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올해 노지감귤 64만톤 전망...당산비 최고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9-11-27 14:22:32      ·조회수 : 2,607     

올해 노지감귤 생산 예상량 관측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지난 11월 9일부터 농업기술원 조사공무원 112명과 조사보조요원 280명 등 392명이 투입돼 도내 452개소에서 조사한 결과이다.
노지감귤감귤관측조사위원회(위원장 고성보)와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강용철)은 11월 27일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예상량을 64만톤(오차범위 ± 3.5%)으로 최종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생산량 520천톤보다 123%증가했고, 2007년 677천톤보다 37천톤(5.5%) 적은 량이다.
생산예상량 조사와 아울러 품질관련 조사도 병행해 실시하였는데 올해산 감귤품질은 11월 10일 기준 평균 당도 9.9°Bx, 산도 0.97%로 당도는 전년보다 0.2°Bx, 평년 0.5°Bx 높았고, 산도는 전년보다 0.01%, 평년보다 0.09% 낮았다.
맛의 정도를 숫자로 나타내는 당산비가 10.2로 최근 3년 평균 당산비 8.9보다 1.3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9월부터 10월 하순까지 강우량과 일수가 7일 적고 일조시간이 길어 후기당도를 높여 주었고, 특히 11월 상순에 내린 비가 산함량을 낮추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열매무게는 개당 84.2g으로 지난해 95.1g보다 과다착과로 인해 10.9g작을 뿐만 아니라 열매크기도 횡경 59.5㎜, 종경 50.7㎜로 지난해 63.7㎜, 51.7㎜보다 횡경의 경우 4.2㎜ 적게 분석됐다. 선과 규격으로 평균 5번과에 해당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선과규격별 열매분포는 2~8번과가 76.2%를 점유해 지난해 74.9%보다 1.3% 높게 나타났다.
비상품과인 0~1번과 비율은 12.7%, 9~10번규격 11.1%로 조사되었는데, 지난해 0~1번과 비율 3.4%보다 9.2%높게 나타났고 9~10번과는 지난해 21.7%보다 오히려 10.6%낮게 나타났다.
특히 7~8번과의 비율이 적어 중형과일이 많이 생산될 전망이다.
이는 8월 관측조사에서 예측한 0~1번과 비율 29.1%보다 16.4%정도 적어졌는데, 올여름 소과위주의 대대적인 열매솎기 효과로 분석했다.
농업기술원은 수확중에도 비상품은 현장에서 버리고, 완숙과와 규격품과 위주로 수확해 출하할 수 있도록 농가에 당부했다.
또, 철저한 선과작업으로 2~8번과 중에서 상품만 출하하고 불량감귤이 시장에서 격리 시키는 한편 저장용 감귤은 반드시 3~5%정도 예비건조후 저장할 수 있도록 현장 지도를 강화할 방침이다.
<&copy;제주인터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04 제주도,비상품감귤 유통 허용 재검토"농가의견 수렴해 보완할 것" 기획정보과 2016-08-03 2475
1503 노지감귤 '성목이식'사업이 답니다! 기획정보과 2016-07-26 2858
1502 [알림]2016년 하계휴장일 안내 기획정보과 2016-07-20 2523
1501 제주 고품질노지감귤 생산을 위한 종합상황실 운영 기획정보과 2016-07-20 2592
1500 농협제주본부와 제주감귤연합회, 14일 서귀포시 열매솎기발대식 기획정보과 2016-07-15 2215
1499 "공장매연으로 감귤 대량 낙과 피해" 기획정보과 2016-07-15 2459
1498 고품질 감귤생산 열매솎기에 "올인" 기획정보과 2016-07-13 2281
1497 올해산 노지감귤 적정생산비상 기획정보과 2016-07-11 2587
1496 풋귤, 안전관리 기준 마련한다 기획정보과 2016-07-06 2430
1495 상품감귤까지 비상품 전락우려 VS 맛있으면 먹힐것 기획정보과 2016-07-06 2416
1494 감귤 출하기준 '상품+당도"전환의견분분 기획정보과 2016-07-05 2171
1493 감귤껍질 동맥경화 억제 효과 입증 기획정보과 2016-07-05 2233
1492 선과장 등록제 감귤처리 대책 시급 기획정보과 2016-07-05 2109
1491 제주시 유수암마을, 7-8월 풋귤 체험행사 기획정보과 2016-07-05 2317
1490 명품감귤 단지 조성 중간평가 기획정보과 2016-06-30 2406
1489 고품질 감귤 토양피복 지원 기획정보과 2016-06-28 2567
1488 작년산 제주감귤 조수입 6022억원 기획정보과 2016-06-28 2433
1487 농진청, 감귤 가공부산물 곤충사료로 개발 기획정보과 2016-06-28 2318
1486 감귤 선호도 낮아.. 국민 과일 위상"위태' 기획정보과 2016-06-24 2362
1485 감귤 신품종 보급, 우수 품종,농가 선택에 달려 기획정보과 2016-06-24 230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