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웰빙 포장재 쓰면 감귤이 오래가요”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2-17 09:16:56      ·조회수 : 2,428     

신개념 포장재로 웰빙 시대를 노리겠습니다.”

신선도 유지 기간을 최대 300%까지 늘리는 포장재를 개발한 한그린테크라는 기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미 제주감귤농업협동조합과 수출용 감귤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테스트까지 마쳐 더더욱 주목받고 있다.

한그린테크는 친환경 천연물질을 활용해 과일 포장망 및 기능성 필름을 생산하는 업체다. 친환경 기능성 포장재 제조 특허기술을 적용해 한그린테크는 프레시패드를 개발, 출시했다. 이는 기존 과일망 방식에 ‘AR-34’라는 선도유지물질을 더해 만든 선도유지용 과일 포장망이다.

김대현 한그린테크 대표는 “과일 유통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라며 “웰빙 시대에 맞춰 다양한 품종 및 분야로 포장재를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신선도 유지 기간이 최소 50%에서 최대 300%까지 늘릴 수 있다”며 “과일과 채소 등에서 모두 신선도 유지 기간이 늘어나는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식품 포장재 규격에도 통과해 안정성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구체적인 실험도 마친 상태다.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1월까지 한그린테크는 제주감귤농업협동조합과 함께 기능성 포장재를 약 140t 물량의 감귤 수출에 적용했고, 그 결과 국제 수준의 부패율(5~8%)보다 절반 이하로 떨어진 2%대의 부패율을 기록했다고 한그린테크 측은 밝혔다. 이는 기능성 포장재를 사용하기 전 수출용 감귤에서 나타난 20% 내외의 부패율 대비 10분의 1에 불과한 수치다.

해외 시장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제주감귤을 캐나다로 수출하고 있는 유통업체 피케이임포터스 짐라우 대표는 최근 직접 제주도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부패율 절감을 위해 프레시패드를 적용하고, 성과가 나오면 수입물량을 10배 더 늘리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김 대표는 “국내 유일의 친환경 기능성 포장재 제조 특허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해외 유통업체와 공동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84 강제착색, 비상품감귤 퇴출 '난관'예상 기획정보과 2015-03-17 2194
1183 늪에 빠진 제주 감귤값..감귤농정 헛구호 기획정보과 2015-03-17 3006
1182 생산성 낮은 감귤원, '감귤성목 옮겨심기' 추진 기획정보과 2015-03-10 2238
1181 감귤 품질기준 규격 재설정 선과기 실효성 의문 기획정보과 2015-03-06 2322
1180 감귤 의무자조금 도입 본격화 기획정보과 2015-03-05 2554
1179 제주 한라봉 '국내 좁다'…미국 진출 기획정보과 2015-03-04 2044
1178 소비자 중심 생산체계 전환 시급 기획정보과 2015-03-02 2251
1177 국내서 밀린 감귤 수출도 고전 기획정보과 2015-02-25 2225
1176 "강제 착색·비상품 감귤 반입 안된다" 기획정보과 2015-02-24 2169
1175 비상품 감귤 도매시장 유통 원천봉쇄 나선다 기획정보과 2015-02-23 2171
1174 대형마트 감귤매장 철수…감귤처리 비상 기획정보과 2015-02-12 2400
1173 2015년 "구정" 연휴 휴장 안내 기획정보과 2015-02-12 2142
1172 설 앞두고 택배 전쟁 ‘비상’ 기획정보과 2015-02-10 2118
1171 과잉생산·소비부진·시장개방'내우외환' 파고로 생존 불투명 기획정보과 2015-02-09 2058
1170 올해 감귤원 160ha 1/2간벌 추진 기획정보과 2015-02-09 2197
1169 한라봉 美수출길 열렸으나 살균·선별 과정 등 난제 많아 기획정보과 2015-02-06 2110
1168 감귤정책 선제적 대응능력 갖춰라 기획정보과 2015-02-04 1971
1167 "출하·경매 품질기준으로 혁신해야" 기획정보과 2015-02-04 2121
1166 불로초, 고품질 제주감귤 대표 브랜드 기획정보과 2015-02-04 1792
1165 생산량 감소 속 수입산 변수 부각 기획정보과 2015-02-03 206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