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올해 기상 악화 속 감귤이 가장 빛났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12-27 12:27:26      ·조회수 : 2,056     

올해산 농작물은 특이 기상으로 인하여 봄철 맥주보리를 제외한 겨울작물과 가을철 감귤을 제외한 여름작물이 수난의 연속이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고성준)은 올해는 대체적으로 평균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고 강수량과 일조시간이 적어 농작물 관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은 해로 평가하고 있다.

겨울작물인 겨울(봄)감자, 마늘과 양파의 생산량은 1~4월까지 온도는 낮았지만 해비치는 시간이 많아 병해충발생이 적어 보리를 제외하면 최근 5년 평균보다 10a당 수량은 많았던 것으로 분석하였다.

또, 여름작물인 참깨, 콩은 이른 장마와 8월 안개, 가을가뭄의 영향으로 전․평년보다 3~48%정도 수량이 감소했다.

하지만 감귤은 여름철 해 비치는 시간부족에도 불구하고 8월 하순부터 10월 중순까지 해 비치는 시간이 많았고, 가뭄으로 건조한 날씨가 이어져 당도향상 등 품질향상에 결정적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이한 기상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도 많았다.

지난해 12월 29일부터 올 1월 1일까지 내린 눈은 서귀포, 성산, 고산지역 관측 이래 최고의 적설량을 기록했고 25㏊의 시설피해가 발생했다.

평년보다 9일 빨랐던 장마는 서부중산간의 밀, 봄감자가 수확을 못한 것을 비롯하여 총 584㏊의 농작물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또, 8월에는 고산지역 최대 9일간의 안개 날씨 이후 10월 13일 까지 가뭄으로 콩, 참깨 등 밭작물 수량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제5호(메아리), 10호(무이파) 태풍으로 5,298㏊의 시설과 콩, 당근 등의 농작물 피해와 9월 10일부터 2일간 연속 18시간 이상의 천둥번개로 44백만원의 전기시설피해(한전 추산), 대흘 지역 시간당 111.6㎜ 집중호우로 335㏊의 농경지 침수․유실피해가 발생하는 초유의 사건도 발생하였다.

최근 11월 높은 기온과 기상관측 이래 가장 많은 비가 내렸는데 특히 성산은 올해 월별 최고 강수량을 기록하여 동부지역의 월동 무가 웃자라 상품비율이 떨어지는 피해도 발생했다.

농업기술원은 기후변화에 따른 '농작물 재해예방 매뉴얼'을 새롭게 구축하는 등 최근 국지적인 기상재해로 인한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현지지도를 확대 추진해 나아갈 계획이다. < 한국인터넷뉴스 김은옥 인턴기자 >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12 초보농민도 감귤농사 지을수 있을까? 기획정보과 2015-07-28 1898
1311 농민.농협 "제주감귤 살리기"안간힘 기획정보과 2015-07-27 1879
1310 고품질감귤혁신안 58% 소규모농가 지원방안 없다 기획정보과 2015-07-24 1656
1309 제주형 감귤 품종 개발,보급 걸음마도 못뗐다. 기획정보과 2015-07-22 1765
1308 감귤 최저가격보장제 도입 "관심" 기획정보과 2015-07-22 1916
1307 감귤농가 혁신만 주장하는 원희룡 지사 기획정보과 2015-07-22 1794
1306 제주형 감귤육종 개발촉진 토론회 마련 기획정보과 2015-07-21 1766
1305 감귤도 비전만 제시됐더라면.. 기획정보과 2015-07-21 1716
1304 [뉴스초점]제주감귤 봄날은 갔다. 기획정보과 2015-07-21 1761
1303 감귤과즐만들기 이벤트 기획정보과 2015-07-21 2113
1302 2015년 도매시장 하계 임시 휴업일 안내 기획정보과 2015-07-20 1790
1301 감귤산업 구조혁신이 꼭 필요한 이유 기획정보과 2015-07-17 1960
1300 제주형 감귤 육종 토론회 개최 기획정보과 2015-07-17 1845
1299 감귤 조례안 도-의회 의견 "팽팽" 기획정보과 2015-07-17 1618
1298 지난해산 감귤 조수입 급감 기획정보과 2015-07-16 1748
1297 가공용감귤 수매가 지원 중단하겠다면서 추경엔 28억 기획정보과 2015-07-15 1830
1296 "행정 오락가락하면 제주감귤 다 죽는다." 기획정보과 2015-07-15 1613
1295 제주도 정책 오락가락...감귤가공예산 ->녹차 포장으로 기획정보과 2015-07-15 1667
1294 고품질 감귤생산...열매솎기도 나무별 차별화 전략 기획정보과 2015-07-15 1729
1293 감귤 수출준비 착착... 현장 컨설팅 활발 기획정보과 2015-07-13 165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