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작목 ‘우대’ 밭작물 ‘홀대’ 도마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11-22 16:37:21      ·조회수 : 2,188     

서귀포시가 감귤작목에만 집중투자하고 밭작물은 상대적으로 홀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농수축·지식산업위원회(위원장 김도웅)는 21일 서귀포시를 상대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밭작물 홀대론'을 제기했다.

구성지 의원은 "경지면적을 보더라도 농경지가 감귤보다 넓은데도 서귀포시의 사업비 배분을 보면 감귤산업은 '장손'이고 밭작물은 '서자'취급을 받는다"며 "밭작물 지원 사업을 발굴해 지원하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구 의원에 따르면 서귀포시 관내 감귤, 밭작물, 공통분야 투자 예산 비율은 FTA 기금사업을 포함해 감귤 작목이 68%이고 공통분야 투자는 20%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밭작물 투자 비율은 12%에 그치고 있다. 특히 감귤분야에 지원되는 FTA 기금사업 비중이 매우 높다. 감귤에만 투입되는 서귀포 지역 FTA 기금사업은 266억원을 차지한다.

FTA 기금사업을 제외하더라도 밭작물에 비해 감귤에 투입되는 예산 비율이 높다. 공통분야 지원이 40%이고 감귤 37.5%, 밭작물은 22.5%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날 행정사무감사에서는 이와 함께 '민간자본 보조사업자 선정 기준', '감귤유통단속 과태료 체납액', '정보화마을 PC보급 상황', '전통시장 마케팅' 등도 도마에 올랐다.

김도웅 위원장은 "'친환경감귤공동배양방제시설지원'민간자본보조사업자 중에는 법인 구성이 1년이 되지 않는 등 지원요건에 맞지 않은 사업자가 선정됐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서귀포시 관계자는 "사업마다 선정기준이 다르고 단서조항이 있어 사업자로 선정된 것"이라고 밝혔다.

방문추 의원은 "최근 5년간 감귤유통단속 과태료 체납액이 5억4500만원(45%)에 이른다"며 안일한 감귤농정을 질타하고 "감귤 유통업자의 도덕적 해이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감사에서는 문광위, 행자위, 복지안전위에 이어 '고창후 시장 거취 문제'가 거론됐다.
< 한라일보 이현숙 기자 >

감귤작목 ‘우대’ 밭작물 ‘홀대’ 도마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44 2015년도 9대도매시장 '신정' 휴장안내 기획정보과 2014-12-26 2689
1143 당도 높은 겨울철 대표과일 감귤 효능 12가지 기획정보과 2014-12-26 2373
1142 [기고] 감귤가격 꾸준히 올라 평년수준으로 기획정보과 2014-12-26 2295
1141 "1년 시한부 선고후 7년...날 살린건 못난이 감귤" 기획정보과 2014-12-22 2363
1140 "감귤 활용법 알린다"…서귀포농업기술센터, 감귤사용설명서 제작 기획정보과 2014-12-11 2357
1139 기업과 생산·소비자 ‘윈 윈’…‘제주 감귤 상생마케팅’열려 기획정보과 2014-12-11 2086
1138 가락 치면 영등포로...비상품감귤, 제주서 차단하라! 기획정보과 2014-12-11 2727
1137 감귤 세일즈 나선 원희룡 지사, 가락동서 홍보 기획정보과 2014-12-11 2351
1136 "감귤 출하 생과 아니면 안돼" 기획정보과 2014-12-11 1942
1135 북한에 "사랑의감귤'보내기, 지금이 최적기다 기획정보과 2014-12-01 2171
1134 하례감귤거점APC준공-年 1만5000톤 처리 기획정보과 2014-12-01 2176
1133 제주감귤농협 "청정 제주감귤 명품브랜드화로 가치 실현" 기획정보과 2014-11-19 2330
1132 제주만감류 살 길은 "첫째도 둘째도 품질" 기획정보과 2014-11-19 2355
1131 서귀포국제감귤박람회 개막3일 누적관람객 7만-12만명 달성 무난 기획정보과 2014-11-18 2000
1130 맛있는 귤 고르는 법…흠집 있어야 맛있는 귤, 이유보니 `깜짝` 기획정보과 2014-11-18 2276
1129 2014년산 노지감귤 유통 150일 특별단속 중간보고회 개최 기획정보과 2014-11-18 2191
1128 감귤 정가.수의매매 활성화 공감대 확산 기획정보과 2014-11-17 2024
1127 부패과와의 전쟁 "끝났지만 안심 일러.." 기획정보과 2014-11-17 2153
1126 한중FTA 위기가 아닌 기회로 기획정보과 2014-11-14 2246
1125 제주감귤 세계 속의 명품 브랜드 도약 기획정보과 2014-11-14 188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