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 전통감귤 개발 및 육성의 당위성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22 10:14:10      ·조회수 : 2,633     

제주 전통감귤 개발 및 육성의 당위성

양세완 21세기영농조합 법인대표

제주감귤이 아무런 변화 과정도 없이 대중화가 가능했던 것은 첫째 독점 생산이고, 둘째 쇄국적인 시장이고, 셋째는 감귤 소비를 지지해준 중산층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태생적인 것들이 부메랑이 돼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 막대한 행·재정적 투자에도 불구하고 제주감귤이 FTA 앞에 무기력 할 수밖에 없는 것이 이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이것은 제주 감귤산업의 병을 제대로 진단하지 못하고 처방했기 때문이다.

한 때 진상품이였던 제주 감귤이 이번 추석에 상대과일과 품질 대비 과소평가돼 싼 값에 팔리게 된 것은 브랜드 개념 부족 등으로 타고난 가치(품질)와 품격(문화)을 무시하고 남의 것만 모방하다 개성(고유 맛)을 잃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개성이란 시각, 촉각, 후각, 미각(고유 맛) 영양이 풍부한 오감의 전통감귤을 뜻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감귤과는 비교 할 수 없는 세계감귤의 톱 브랜드이고 제주감귤의 유일한 경쟁력이다. 제주에는 오감의 감귤을 재배 할 수 있는 조건(기후·물질· 환경)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오감의 감귤을 황금알로써 노지감귤 상품기준 50만t으로 마케팅(유통)만 뒷받침 해준다면 생산자수취가격기준 1조원을 훨씬 능가하는 규모의 감귤산업도 가능하다는 것을 2004년산 감귤에서 개인적으로 경험한바 있기 때문에 자신 있게 말 할 수 있다.

최근 속성 과일들이 소비자 기호(입맛)변화로 영양(웰빙)과일로 주력하는 것을 제주감귤 사회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서귀포 칠십리 감귤 정책이 실패하고 감귤 박물관이 적자 운영되고 있는 것도 1차산업 방식으로 재단되고 개량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오감의 전통감귤은 누구나 아무데서나 만들 수 없는 희소상품이기 때문에 제주의 보물이고 황금알을 낳는 최첨단 감귤산업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24 감귤주 명품화사업 양조장 준공 기획정보과 2014-11-10 2222
1123 조생출하시작감귤가격반등 기대 기획정보과 2014-11-10 2314
1122 비상품감귤 택배 반출하려던 서귀포 소재 선과장 적발 기획정보과 2014-11-07 2650
1121 감귤식품산업클러스터산업단지난항 기획정보과 2014-11-04 1950
1120 올해산 제주감귤 미국수출길올라 기획정보과 2014-11-04 2398
1119 홍차·감귤 많이 먹으면 난소암 발병률 줄인다 기획정보과 2014-11-03 2093
1118 작목반장"비상품감귤 출하 근절 앞장" 기획정보과 2014-11-03 2590
1117 '성목이식' 감귤원 높은 가격에 감귤 출하 '화제' 기획정보과 2014-10-30 2480
1116 현을생시장, "이대론 안된다" 감귤 유통 현장 방문 기획정보과 2014-10-27 2155
1115 제주감귤, 내수보다 "수출이 돈 된다" 기획정보과 2014-10-27 2601
1114 완도, 노지감귤 전략작목으로 키운다 기획정보과 2014-10-27 2629
1113 올해산 노지감귤 수출시동 기획정보과 2014-10-23 2838
1112 [알림]2014년산 가공용감귤 도외반출 승인 요령 기획정보과 2014-10-21 2152
1111 [공고]2014년산 가공용감귤 규격 결정 공고 기획정보과 2014-10-16 2181
1110 과일 수입경쟁...국산 소비촉진 '찬물' 기획정보과 2014-10-15 2031
1109 비상품 감귤 '꼼짝마' 기획정보과 2014-10-15 2236
1108 2014서귀포감귤박람회 D-30 기획정보과 2014-10-15 2479
1107 홍수출하·저품질 가격하락 부채질 기획정보과 2014-10-13 2342
1106 올해 가공용 감규수매단가 '1kg 160원' 기획정보과 2014-10-10 2407
1105 비상품 감귤 출하 소비자 불신 기획정보과 2014-10-08 220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