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 재해보험 '속 빈 강정'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4-03 12:55:26      ·조회수 : 3,256     

감귤에 대한 농작물재해보험이 실시된지 10년째를 맞고 있지만 가입 실적은 1%대로 극히 저조,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내실화 방안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2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이동필, 이하 농경연)에 따르면 농작물재해보험은 태풍과 보험 등 자연재해로 인한 농가 손실을 보전해주는 정부 지원 정책보험으로, 2001년 사과와 배를 시작으로 2002년 감귤과 포도 등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다.

농작물재해보험은 시행 11년만에 35개 품목으로 확대된데다 지난해까지 9만3800여 농가에서 보험금 5202억원을 지원받는 성과를 올리며 농업 경영 안정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사과와 감귤 등 품목별 보험 가입률 격차가 갈수록 심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양적 확대보다는 내실화를 도모하는 보완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실제 도내 대표 작목인 감귤인 경우 지난해 보험 대상 면적 1만7734ha 가운데 1.22%에 불과한 216ha만 가입한 것으로 나타나 과수 부문에서 가입률이 가장 낮았으며 무려 86.8%의 가입률을 보인 사과와 큰 대조를 이뤘다.

농경연도 “보험 실시 10년째인 감귤인 경우 가입률이 1.22%에 불과하는 등 전체 25개 품목 가운데 10개 품목의 가입률이 10% 미만으로 농가 참여가 매우 저조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처럼 감귤의 농작물재해보험 가입이 저조한 것은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어 실질적인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으로, 도내 농업계에서는 지역적 기후 및 품목별 특성 등을 반영해 보상 재해 범위를 확대하는 실효성 있는 보완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해 왔다.

농경연도 이에대해 “감귤 등 농작물재해보험 가입률이 저조한 품목에 대해서는 원인 분석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정책 수단을 검토하는 등 내실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농경연은 특히 “품목별 특성 뿐만 아니라 지역별 기상 여건 특성을 반영되는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보장 범위를 확대하고 보다 많은 농업인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해 앞으로 제도 보완이 이뤄질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문의 농경연 02-3299-4348.
< 제주일보 김태형기자 >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64 수입산 과일·축산물 1차산업 충격파 기획정보과 2015-02-03 1895
1163 "감귤산업 재도약 산지경매제 필요" 기획정보과 2015-02-02 1881
1162 설 대목 '수입과일 역풍' 비상 기획정보과 2015-02-02 2043
1161 원희룡, “비상품 감귤 경매 할 수 없게 제도적 보완” 기획정보과 2015-02-02 2275
1160 "감귤 가공용 처리 24시간 가동해 달라" 기획정보과 2015-01-30 2035
1159 감귤·만감류 설 대목 기획정보과 2015-01-30 2046
1158 노지감귤 이어 한라봉 가격도 약세 기획정보과 2015-01-28 2197
1157 [제민포럼]농업강국들의 농업보호 정책 기획정보과 2015-01-27 2227
1156 FTA기금 감귤생산시설 현대화사업 본격 기획정보과 2015-01-26 2014
1155 [월요논단]한 치 앞을 못 본 감귤농가 기획정보과 2015-01-26 2062
1154 출하 초기 만감류 가격도 심상찮네 기획정보과 2015-01-22 2311
1153 "2020년까지 감귤 신품종 7개 이상 개발" 기획정보과 2015-01-21 2097
1152 설 앞둔 감귤 가격 휘청 기획정보과 2015-01-21 2058
1151 [제민포럼]지역상품의 공동브랜드 전략 기획정보과 2015-01-20 1995
1150 노지감귤 값 ‘살얼음’…설 ‘특수’ 실종 우려 기획정보과 2015-01-20 2162
1149 서귀포시, 농업 경쟁력 강화 851억원 투입 기획정보과 2015-01-19 1936
1148 감귤 폐원지 재식재 금지기간 대거 해제 기획정보과 2015-01-19 1848
1147 [현장시선]감귤산업,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아야 기획정보과 2015-01-16 2330
1146 감귤실명제 당근·채찍 필요 기획정보과 2015-01-15 2176
1145 '느영나영감귤창고카페'개점 기획정보과 2014-12-29 294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