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미국 오렌지 밀려오지만 정부 수수방관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12-05 07:58:32      ·조회수 : 2,132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로 값싼 미국 오렌지가 밀려오지만 정부의 감귤 경쟁력 강화 약속은 빛을 바래고 있다.

정부가 4년전 한·미FTA 타결후 감귤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약속했던 타이벡 재배면적 확대 및 시설현대화사업 지원 규모가 폐지되거나 축소, 제주 홀대론이 최근 부각되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가 지난 7월 한·미FTA 발효에 따른 국내 과수분야 생산 감소액을 분석한 결과 감귤의 15년차 누적 피해액이 9589억원으로 가장 심했다.

감귤 피해액은 같은 기간 사과 피해약 9260억원은 물론 배 피해액 6052억원 보다 많는 등 한·미FTA 발효로 도내 감귤재배농가와 지역경제의 극심한 피해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하지만 정부는 4년전 약속했던 타이벡 재배면적 확대 약속을 중단하는 등 국정 일관성을 스스로 훼손시키고 있다.

정부는 2007년 4월 한·미FTA 타결후 감귤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06년 기준 타이벡 재배면적 5%를 2017년까지 38%로 확대하겠다고 밝혔지만 2008~2010년 3개년에 한해서만 FTA 기금을 지원한후 올해부터 중단했다.

FTA 기금을 활용, 2008~2010년 전체 사업비의 45%(국비 보조 25·융자 20)를 지원했지만 올해부터는 보조·융자를 전면 중단했기 때문이다.<표 참조>

때문에 제주도가 고육지책으로 도비 60%와 농가 부담 40%로 타이벡 재배사업을 진행, 지방재정난 악화 및 농가들의 부담이 가중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농촌진흥청 등 전문 연구기관의 실증 결과 타이벡 재배가 감귤의 착과량 향상·수분 조절을 통해 당도를 향상, 미국산 오렌지와 경쟁할 수 있는 고품질 열매를 생산하고 있지만 정부는 타이벡을 '소모성 자재'로 인식, 올해부터 국비(FTA 기금)를 지원하지 않고 있다.

특히 FTA 발효로 큰 피해가 예상되는 비가림하우스 등 고품질 감귤 생산시설 현대화사업에 따른 국비 지원율 25%도 올해부터 20%로 축소, 정부의 지원 의지가 시들해지고 있다.

미국산 오렌지 수입 관세 50%가 FTA 발효 즉시 한라봉 등 시설감귤 성출하기인 3~8월에 30%로 축소된후 7년간에 걸쳐 완전 철폐, 직격탄을 맞지만 정부는 하우스·발전기·자동개폐기 등 시설현대화사업 국비 지원율을 축소, 4년전 발표했던 약속을 스스로 뒤집는 셈이다.

도 관계자는 "정부가 중단한 타이벡 지원을 비파괴선과기로 전환, 60억원을 받았다"며 "하지만 농가들의 타이벡 및 시설현대화 신청이 증가, 정부와 다시 지원 여부를 협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제민일보 박훈석 기자>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53 비상품 노지감귤 처리 대란 오나 기획정보과 2015-09-08 1818
1352 올해산 가공용 감귤 수매 큰 변동 없다. 기획정보과 2015-09-08 1923
1351 올해산 고품질 생산.안정적 유통처리 비상 기획정보과 2015-09-08 1947
1350 추석대목 과일 수급 및 가격전망--단감,감귤 기획정보과 2015-09-08 1578
1349 올해산 하우스감귤 소폭 올라 기획정보과 2015-09-08 1605
1348 비상품감귤 도매시장 유통근절 결의 기획정보과 2015-09-08 1686
1347 감귤 통합브랜드"귤로장생"홍보 잰걸음 기획정보과 2015-09-04 1772
1346 감귤산업"위기를 기회로"-참여의식 절실 기획정보과 2015-09-04 1890
1345 제주농협, 새 감귤 정책 조기 정착 총력전 기획정보과 2015-09-04 2266
1344 새 상품규격 적용 농가 아직 모른다 기획정보과 2015-09-04 1835
1343 감귤 생산액 급감"가격경쟁력"키워야 기획정보과 2015-09-04 1874
1342 감귤산업,"위기를기회"2.감귤혁신5개년 계획의 내용은 기회정보과 2015-09-03 2106
1341 감귤산업 "위기를 기회로"..감귤산업의 현실 기획정보과 2015-09-02 2012
1340 비상품 감귤 도매시장 상장 거부,반품 조치 기획정보과 2015-09-01 1875
1339 5단계감귤유통정책, 특단의 대책은.. 기획정보과 2015-09-01 1858
1338 올해산 비상품감귤 설 자리 없다 기획정보과 2015-09-01 1839
1337 "260억원 해양쓰레기 종합처리장 청신호" 기획정보과 2015-08-31 2258
1336 감귤재배지,기후 온난화로 2070년대까지 증가 기획정보과 2015-08-31 2227
1335 농가.유통.행정 힘 모아 경쟁력 쑥쑥.. 기획정보과 2015-08-28 1999
1334 감귤5단계 품질 규격 적용시기 제각각 기획정보과 2015-08-27 193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