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1등감귤' 제값받기 총력전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9-10-23 19:03:46      ·조회수 : 2,259     

'1등감귤' 제값받기 총력전
당산비 좋아 품질도 최고… 수급관리 관건

道, 비상품 유통 차단 전방위 활동 전개


NewsAD제주자치도가 1등 과일로써 감귤의 명성을 이어가기 위한 감귤 제값받기에 총력을 쏟기로 했다.

제주자치도는 올해산 노지감귤에 대한 품질조사 결과 당산비가 2년 연속 최고 수치인 '10'을 기록하는 등 당도와 신맛의 비율이 높아 맛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자치도는 이에따라 품질과 유통관리, 그리고 비상품 감귤 차단에 만전을 기해 제값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전방위 활동을 펼친다고 22일 밝혔다.

도는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예상량이 지난 8월 착과량 조사결과 67만6000톤에 달함에 따라 그동안 적정생산 58만톤을 유지하기 위해 열매솎기 등으로 9만6000톤을 감산했다.

도는 또 이달말까지 고품질 생산관리를 위해 농가 자율적으로 불량감귤을 수상선과 하는 등 추가적으로 폐기하는 감산을 추진하기로 했다.

도는 올해산 노지감귤의 적정 처리를 위해 도외 상품 출하 40만톤, 수출 1만톤, 군납 2000톤, 북한보내기 1만2000톤, 택배를 포함한 도내소비 4만6000톤 등 47만톤을 관리하고 가공용으로 11만톤을 처리하기로 했다.

도는 고품질 감귤 시장 출하만이 제값받기의 관건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이 부분에 행정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실제 도는 사과와 배, 단감 등 타 경쟁과일에서 비교우위를 점하기 위해 수확후 충분한 예비저장과 선과장에서의 철저한 선별, 미숙 조생감귤 강제 착색행위 등을 강력 지도·단속키로 했다.

또 도는 공급 확대를 위해 수출과 군납 그리고 북한보내기를 통해 소기의 처리 목표를 달성해 나가기로 했다.

출하 조절을 위해 감귤출하연합회의 출하 및 가격정보 제공기능을 강화하고 도매시장 가격 홈페이지 게재와 문자정보 서비스발송 대상자를 확대키로 했다.

도는 비상품 단속반을 통해 적발되는 위반 사례에 대해서는 법에 규정된 가장 높은 책임을 묻기로 했다.

다만 수출과 군납, 북한보내기 등을 통한 소비 목표 달성 여부가 적정 처리의 변수가 될 전망이다.

강성근 도 친환경농축산국장은 "맛이 일단 좋은 만큼 물량조절과 품질관리 만 선행된다면 올해산 노지감귤도 제값받기에 문제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라일보 2009. 10.23.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24 비상품 감귤 제로, 농업인 앞장선다 기획정보과 2015-08-07 2049
1323 제주감귤농협,명품감귤 위한 열매솎기 발대식 개최 기획정보과 2015-08-07 1983
1322 감귤혁신계획에 농심 반양 환영 기획정보과 2015-08-06 1894
1321 감귤혁신5개년 계획, 참고 사례 삼아야 기획정보과 2015-08-06 2039
1320 전국농민회 제주도연맹"감귤혁신안 계획 구제적으로 제해야" 기획정보과 2015-08-06 1913
1319 감귤 계통출하 70%로 높인다 기획정보과 2015-08-05 1923
1318 과정이 좋은 감귤 구조 혁신 5개년 계획 기획정보과 2015-08-05 2311
1317 감귤생존 정책,생산,유통 바꾼다. 기획정보과 2015-08-04 2084
1316 한농연 제주, 제주도 감귤혁신 5개년 계획 환영 기획정보과 2015-08-04 2104
1315 수매가 지원 점진적 폐지... 시행방안 감감 기획정보과 2015-08-04 2047
1314 귤로장생,12월1일은? 기획정보과 2015-08-03 2006
1313 감귤 계통 출하 비율 확대하려면? 기획정보과 2015-07-29 2042
1312 초보농민도 감귤농사 지을수 있을까? 기획정보과 2015-07-28 2163
1311 농민.농협 "제주감귤 살리기"안간힘 기획정보과 2015-07-27 2140
1310 고품질감귤혁신안 58% 소규모농가 지원방안 없다 기획정보과 2015-07-24 1940
1309 제주형 감귤 품종 개발,보급 걸음마도 못뗐다. 기획정보과 2015-07-22 2092
1308 감귤 최저가격보장제 도입 "관심" 기획정보과 2015-07-22 2168
1307 감귤농가 혁신만 주장하는 원희룡 지사 기획정보과 2015-07-22 2122
1306 제주형 감귤육종 개발촉진 토론회 마련 기획정보과 2015-07-21 2007
1305 감귤도 비전만 제시됐더라면.. 기획정보과 2015-07-21 198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