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출하연합회 전체회의서 가공용 규격 결정

· 작성자 : 김용진      ·작성일 : 2019-09-19 13:04:30      ·조회수 : 3,443     

출하연합회 전체회의서 가공용 규격 결정

18일 도청 회의실에서 감귤출하연합회 전체회의가 열리고 있다.
2019년산 노지감귤 생산량이 전년보다 6만t 가량 늘어난 52만8000t 내외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난해까지 10브릭스 이상이면 상품 출하가 가능했던 2L초과 대과가 가공용 규격으로 결정됐다.

사실상 상품 출하 기준이 불가 2년 만에 당도에서 규격으로 다시 돌아오게 된 셈이어서 농가 입장에서는 혼란이 우려되고 있다. 다만 2S(49~53㎜) 미만 소과(46~48㎜)는 종전대로 10브릭스 이상이면 상품 출하가 가능하다.

제주특별자치도는 18일 도청 회의실에서 도내 지역농협 조합장, 가공업체 등 감귤출하연합회 회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감귤출하연합회 전체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전체회의 주요 안건은 ▲감귤 생산 예측량 증가에 따른 가공용 감귤 규격 결정 ▲수매단가가 결정이다.

지난 2017년 ‘제주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시행 규칙’ 개정으로 노지감귤은 당도 10브릭스 이상일 경우 크기기준을 적용받지 않고 상품으로 출하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이날 회의에서 2L(67~70㎜) 초과 규격과 극소과(45㎜ 이하)를 포함한 중결점과를 올해 가공용 규격으로 결정됐다. 올해 생산예상량을 감안하면 약 9만t 정도로 전망되고 있다.

감귤 조례 시행 규칙상 출하연합회가 가공용 규격 및 수매단가를 비롯해 유통 및 출하조절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을 정하고 있지만 농가 입장에서는 혼란도 예상된다. 생산량 증가에 예상에 따라 2년 만에 대과 출하를 못하게 됐기 때문이다.

농정당국은 생산예상량에 따라 탄력적 운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며, 일부 지역농협 조합장들은 조례를 개정해 앞으로는 대과 출하를 못하도록 명문화하자는 의견도 제기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날 회의에서 가공용 수매단가는 kg당 180원(가공업체 120원, 도 60원)으로 동결됐다. 2016년산까지는 160원(가공업체 110원, 도 50원)이었고, 2017년부터 20원 인상됐다.

한편 최근 5년간 노지감귤 생산량과 가공용 수매는 2014년 57만3400t(가공용 15만8291t), 2015년 51만9200t(8만4477t), 2016년 46만6800t(5만5925t), 2017년 44만200t(7만1929t), 2018년 46만7600t(6만2542t)이다.

출처 : 제주新보(http://www.jejunews.com)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24 비상품 감귤 제로, 농업인 앞장선다 기획정보과 2015-08-07 2017
1323 제주감귤농협,명품감귤 위한 열매솎기 발대식 개최 기획정보과 2015-08-07 1947
1322 감귤혁신계획에 농심 반양 환영 기획정보과 2015-08-06 1865
1321 감귤혁신5개년 계획, 참고 사례 삼아야 기획정보과 2015-08-06 2005
1320 전국농민회 제주도연맹"감귤혁신안 계획 구제적으로 제해야" 기획정보과 2015-08-06 1880
1319 감귤 계통출하 70%로 높인다 기획정보과 2015-08-05 1892
1318 과정이 좋은 감귤 구조 혁신 5개년 계획 기획정보과 2015-08-05 2278
1317 감귤생존 정책,생산,유통 바꾼다. 기획정보과 2015-08-04 2055
1316 한농연 제주, 제주도 감귤혁신 5개년 계획 환영 기획정보과 2015-08-04 2074
1315 수매가 지원 점진적 폐지... 시행방안 감감 기획정보과 2015-08-04 2015
1314 귤로장생,12월1일은? 기획정보과 2015-08-03 1975
1313 감귤 계통 출하 비율 확대하려면? 기획정보과 2015-07-29 2008
1312 초보농민도 감귤농사 지을수 있을까? 기획정보과 2015-07-28 2133
1311 농민.농협 "제주감귤 살리기"안간힘 기획정보과 2015-07-27 2110
1310 고품질감귤혁신안 58% 소규모농가 지원방안 없다 기획정보과 2015-07-24 1908
1309 제주형 감귤 품종 개발,보급 걸음마도 못뗐다. 기획정보과 2015-07-22 2056
1308 감귤 최저가격보장제 도입 "관심" 기획정보과 2015-07-22 2137
1307 감귤농가 혁신만 주장하는 원희룡 지사 기획정보과 2015-07-22 2082
1306 제주형 감귤육종 개발촉진 토론회 마련 기획정보과 2015-07-21 1976
1305 감귤도 비전만 제시됐더라면.. 기획정보과 2015-07-21 194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