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 재해보험 '속 빈 강정'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4-03 12:55:26      ·조회수 : 2,647     

감귤에 대한 농작물재해보험이 실시된지 10년째를 맞고 있지만 가입 실적은 1%대로 극히 저조,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내실화 방안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2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이동필, 이하 농경연)에 따르면 농작물재해보험은 태풍과 보험 등 자연재해로 인한 농가 손실을 보전해주는 정부 지원 정책보험으로, 2001년 사과와 배를 시작으로 2002년 감귤과 포도 등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다.

농작물재해보험은 시행 11년만에 35개 품목으로 확대된데다 지난해까지 9만3800여 농가에서 보험금 5202억원을 지원받는 성과를 올리며 농업 경영 안정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사과와 감귤 등 품목별 보험 가입률 격차가 갈수록 심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양적 확대보다는 내실화를 도모하는 보완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실제 도내 대표 작목인 감귤인 경우 지난해 보험 대상 면적 1만7734ha 가운데 1.22%에 불과한 216ha만 가입한 것으로 나타나 과수 부문에서 가입률이 가장 낮았으며 무려 86.8%의 가입률을 보인 사과와 큰 대조를 이뤘다.

농경연도 “보험 실시 10년째인 감귤인 경우 가입률이 1.22%에 불과하는 등 전체 25개 품목 가운데 10개 품목의 가입률이 10% 미만으로 농가 참여가 매우 저조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처럼 감귤의 농작물재해보험 가입이 저조한 것은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어 실질적인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으로, 도내 농업계에서는 지역적 기후 및 품목별 특성 등을 반영해 보상 재해 범위를 확대하는 실효성 있는 보완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해 왔다.

농경연도 이에대해 “감귤 등 농작물재해보험 가입률이 저조한 품목에 대해서는 원인 분석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정책 수단을 검토하는 등 내실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농경연은 특히 “품목별 특성 뿐만 아니라 지역별 기상 여건 특성을 반영되는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보장 범위를 확대하고 보다 많은 농업인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해 앞으로 제도 보완이 이뤄질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문의 농경연 02-3299-4348.
< 제주일보 김태형기자 >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12 제주감귤과 관광이 만나면 어떤모습? 기획정보과 2016-09-19 2267
1511 감귤공화국, 새콤달콤 탐스러운 제주가 익어간다 기획정보과 2016-09-19 2006
1510 제주최고 남원감귤 중 베스트 상품 만들어낸다 기획정보과 2016-09-19 2117
1509 [알림]2016년도 업무보조원 채용 공고 기획정보과 2016-09-09 2469
1508 [알림]2016년 추석명절휴장일 안내 기획정보과 2016-09-06 2366
1507 정직한 맛과 하나된 브랜드로 힘 모아야 기획정보과 2016-08-25 2324
1506 제주도 농업기술원 풋귤 요리법 리플릿 보급 기획정보과 2016-08-25 2550
1505 감귤류 과일 속 '플라보논' 비만 유발 만성질환 예방 기획정보과 2016-08-24 2133
1504 제주도,비상품감귤 유통 허용 재검토"농가의견 수렴해 보완할 것" 기획정보과 2016-08-03 2172
1503 노지감귤 '성목이식'사업이 답니다! 기획정보과 2016-07-26 2517
1502 [알림]2016년 하계휴장일 안내 기획정보과 2016-07-20 2205
1501 제주 고품질노지감귤 생산을 위한 종합상황실 운영 기획정보과 2016-07-20 2257
1500 농협제주본부와 제주감귤연합회, 14일 서귀포시 열매솎기발대식 기획정보과 2016-07-15 1927
1499 "공장매연으로 감귤 대량 낙과 피해" 기획정보과 2016-07-15 2131
1498 고품질 감귤생산 열매솎기에 "올인" 기획정보과 2016-07-13 1967
1497 올해산 노지감귤 적정생산비상 기획정보과 2016-07-11 2112
1496 풋귤, 안전관리 기준 마련한다 기획정보과 2016-07-06 2049
1495 상품감귤까지 비상품 전락우려 VS 맛있으면 먹힐것 기획정보과 2016-07-06 2038
1494 감귤 출하기준 '상품+당도"전환의견분분 기획정보과 2016-07-05 1914
1493 감귤껍질 동맥경화 억제 효과 입증 기획정보과 2016-07-05 181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