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한·페루 FTA 가서명..농수산 미치는 영향은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16 09:33:04      ·조회수 : 1,829     

한국과 페루 간 상품 및 서비스 교역을 크게 증진시킬 것으로 기대되는 한·페루 자유무역협정(FTA) 협정문에 가서명(假署名)이 이뤄졌다.

아직 정식서명 절차가 남아 있기는 하지만 양국은 대외교역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동력'을 얻게 됐을 뿐 아니라 경제적 위상 제고라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농림수산식품부는 15일 서울에서 한·페루 양국 통상장관이 FTA 협정문에 가서명했다고 밝혔다.

협정문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총 1496개 농산물 품목(HSK 기준) 중 쌀은 양허 대상에서 제외했다. 또 쇠고기, 고추, 마늘, 양파, 인삼류, 분유, 사과, 배, 감귤 등 HSK 기준 89개는 현행 관세를 유지키로 했다.

오렌지와 포도에는 계절 관세를 부과해 성출하기(오렌지 11~4월, 포도 5~10월)에는 현행관세를 유지하기로 했다. 또 수산물에 대해서는 냉동 민어, 냉동 명태에 대해 현행관세를 유지하기로 했으며 페루는 관상어, 뱀장어를 제외한 모든 수산물의 관세를 5년 이내로 폐지키로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양국은 농업, 어업 및 양식업, 임업 분야에서 상호 관심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합의했으며 특히 어업·양식업 분야에서 양국은 협정 발효 후 2년 이내에 수산협력약정을 합의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한·페루 FTA 발효시 농업부문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 정도일까.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커피 이외의 농산물 수입(115만9000달러)이 미미하고 주요 농산물이 대부분 양허 제외 또는 현행관세가 유지돼 생산감소가 거의 없을 것으로 잠정 추정했다.

또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수산물에 대해서는 오징어, 붕장어를 중심으로 국내 생산 감소가 발생할 것으로 잠정 추정했고 피해 측정 최종치는 정식 서명에 즈음해 확정할 예정이다.

특히 농식품부는 피해가 우려되는 수산분야 경쟁력 제고를 위해 수산업 어촌 종합대책 및 한·미 FTA 체결에 따른 보완대책을 수립·추진중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피해가 예상되는 오징어를 중심으로 지난 2월 국내대책을 수립해 생산자단체, 업계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면서 계속적으로 보완 대책을 강구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한·페루 FTA는 2008년 11월 개시 선언 이후 1년 10개월여 만인 지난 8월 30일 5차 협상(페루, 리마)에서 최종 타결됐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233 5월 서귀포 감귤꽃 향기에 흠뻑 빠지다. 기획정보과 2015-05-18 1768
1232 원희룡 지사의 감귤대책, 일선 농민들과 협치의 결과인가? 기획정보과 2015-05-18 1609
1231 "감귤구조혁신 계획 종민 희생만 강요" 기획정보과 2015-05-18 2018
1230 비상품 감귤 원천 봉쇄..."산지서 퇴출" 기획정보과 2015-05-15 1681
1229 도외출하 감귤 "관리 사각"방치 기획정보과 2015-05-15 1893
1228 가공용 감귤 수매가 보전 폐지, 반발 심할 듯 기획정보과 2015-05-15 1583
1227 신규과원 통제? 이주민 감귤농사 지원"NO" 기획정보과 2015-05-15 1757
1226 제주,감귤 재배면적 중 국산 감귤품종 전체 1%밑돈다 기획정보과 2015-05-12 1748
1225 국민 비타민 "감귤데이"제정 추진 기획정보과 2015-05-12 1724
1224 제주시, 애월읍 납읍에 감귤 전문생산단지 조성 기획정보과 2015-05-12 1732
1223 감귤수송비 수백억 농가살림 악화 기획정보과 2015-05-12 1627
1222 제주 감귤재배 지형도가 바뀐다 기획정보과 2015-05-11 1838
1221 국산 감귤품종 1%미만... 개발 시급 기획정보과 2015-05-08 1758
1220 제주지역 감귤 재배품종 지속 변화 기획정보과 2015-05-08 1713
1219 귤꽃 아트 콘서트"봄의 향연".. 제주국제감귤박람회 성공 기원 기획정보과 2015-05-07 1732
1218 제주농협, 감귤 통합브랜드 제정 "난항" 기획정보과 2015-05-07 1804
1217 제주"삼백초""감귤껍질"로 암(癌) 극복되나 기획정보과 2015-05-06 1622
1216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예상량 관측조사 실시 기획정보과 2015-05-06 1623
1215 꽃보며 따는 감귤 "카라향(남진해)"본격 출하 기획정보과 2015-05-04 2058
1214 제주도 감귤간벌 400Ha달성 기획정보과 2015-05-04 170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