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 전통감귤 개발 및 육성의 당위성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22 10:14:10      ·조회수 : 2,606     

제주 전통감귤 개발 및 육성의 당위성

양세완 21세기영농조합 법인대표

제주감귤이 아무런 변화 과정도 없이 대중화가 가능했던 것은 첫째 독점 생산이고, 둘째 쇄국적인 시장이고, 셋째는 감귤 소비를 지지해준 중산층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태생적인 것들이 부메랑이 돼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 막대한 행·재정적 투자에도 불구하고 제주감귤이 FTA 앞에 무기력 할 수밖에 없는 것이 이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이것은 제주 감귤산업의 병을 제대로 진단하지 못하고 처방했기 때문이다.

한 때 진상품이였던 제주 감귤이 이번 추석에 상대과일과 품질 대비 과소평가돼 싼 값에 팔리게 된 것은 브랜드 개념 부족 등으로 타고난 가치(품질)와 품격(문화)을 무시하고 남의 것만 모방하다 개성(고유 맛)을 잃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개성이란 시각, 촉각, 후각, 미각(고유 맛) 영양이 풍부한 오감의 전통감귤을 뜻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감귤과는 비교 할 수 없는 세계감귤의 톱 브랜드이고 제주감귤의 유일한 경쟁력이다. 제주에는 오감의 감귤을 재배 할 수 있는 조건(기후·물질· 환경)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오감의 감귤을 황금알로써 노지감귤 상품기준 50만t으로 마케팅(유통)만 뒷받침 해준다면 생산자수취가격기준 1조원을 훨씬 능가하는 규모의 감귤산업도 가능하다는 것을 2004년산 감귤에서 개인적으로 경험한바 있기 때문에 자신 있게 말 할 수 있다.

최근 속성 과일들이 소비자 기호(입맛)변화로 영양(웰빙)과일로 주력하는 것을 제주감귤 사회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서귀포 칠십리 감귤 정책이 실패하고 감귤 박물관이 적자 운영되고 있는 것도 1차산업 방식으로 재단되고 개량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오감의 전통감귤은 누구나 아무데서나 만들 수 없는 희소상품이기 때문에 제주의 보물이고 황금알을 낳는 최첨단 감귤산업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44 롯데마트,10월 과일 매출순위 1위는 "감귤" 기획정보과 2016-11-08 2333
1543 노지감귤 생산량 52만톤.. 한달새 3만여톤 감소 기획정보과 2016-11-08 2494
1542 올해산 노지감귤 미국 수출 본궤도 올랐다. 기획정보과 2016-11-04 2255
1541 감귤,인삼·우황·사향과 함께 최상급 효능 지녀 기획정보과 2016-11-03 2969
1540 감귤, 이미400년 전 한방의학 · 약리학적 가치 인정 기획정보과 2016-11-03 2765
1539 제주 재래종 감귤꽃차 항산화물질·항암효과 있어" 기획정보과 2016-11-03 2284
1538 가공용 감귤 수매 가격 지난해 수준으로 변경 여부 관심 기획정보과 2016-11-01 2812
1537 감귤 재배 국내 전 지역으로 확대 기획정보과 2016-10-26 2665
1536 상처난 감귤 유통시 부패과로 변해 철저한 선별 필요 기획정보과 2016-10-26 2264
1535 [기고]달라진 감귤 출하, 그자체가 상생의 불꽃 기획정보과 2016-10-26 2409
1534 [알림] 2016년산 가공용감귤 도외반출 승인요령 기획정보과 2016-10-25 2604
1533 2016제주감귤박람회 11월9일부터 "많이 보러 오세요" 기획정보과 2016-10-25 6918
1532 2024 국제감귤학회 학술대회 제주유치 성공 기획정보과 2016-10-25 2306
1531 2016제주감귤박람회 내달 개회 기획정보과 2016-10-25 2365
1530 제주도, 비상품 감귤 농장 격리사업 한시적 시행 기획정보과 2016-10-25 2148
1529 "특명"제주감귤 부패과 유통을 차단하라 기획정보과 2016-10-25 2391
1528 감귤 나눔 칸막이 박스 감귤 유통 혁명 기획정보과 2016-10-25 2131
1527 폭염에 당도 높아진 감귤, 과일 매출 1위 탈환 기획정보과 2016-10-25 2277
1526 감귤 가공부산물,식용곤충 사료로 재활용 기획정보과 2016-10-25 2545
1525 노지감귤 산지경매 올해 처음 시행되나 기획정보과 2016-10-19 280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