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올해 기상 악화 속 감귤이 가장 빛났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12-27 12:27:26      ·조회수 : 2,028     

올해산 농작물은 특이 기상으로 인하여 봄철 맥주보리를 제외한 겨울작물과 가을철 감귤을 제외한 여름작물이 수난의 연속이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고성준)은 올해는 대체적으로 평균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고 강수량과 일조시간이 적어 농작물 관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은 해로 평가하고 있다.

겨울작물인 겨울(봄)감자, 마늘과 양파의 생산량은 1~4월까지 온도는 낮았지만 해비치는 시간이 많아 병해충발생이 적어 보리를 제외하면 최근 5년 평균보다 10a당 수량은 많았던 것으로 분석하였다.

또, 여름작물인 참깨, 콩은 이른 장마와 8월 안개, 가을가뭄의 영향으로 전․평년보다 3~48%정도 수량이 감소했다.

하지만 감귤은 여름철 해 비치는 시간부족에도 불구하고 8월 하순부터 10월 중순까지 해 비치는 시간이 많았고, 가뭄으로 건조한 날씨가 이어져 당도향상 등 품질향상에 결정적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이한 기상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도 많았다.

지난해 12월 29일부터 올 1월 1일까지 내린 눈은 서귀포, 성산, 고산지역 관측 이래 최고의 적설량을 기록했고 25㏊의 시설피해가 발생했다.

평년보다 9일 빨랐던 장마는 서부중산간의 밀, 봄감자가 수확을 못한 것을 비롯하여 총 584㏊의 농작물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또, 8월에는 고산지역 최대 9일간의 안개 날씨 이후 10월 13일 까지 가뭄으로 콩, 참깨 등 밭작물 수량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제5호(메아리), 10호(무이파) 태풍으로 5,298㏊의 시설과 콩, 당근 등의 농작물 피해와 9월 10일부터 2일간 연속 18시간 이상의 천둥번개로 44백만원의 전기시설피해(한전 추산), 대흘 지역 시간당 111.6㎜ 집중호우로 335㏊의 농경지 침수․유실피해가 발생하는 초유의 사건도 발생하였다.

최근 11월 높은 기온과 기상관측 이래 가장 많은 비가 내렸는데 특히 성산은 올해 월별 최고 강수량을 기록하여 동부지역의 월동 무가 웃자라 상품비율이 떨어지는 피해도 발생했다.

농업기술원은 기후변화에 따른 '농작물 재해예방 매뉴얼'을 새롭게 구축하는 등 최근 국지적인 기상재해로 인한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현지지도를 확대 추진해 나아갈 계획이다. < 한국인터넷뉴스 김은옥 인턴기자 >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12 [알림]2014년산 가공용감귤 도외반출 승인 요령 기획정보과 2014-10-21 1794
1111 [공고]2014년산 가공용감귤 규격 결정 공고 기획정보과 2014-10-16 1811
1110 과일 수입경쟁...국산 소비촉진 '찬물' 기획정보과 2014-10-15 1689
1109 비상품 감귤 '꼼짝마' 기획정보과 2014-10-15 1831
1108 2014서귀포감귤박람회 D-30 기획정보과 2014-10-15 1989
1107 홍수출하·저품질 가격하락 부채질 기획정보과 2014-10-13 1959
1106 올해 가공용 감규수매단가 '1kg 160원' 기획정보과 2014-10-10 1978
1105 비상품 감귤 출하 소비자 불신 기획정보과 2014-10-08 1739
1104 "감귤류 FTA양허제외 돼야" 기획정보과 2014-10-08 1673
1103 비상품 감귤 '1번과' 유통 여전히 기승...막을 길 없나? 기획정보과 2014-10-08 1982
1102 "10월 감귤은 맛없다?"...이마트, "맛있는 가울하우스감귤" 출하 기획정보과 2014-10-07 1840
1101 감귤 1번과 상품화 내년 9월로 유예 기획정보과 2014-10-07 1725
1100 제주도,도매시장 "불량감귤퇴출"한목소리 기획정보과 2014-10-01 1973
1099 서귀포시, 감귤선과장 폐감귤 특별관리 기획정보과 2014-09-30 1846
1098 감귤1번과, 제주도-의회'2mm간극'...결국 내년으로?? 기획정보과 2014-09-29 2161
1097 제주농업인단체"비상품감귤 1번과 상품허용 유보하라" 기획정보과 2014-09-29 1757
1096 제주 농산물 양허 제외 향방 11월 분수령 기획정보과 2014-09-29 1863
1095 이른 추석·풍작 '역풍 맞은 과일값'...한달새 '반토막' 기획정보과 2014-09-29 1726
1094 비상품 감귤 출하 원천 차단...35개 단속반 180명 투입 기획정보과 2014-09-29 1664
1093 노지감귤 출하초기 혼란 불가피 기획정보과 2014-09-25 165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