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도가 비상품 감귤 유통에 과태료 물리는 행위, '정당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10-28 16:41:43      ·조회수 : 2,024     

품질이 좋지않아 상품성이 떨어지는 감귤(이하 비상품감귤)의 유통을 차단하고 이를 유통했을 경우 제주도가 내리는 과태료 부과는 헌법의 기본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결정이 내려졌다.

27일 제주도에 따르면 헌법재판소는 재판관 9명 만장일치로 비상품 감귤에 대해 과태료를 부과하는 것은 '합헌'이라고 최근 판결했다.

그동안 제주도의 감귤조례에 의한 비상품 감귤 과태료 부과는 ▲헌법의 기본원리인 자본주의 시장원리에 위배되고 ▲과잉금지원칙을 위반해 감귤생산·유통자의 재산권을 침해하며 ▲출하 감귤에 대해 품질검사를 받도록 하는 것은 평등원칙에 위배된다는 일부의 주장이 자주 제기돼 왔다.

실제로 지난해 3월 서귀포시 거주하는 K모 유통사업자가 감귤조례 제정근거인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202조'에 대한 위헌 소원을 헌법재판소에 제기했다.

이에 헌법재판소는 이번 판결을 통해 "감귤 조례는 소비자에게 고품질 감귤 제공 등을 목적으로 입법된 것이어서 정당성이 인정된다"며, "출하조정, 품질검사(비상품 출하금지)를 통해 적정량의 좋은 감귤이 시장에 유통되도록 하는 것은 이런 입법목적 달성을 위한 적절한 수단"이라고 밝혔다.

헌재는 또 "감귤은 제주에서 생산되고 있어 다른 농산물과 달리 통일된 품질검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평등의 원칙에도 위배되지 않는다"고 그 정당성의 이유를 밝혔다.

이 과태료 위반 피소 사건에 대해 제주도 감귤특작과는 과태료 부과가 정당하다는 점을 이론적. 실질적으로 헌법재판소에 호소하기 위해 감귤과 담당직원들이 회의를 갖고 토론하는 한편 변호사를 찾아가 법률상 쟁점사항을 끄집어내 자문을 구하는 등 힘을 기울여왔다. "강대성 과장은 “이번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감귤조례의 합법성 등 과태료 부과가 명료화됐다"며 "앞으로 매년 시장경쟁원리를 앞세워 고질적으로 비상품 감귤을 출하해온 일부 유통사업자에 대해 보다 강력한 지도 단속을 실시, 소비자 신뢰 확보에 나설 수 있는 확실한 터전이 마련됐다"고 말했다.

이번 헌재 결정으로 특히 설익거나 감귤모양새를 익은 것 처럼 위장하기 위해 카바이드 등을 이용, 강제 착색처리하는 등의 행위도 한층 사라질 것으로 보여 보다 신뢰받는 제주감귤 이미지가 형성됨은 물론 당장 올 가을부터 생산되고 있는 비상품 감귤 유통행위가 크게 철퇴를 맞게 될 전망이다.

< 세계일보 제주=임창준 기자 >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294 고품질 감귤생산...열매솎기도 나무별 차별화 전략 기획정보과 2015-07-15 1768
1293 감귤 수출준비 착착... 현장 컨설팅 활발 기획정보과 2015-07-13 1699
1292 "감귤부산물시설 공사 계약 해지 부당" 기획정보과 2015-07-13 1809
1291 감귤농가 "하늘만 보는 상황" 기획정보과 2015-07-13 1542
1290 감귤정책 놓고 도의회-집행부 날선 공방 기획정보과 2015-07-09 1578
1289 감귤 혁신 정책 순서 바뀌었다...논쟁 기획정보과 2015-07-09 1639
1288 [올해 노지감귤 작황 지역별 큰 편차 기획정보과 2015-07-08 1917
1287 제자리걸음 걷는 감귤 군납(하)맛좋다 이미지 심어줘야 기획정보과 2015-07-08 1736
1286 감귤군납,풍작시 물량조절 수단 안된다. 기획정보과 2015-07-07 1691
1285 외국산 과일 수입증가,,, 제주감귤 직격탄 기획정보과 2015-07-07 1754
1284 감귤구조혁신, 새로운 것 아니... 새정책 도입해야 기획정보과 2015-07-07 1606
1283 외국산수입,메르스 여파 제주감귤가 하락 기획정보과 2015-07-07 1760
1282 비상품감귤수매 중단되나.. 기획정보과 2015-07-02 1630
1281 감귤 계통출하에 농협이 앞장서야.. 기획정보과 2015-07-02 1784
1280 제주도 비상품감귤 가공용 수매 불가 원칙 수정되나? 기획정보과 2015-07-01 1732
1279 플라즈마 기술로 감귤 저장 기간 늘린다. 기획정보과 2015-06-30 1881
1278 제주도농기원 감귤 신품종 전시포 확대운영 기획정보과 2015-06-30 1732
1277 제주도 한중 등 FTA대책... 조투입"최저가격 보장제"실시 기획정보과 2015-06-30 1545
1276 하우스감귤 거래처 확보난,가격하락 이중고 기획정보과 2015-06-30 1736
1275 최저 가격 보상제, 농민 공감대 속 추진돼야.. 기획정보과 2015-06-29 177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