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도농기원, 새로운 감귤해충 10종 발견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2-08 10:04:27      ·조회수 : 4,785     

감귤에 피해를 입히는 새로운 해충들이 발견됐다.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이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 동안 실시한 ‘감귤에 발생하는 해충종류 및 분포조사’에 따르면 머리귀뚜라미 등 모두 10종의 해충이 새롭게 확인됐다. 이는 농촌진흥청 감귤시험장이 2000년에 보고한 감귤 해충종류를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다. 당시 감귤시험장이 보고한 해충은 총 74종.

 도농기원은 작은뾰족민달팽이와 귤노랑깍지벌레·줄고운가지나방 등 새로운 해충들이 감귤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들 해충은 과거에는 조사가 되지 않을 정도로 밀도가 낮았으나 근래 들어 눈에 띄기 시작했다는 것. 도농기원은 이 같은 원인에 대해 친환경 재배가 늘면서 해충이 서서히 증가한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이는 일부 포장에서만 발견됐으며 아직까지 피해가 미미해 방제 필요성은 없다는 설명이다.

 과거보다 피해를 증가시키는 해충도 나타났다. 귤녹응애와 화살깍지벌레·선녀벌레·볼록총채벌레·애넓적밑빠진벌레·차잎말이나방 등 13종의 해충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볼록총채벌레와 애넓적밑빠진벌레는 기후변화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온난화로 겨울철 기온이 높아지면서 월동이 원활해지고, 이로 인해 번식력이 왕성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볼록총채벌레는 근래 들어 해마다 확산되며 피해를 심화시킨다는 지적이다.

 반면 피해가 감소하는 해충도 조사됐다. 귤응애와 뒷흰날개밤나방·꽃노랑총채벌레 등 3종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가온 하우스에서 주로 발견되는 꽃노랑총채벌레는 최근 고유가 추세에 따른 농가들의 어려움을 반영하고 있다. 농가들이 가온을 포기하면서 재배면적이 줄자 꽃노랑총채벌레 발생도 줄고 있다는 해석이다. 또 외래해충인 뒷흰날개밤나방은 유입 초기 2~3년 동안 피해가 심했지만 그후 천적 등이 생기면서 자연적으로 밀도가 감소한 경우다.

 송정흡 도농기원 연구사는 “새로운 해충에 대한 모니터링을 계속할 계획”이라며 “방제가 필요한 경우에는 관련 연구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 농민신문 제주 강영식 기자 >

제주도농기원, 새로운 감귤해충 10종 발견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52 설 앞둔 감귤 가격 휘청 기획정보과 2015-01-21 1709
1151 [제민포럼]지역상품의 공동브랜드 전략 기획정보과 2015-01-20 1666
1150 노지감귤 값 ‘살얼음’…설 ‘특수’ 실종 우려 기획정보과 2015-01-20 1858
1149 서귀포시, 농업 경쟁력 강화 851억원 투입 기획정보과 2015-01-19 1602
1148 감귤 폐원지 재식재 금지기간 대거 해제 기획정보과 2015-01-19 1568
1147 [현장시선]감귤산업,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아야 기획정보과 2015-01-16 1974
1146 감귤실명제 당근·채찍 필요 기획정보과 2015-01-15 1832
1145 '느영나영감귤창고카페'개점 기획정보과 2014-12-29 2482
1144 2015년도 9대도매시장 '신정' 휴장안내 기획정보과 2014-12-26 2223
1143 당도 높은 겨울철 대표과일 감귤 효능 12가지 기획정보과 2014-12-26 2086
1142 [기고] 감귤가격 꾸준히 올라 평년수준으로 기획정보과 2014-12-26 1975
1141 "1년 시한부 선고후 7년...날 살린건 못난이 감귤" 기획정보과 2014-12-22 2022
1140 "감귤 활용법 알린다"…서귀포농업기술센터, 감귤사용설명서 제작 기획정보과 2014-12-11 2057
1139 기업과 생산·소비자 ‘윈 윈’…‘제주 감귤 상생마케팅’열려 기획정보과 2014-12-11 1754
1138 가락 치면 영등포로...비상품감귤, 제주서 차단하라! 기획정보과 2014-12-11 2183
1137 감귤 세일즈 나선 원희룡 지사, 가락동서 홍보 기획정보과 2014-12-11 1982
1136 "감귤 출하 생과 아니면 안돼" 기획정보과 2014-12-11 1680
1135 북한에 "사랑의감귤'보내기, 지금이 최적기다 기획정보과 2014-12-01 1855
1134 하례감귤거점APC준공-年 1만5000톤 처리 기획정보과 2014-12-01 1923
1133 제주감귤농협 "청정 제주감귤 명품브랜드화로 가치 실현" 기획정보과 2014-11-19 198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