소상품이기 때문에 제주의 보물이고 황금알을 낳는 최첨단 감귤산업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53 "수박하나사먹기 힘드네요"... 기획정보과 2017-06-26 2231
1652 제주시..감귤 재배실태 전수조사 기획정보과 2017-06-21 2114
1651 감귤포장재 규격은 소포장이라도 좋아 기획정보과 2017-06-21 2489
1650 제주풋귤 보조사업자 공모 기획정보과 2017-06-20 2515
1649 귤,포도,수박 다 오르네... 과실물가지수, 4년 만에 최고 기획정보과 2017-06-20 1984
1648 감귤의무자조금 농가 동의 경우 절반 넘겼는데... 기획정보과 2017-06-20 1906
1647 올해산 하우스감귤 고소득 기획정보과 2017-06-20 2098
1646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 안되는 만감류 기획정보과 2017-05-24 10797
1645 일본서 1만엔 넘는 감귤주스 등장 기획정보과 2017-05-24 2355
1644 도, 고품질 감귤 생산 지원사업 추경 확보 추진 기획정보과 2017-05-24 2360
1643 감귤 가격2년 연속 호조 이어간다 기획정보과 2017-05-24 2831
1642 장흥군, 지역온난화 대응 '레드향'육성 박차 기획정보과 2017-05-02 2501
1641 제주시 수출용 감귤 포장상자대 지원 기획정보과 2017-05-02 2621
1640 감귤'농작물재해보험'가입농가 증가 기획정보과 2017-05-02 2507
1639 제주관광공사 '오월의 귤꽃소풍' 기획정보과 2017-05-02 2477
1638 감귤 맛으로 승부.. 상품기준 크기서 당도전환 기획정보과 2017-05-02 2180
1637 제5회 감귤박물관 감귤꽃향기 문예대회 개최 기획정보과 2017-05-02 2163
1636 틈새시장 겨냥 "당유자" 재배 추진 기획정보과 2017-04-25 2298
1635 올해산 제주 하우스감귤'첫선' 기획정보과 2017-04-20 2374
1634 제주감귤농협,신품종 "수로미" 선봬.. 기획정보과 2017-04-19 238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