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유통명령 발령 효과 배가시켜야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9-10-29 10:57:33      ·조회수 : 2,259     

감귤유통명령 발령 효과 배가시켜야



올해 제주산 노지감귤에 대한 유통명령제가 내일(29일)부터 공식 발령된다.


농식품부는 이러한 사실을 29일자 관보를 통해 장관 명의로 공고하게 되면 이날부터 전국을 상대로 한 유통명령이 본격 효력을 발휘하게 된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농식품부가 지난달 13일 감귤유통조절추진위로부터 올해산 노지감귤유통조절명령발령 요청을 받고 공정거래위와의 협의절차 등을 모두 마친 결과다.


사실 지난 5월과 8월 제주도 자체조사결과는 물론 지난 10월 농식품부 지정 공식 관측기관인 한국농촌경제원에서 ‘올해산 노지감귤은 지난해보다 26% 많은 65만4000t의 과잉생산이 예상 된다’고 밝힘으로써 유통명령 발령은 어느 정도 예견돼 왔다.


유통명령 발령요건인 ‘적정 수요량(58만t)의 10% 초과 시’를 충족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농식품부 등이 이에 기울인 노력은 의미가 적지 않다.


올해 노지감귤은 해거리 현상으로 풍작이 예상됨에 따라 연초부터 감귤열매솎기 등 감산노력이 도민운동으로 꾸준히 전개돼왔다. 하지만 착과수가 크게 증가하고 생리낙과가 거의 없는 등 과잉생산이 우려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유통명령은 정부 당국이 제주 현지의 어려운 실정을 십분 이해한 것으로 평가한다.


이로써 지난 2003년부터 5년 연속 발령됐던 유통명령은 올해 다시 도입돼, 당국은 내년 3월까지 품질 낮은 감귤유통 단속에 들어가게 된다.


무엇보다 비상품의 시장유통 차단과 함께 감귤 제값받기에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문제는 이런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관건은 농가, 생산자단체, 중간상인 등에 이르기까지 비상품을 생산하지도 출하하지도 유통하지도 않겠다는 실천의지다. 그러지 않고선 비상품 불법유통 자에게 최고 800만원의 과태료를 물린들, 이미 비상품이 시장에 만연하게 되고 유통명령은 있으나마나하게 된다.


최근에도 강제착색 등 양심불량 감귤이 잇따라 적발되고 있어 당혹스럽기 그지없다.


출하 초기부터 소비자 불신이 심화되면 가격 추락은 물어보나 마나다.


당국이 주야간 감시단속을 더욱 강화하고 범법자를 엄벌해야하는 이유다.


이와 함께 특단의 신경을 써야하는 문제는 가격하락 방지위한 체계적인 출하조절이다.


근본적으로 제주감귤을 살리는 토대는 농가 스스로 소비자 눈높이에 맞는 고품질 감귤을 생산 출하하는 길이다.


2009년 10월 28일 제주일보 webmaster@jejunews.com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84 제주농업기술센터"제일 사 먹고 싶은 과일 1위는 감귤" 기획정보과 2017-01-03 2650
1583 제주감귤 구입 요건 '맛이 최우선' 기획정보과 2017-01-03 2292
1582 [알림]2017년 9대도매시장 "신정"휴장안내 기획정보과 2016-12-22 2425
1581 겨울과일 중 감귤최고.. 10명중3명은 대형마트 구입 기획정보과 2016-12-15 3180
1580 올해산 감귤가격 호조세 이어져 농가"웃음" 기획정보과 2016-12-15 2940
1579 감귤경영생산비 느는데 소득은 하락 기획정보과 2016-12-15 2670
1578 "신선한 감귤 유통 물류체계 개선해야" 기획정보과 2016-12-15 2413
1577 감귤 재배 정보"스마트폰 터치하세요" 기획정보과 2016-12-08 2990
1576 감귤 산지전자경매 '효과'내년 본격 시행 기획정보과 2016-12-08 2929
1575 [사설]맛좋은 올해 감귤 품질관리 출하조절로 승부 기획정보과 2016-12-05 2814
1574 농협,제주감귤상생마케팅 실시 기획정보과 2016-12-05 2350
1573 [열린마당]'친환경귤'과'파치귤' 기획정보과 2016-12-05 2527
1572 감귤,조선때"귀한 대접"...물량 없어 임금도 "매우절실"안달 기획정보과 2016-12-05 2503
1571 노지감귤 생산량 49만9000톤 전망 기획정보과 2016-12-02 2648
1570 "더 맛있어진 제주감귤 사랑해주세요" 기획정보과 2016-12-02 2286
1569 감귤 수확체험 3000명 돌파 기획정보과 2016-12-01 2247
1568 12월1일은 감귤데이... 많이 먹고 건강하세요 기획정보과 2016-12-01 2659
1567 친환경 감귤껍질, 진피차로 드세요 기획정보과 2016-11-29 2227
1566 제주감귤 사상 첫 산지 전자경매 시행 기획정보과 2016-11-23 3088
1565 제주대표 과일 감귤 육지부에서도 재배면적 증가 기획정보과 2016-11-22 245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